종갓집며느리. 너무웃겨요^_^♥
http://m.cyworld.nate.com/blog/postView.php?home_id=a2366781&post_seq=3901715
유머 농담 잡담 프로그래밍
유머 농담 잡담 프로그래밍, 안드로이드, 우분투
Monday, February 20, 2012
가짜 사리...
어느 사내가 죽어서 화장을 했다
화장 후 재를 모으던 사내의 어머니는 재에서 구슬이 나온것을 보고
-아이고 이놈이 생전에 그렇게 고생을 하고 착하게 살더니만 몸에서 사리가 나왔다고 하면서 대성통곡을 하자 분위기가 숙연해졌다
-이모습을 지켜보던 스님이 조용히 목탁을 치면서 염불을 외우기 시작했다 작은 목소리로~~~~~~~~~
하지만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자 갈수록 큰 목소리로 염불을 드리고 있었다
바라바라다마다바라
단디바라다마다
단디바라다마다
단디바라다마다
염불의 뜻=잘살펴봐라...그것은 사리가 아니고 거시기에 심은 구슬이다
화장 후 재를 모으던 사내의 어머니는 재에서 구슬이 나온것을 보고
-아이고 이놈이 생전에 그렇게 고생을 하고 착하게 살더니만 몸에서 사리가 나왔다고 하면서 대성통곡을 하자 분위기가 숙연해졌다
-이모습을 지켜보던 스님이 조용히 목탁을 치면서 염불을 외우기 시작했다 작은 목소리로~~~~~~~~~
하지만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자 갈수록 큰 목소리로 염불을 드리고 있었다
바라바라다마다바라
단디바라다마다
단디바라다마다
단디바라다마다
염불의 뜻=잘살펴봐라...그것은 사리가 아니고 거시기에 심은 구슬이다
angel falls
여기서...
한번도 타 본적없는
패러슈트를 타고 뛰어 내려보고 싶다...
Angel Falls : Angel Falls
Gran Sabana, Venezuela
http://m.google.com/u/m/zkek2d
한번도 타 본적없는
패러슈트를 타고 뛰어 내려보고 싶다...
Angel Falls : Angel Falls
Gran Sabana, Venezuela
http://m.google.com/u/m/zkek2d
컬투쇼
심심할때 골라서 하나씩 들어보세요
컬투쇼 진품명품Best
겨털사건
http://m1.daumcdn.net/cfile205/attach/1645B8424DFC06142B008D
꿀호떡빵
http://m1.daumcdn.net/cfile235/attach/141611404DFC086E1E64BA
불백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2037103F4DFC08B42B4BC1
무식한선임
http://m1.daumcdn.net/cfile234/attach/1722983E4DFC08E54DB147
생식캠프
http://m1.daumcdn.net/cfile233/attach/2030B5434DFC0903294E91
아가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156E0E444DFC0937332FEE
외국인말못해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175737454DFC096C35ADFC
처자를위한
http://m1.daumcdn.net/cfile210/attach/157400444DFC09842C7CD4
10원
http://m1.daumcdn.net/cfile227/attach/167D244D4DFD664F245782
계세요
http://m1.daumcdn.net/cfile206/attach/1557BD4F4DFD666A2AA99D
구렛나룻
http://m1.daumcdn.net/cfile219/attach/13777B4D4DFD669F2D9D66
노래방알바
http://m1.daumcdn.net/cfile235/attach/16574B4E4DFD66C2272146
노숙자
http://m1.daumcdn.net/cfile240/attach/1568134F4DFD66DD139F81
똥방귀
http://m1.daumcdn.net/cfile213/attach/180FAF4C4DFD670231E349
발냄새
http://m1.daumcdn.net/cfile212/attach/1855084B4DFD6717398853
컬투쇼 진품명품Best
겨털사건
http://m1.daumcdn.net/cfile205/attach/1645B8424DFC06142B008D
꿀호떡빵
http://m1.daumcdn.net/cfile235/attach/141611404DFC086E1E64BA
불백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2037103F4DFC08B42B4BC1
무식한선임
http://m1.daumcdn.net/cfile234/attach/1722983E4DFC08E54DB147
생식캠프
http://m1.daumcdn.net/cfile233/attach/2030B5434DFC0903294E91
아가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156E0E444DFC0937332FEE
외국인말못해
http://m1.daumcdn.net/cfile239/attach/175737454DFC096C35ADFC
처자를위한
http://m1.daumcdn.net/cfile210/attach/157400444DFC09842C7CD4
10원
http://m1.daumcdn.net/cfile227/attach/167D244D4DFD664F245782
계세요
http://m1.daumcdn.net/cfile206/attach/1557BD4F4DFD666A2AA99D
구렛나룻
http://m1.daumcdn.net/cfile219/attach/13777B4D4DFD669F2D9D66
노래방알바
http://m1.daumcdn.net/cfile235/attach/16574B4E4DFD66C2272146
노숙자
http://m1.daumcdn.net/cfile240/attach/1568134F4DFD66DD139F81
똥방귀
http://m1.daumcdn.net/cfile213/attach/180FAF4C4DFD670231E349
발냄새
http://m1.daumcdn.net/cfile212/attach/1855084B4DFD6717398853
아가씨랑 아줌마
아가씨랑 아줌마
아가씨 - 대부분은 결혼을 꿈꾸고
아줌마 - 대부분은 이혼을 꿈꾼다.
아가씨 - 옷을 입을 때 어떻게 하면
살이 더 많이 보일까 고민하고
아줌마 - 어떻게 하면 살을 더 감출까 고민한다.
아가씨 - 사랑을 받고 싶어 사랑을 찾고
아줌마 - 사랑을 하고 싶어서 사랑을 찾는다.
아가씨 - 마음이 괴로우면 밤을 하얗게 새지만
아줌마 - 마음이 괴로우면 걍~ 디비져 잔다.
아가씨 - 거리를 걸을 때 쇼 윈도우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아줌마 - 다른 이쁜 여자들을 쳐다 본다.
아가씨 - 힘들수록 소심해지지만
아줌마 - 힘들수록 강해진다.
아가씨 - 아줌마들을 여자로 생각하지 않지만
아줌마 - 아가씨들을 분명 여자로 생각한다.
아가씨 - 술 취하면 울지만
아줌마 - 술 취하면 막춤까지 동원해 춤을 춘다.
아가씨 - 뱃속의 허기로 밥을 먹지만
아줌마 - 가슴속의 허기로 밥을 먹는다.
아가씨 - 눈물로 울고
아줌마 - 가슴으로 운다.
아가씨 - 사람이 싫으면 타인을 버리지만
아줌마 - 사람이 싫으면 자신을 버린다.
아가씨 – 날씨 흐린 날에는 분위기 있는
카페에서 누군가를 만날 약속을 만들지만
아줌마 - 흐린 날에는 쐬주 생각만 간절하다.
아가씨 - 대부분은 결혼을 꿈꾸고
아줌마 - 대부분은 이혼을 꿈꾼다.
아가씨 - 옷을 입을 때 어떻게 하면
살이 더 많이 보일까 고민하고
아줌마 - 어떻게 하면 살을 더 감출까 고민한다.
아가씨 - 사랑을 받고 싶어 사랑을 찾고
아줌마 - 사랑을 하고 싶어서 사랑을 찾는다.
아가씨 - 마음이 괴로우면 밤을 하얗게 새지만
아줌마 - 마음이 괴로우면 걍~ 디비져 잔다.
아가씨 - 거리를 걸을 때 쇼 윈도우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아줌마 - 다른 이쁜 여자들을 쳐다 본다.
아가씨 - 힘들수록 소심해지지만
아줌마 - 힘들수록 강해진다.
아가씨 - 아줌마들을 여자로 생각하지 않지만
아줌마 - 아가씨들을 분명 여자로 생각한다.
아가씨 - 술 취하면 울지만
아줌마 - 술 취하면 막춤까지 동원해 춤을 춘다.
아가씨 - 뱃속의 허기로 밥을 먹지만
아줌마 - 가슴속의 허기로 밥을 먹는다.
아가씨 - 눈물로 울고
아줌마 - 가슴으로 운다.
아가씨 - 사람이 싫으면 타인을 버리지만
아줌마 - 사람이 싫으면 자신을 버린다.
아가씨 – 날씨 흐린 날에는 분위기 있는
카페에서 누군가를 만날 약속을 만들지만
아줌마 - 흐린 날에는 쐬주 생각만 간절하다.
Wednesday, February 15, 2012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정호승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정호승)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 견디는 일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내리면 눈길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속을 걸어라 갈대 숲 속에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가끔씩 하느님도 눈물을 흘리신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산 그림자도 외로움에 겨워 한 번씩은 마을로 향하며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서 우는 것도 그대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그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그대 울지 마라
화냥년과 호로자식의 어원
왜 "화냥년"과 "호로자식"이.. 사람들은 평소 남자관계가 복잡한 여자를 나쁘게 욕할 때 “화냥년", 그리고 버릇없는 못된 사람 주로 남자를 말할 때 “호로자식”이란 욕을 하는 경우를 들을수 있다. 이 욕들의 역사적 유래를 보자 . ☆ 仁祖때 丙子胡亂의 수난 ☆ 後金은 1636년 국호를 淸으로 바꾼 후, 정묘약조에서 설정한 兄弟관계를 폐기하고 새로 君臣관계를 맺어 공물과 군사 3만명을 지원하라고 요구했는데 조선이 거부하자 12만 군사를 이끌고 조선을 침략하여 병자호란을 일으켰다. 大軍에 밀린 朝鮮軍은 남한산성에 1만 3천의 군사로 진을 쳤지만 세력의 열세로 45일 만에 항복하고, 仁祖는 삼전도에서 무릎을 꿇고 淸과 君臣의 義를 맺는 한편,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청에 볼모로 보내야 했다. 그리고 척화론을 펼치던 홍익한,오달제, 윤집 등도 淸으로 끌려갔다. 뿐만 아니라 청군들은 철수하면서 상당히 많은 조선인들을 끌고갔다. ☆ 끌려 갔다온 還鄕女를 화냥년 이라고..☆ 仁祖의 항복으로 전쟁이 끝났다고 온 백성들이 좋아하다 며칠 후 백성들이 궁궐 앞에 모여들어 淸나라에 끌려간 딸과 며느리는 물론 아내를 구해달라고 아우성치고 있었다. 仁祖는 淸에 끌려간 인원을 조사해보니 대부분 婦女子들로서, 그 수가 무려 50만 명이나 됨으로 淸에 사신을 보내어 돌려보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淸나라는 끌려간 사람들에 등급을 매겨놓고 엄청난 돈을 요구함으로 仁祖는 하는 수 없이 백성들이 각자 재산을팔 아서 그 돈으로 청나라에 가서 데려오도록 하여 상당수의 女子들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때 淸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女人들을 還鄕女(환향녀)라 부르면서 온 동네에서 고생하고 돌아왔다고 위로를 해주었다. 그런데 이 還鄕女들은 淸나라에 끌려가서 못된 性關係를 배워와서 온 동네 남자들을 모두 해치우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이 女子들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으나 국가에서 묘한 방법이 없으므로 그대책을 각 가정에서 엄히 단속하도록 하였다. 이에 각 가정에서는 老人들이 밤낮으로 대문을 걸어 잠그고 부녀자 들의 바깥 출입을 못하게 하였음은 물론, 부득이 외출을 할 때도 치마 같은 것을 뒤집어 쓴 후 눈만 내놓고 다니게 하고 게다가 감시자를 동행케 했다. ☆ 환향녀의 자식을 호로(胡虜)자식이라..☆ 이들 환향녀들은 돌아올 때 이미 임신을 한 경우가 많아, 거기서 낳은 자식을 호로(胡虜) 즉 오랑케의 자식이라 하여 사회에서 냉대했다. 즉, 환향녀나 호로자식들은 멸시의 대상이 아닌 국가의 피해자들이었다. 왜냐하면 왕이 평소에 국가의 안보를 튼튼히 하지 못했을뿐 아니라, 전쟁에 대비도 하지 못했고. 전쟁이 나자 신하들은 왕을 홀로 두고 도망가기 바빴고.. 또한 남자들이 전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결국 나약한 여성들만 끌려가서 청군들의 노리개가 되어 처참한 노예생활을 하다 돌아왔는데 조선에서는 전쟁에 대해 책임지는 자가 없이 모든 것을 불쌍한 여자들 에게만 죄를 뒤집어 씌운 가슴 아픈 역사의 한 단면이었다. 당시에 그들을 괄시, 멸시만 할 줄알았지 그들을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보살펴 주질 못한 산물들이다. 이때 환향녀들은 자신의 순결을 지키지 못한 죄책감에 자결을 하는가 하면,돌아온 여인들도 청군에 더렵혀진 여인이라는 주위의 손가락질과 내 쫓김에 고향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도는 슬픈 신세가 됐다. 인조는 환향녀가 사회적 문제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게 됨에따라홍제천 물에 몸을 씻고 도성에 들어오면다시 정조에 대한 논란을 하지 말라는 교지를 내렸다고 전하고 있으며, 홍제천 변의 弘恩(홍은)동은 여자들이 왕의 많은 성은을 입었다는 데서 홍은동이란 말도 전해오고 있다.
사랑과 호르몬 분비
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이 분비: 남녀가 처음 서로를 갈망할 때
사랑에 빠지는 단계가 되면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나오고
세로토닌은 사랑에서 가장 중요한 화학물질인데 사람을 일시적으로 미치게 만들어요.
관계가 지속돼 더욱 밀착되기를 원하고 섹스나 결혼으로 발전하죠.
이때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분비
옥시토신은 남녀가 애정행각을 부릴 때 외에도 어미가 아기한테 수유를 할 때도 나와.
여성에게 모성과 사랑은 똑같다는 연구도 나왔고
호르몬들의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건 2년 정도거든.
길어야 3∼4년
사랑의 첫 단계에서는 도파민이 분비
도파민은 사랑의 기쁨이나 흥분과도 관계
다음 단계에서는 페닐에틸아민이 분비
초콜릿에도 포함된 페닐에틸아민은 사랑의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마지막 단계는 스킨십을 하고자 하는 단계로
이때 뇌하수체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분비
상대에 대한 애착을 느껴 관계를 끈끈하게 해주는 역할
남녀 간의 사랑은 뇌와 생식기 등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미국 럿거스대 인류학자 헬렌 피셔 교수의 주장이다.
사랑의 첫 단계인 '갈망'에서
남성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수치가 정상보다 낮아졌다고 한다.
즉 남성은 일정 부분 여성화, 여성은 반대로 남성화하면서 서로의 차이를 없애려 한다는 것.
온통 연인 생각으로 머리 속이 가득차는
두번째 단계 '홀림'에서는 남녀 모두 페닐에틸아민, 엔돌핀,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이
왕성하게 분비된다.
먼저 '사랑을 부르는 화학물질'로 알려진 페닐에틸아민은
열정적인 사랑을 자극하지만 유효기간이 2~3개월에 불과하다.
엔돌핀은 안정적 기분을, 노르에피네프린은 육체적 쾌감을,
도파민은 만족감과 자신감을 주어 사랑을 유지한다.
불 같은 사랑은 아니지만 끈끈한 정으로 맺어지는
세번째 단계 '애착'에서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주로 관여한다.
포옹을 하거나 로맨틱한 영화를 보면 이들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진다.
특히 옥시토신은 출산과 수유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모성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부나 오랜 연인처럼 이성간의 사랑이 깊어지면 마치 모성애를 느끼듯 변하게 되는 것일까?
뽕과 팬티
어느 가슴이 아주 작은 여자가 있었다.
그녀가 샤워를 마치고 나와
브레지어를 하는데 옆에서 보고있던
그녀의 남편이 그녀에게 한마디를 했다.
"가슴도 작은데 뭐하러 브레지어를 하냐?"
그러자
그녀가 남편에게 한마디 했다.
.
.
"내가 언제 너 팬티 입는거보고
뭐라고 하디(?)"
.
.
.뭐...
그래.
나야.
생리상 땀이 많이 차고
시원 건조해야하기 땜에
빤쯔입는다...
그래도...
난빤쯔 속에
오이나 가지 넣고...
다닌다거나...
뵤그라 먹고 24시간
육체미(?) 과시하진 않는다...
...
니들도...
뽕빼!
.
.
그리고 생얼해!
현실을 본다는 것
현실을 받아 드리는 것...
음...
미래(?)로 가기 위해서는
현실의 땅을 발디딤(?)해야하는데...
현실의 발디딤(?)없이
앞으로 갈 수 없으니...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을 성공으로 보든...
첫걸음이겠군요...
기도 황동규
기도
황동규
1
내 잠시 생각하는 동안에 눈이 내려
눈이 내려 생각이 끝났을 땐 눈보라 무겁게 치는 밤이었다
인적이 드문, 모든 것이 서로 소리 치는 거리를 지나며
나는 단념한 여인처럼 눈보라처럼 웃고 있었다
내 당신은 미워한다 하여도 그것은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신이 나에게 바람부는 강변을 보여주며는
나는 거기에서 얼마든지 쓰러지는
갈대의 자세를 보여주겠습니다
2
내 꿈결처럼 사랑하던 꽃나무들이
얼어 쓰러졌을 때 나에게 왔던
그 막막함 그 해방감을 나의 것으로 받으소서
나에게는 지금 엎어진 컵
빈 물주전가 이런 것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는 닫혀진 창
며칠내 끊임없이 흐린 날씨
이런 것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곤 세명의 친구가 있어
하나는 엎어진 컵을 들고
하나는 빈 주전자를 들고
또 하나는 흐린 창밖에 서 있습니다
이들을 만나소서
이들에게서 자간 잠간의 내 이야기를 들으소서
이들에게서 막막함이 무엇인가는 물지 마소서
그것은 언제나 나에게 맡기소서
3
한 기억 안의 방황
그 사방이 막힌 죽음
눈에 남은 소금기
어젯밤에는 꿈많은 잠이 왔었다
내 결코 숨기지 않으리라
좀 더 울울히 못산 죄 있음을
깃대에 달린 깃발의 소멸을
그 우울한 바라봄, 한 짧고 어두운 청춘을
언제나 거두소서
당신의 울울한 적막 속에
봉달이의 세상 엿보기
봉달이의 세상 엿보기
한참 호기심이 많은 봉달이가
아빠에게 달려와서 물었다.
"아빠! 국가가 뭐예요?"
어린 아들이 알아듣도록 쉽게 설명해야겠다고 생각한 봉달이 아빠는 이렇게 대답했다.
"응. 국가란 한 집안의 아버지와 같은 존재란다."
그러자 봉달이가 또 물었다.
"아빠! 그럼 정부는 뭐예요?"
역시 쉽게 설명해야겠다고 생각한 봉달이 아빠.
"정부란, 나라 살림을 맡아하는 한 집안의 엄마와 같은 존재지."
그러나 봉달이의 호기심은 끝이 없었다.
"그럼 국민은 뭐예요?"
봉달이 아빠는 이번에도 쉽게 설명하기 시작했다.
"국민이란? 국가와 정부의 보살핌을 받으니깐, 바로 봉달이 너라고 할 수 있지."
"아빠 ! 그럼 노동자는 뭐예요?"
"음, 노동자란 우리 집에서 일하는 가정부 언니가 아니겠니?"
"그럼 아빠! 동생은 뭐예요?"
"우리 막내는 우리의 미래라고 볼 수가 있지."
의문이 다 풀린 봉달이는 이제사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었다.
그날 밤 곤히 자고 있던 봉달이는 동생의 울음소리에 그만 단잠을 깨고 말았다.
응가를 한 것이라고 직감한 봉달이,가정부 방으로 달려갔다.
방문을 연 순간 아빠가 가정부 언니랑 그 짓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충격을 받은 봉달이는 엄마방으로 달려갔다.
엄마 방을 막 두들겼지만 엄마는 잠을 자는지
아무 대답이 없는 것이었다.
자기 방으로 돌아온 봉달이,
동생은 기저귀가 풀어져 침대가 똥밭이 되어서 그 위에 뒹굴고 있는 것이었다.
다음 날 아침
시무룩해 있는 봉달이를 보고 아빠가 물었다.
"우리 봉달이가 왜 이리 시무룩해 있을까.?"
그러자 봉달이가 어제 모든 걸 다 보았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어제밤 나는, 노동자를 유린하는 국가,
국민이 아무리 불러도 대답하지 않는 정부,
그리고 똥 밭에 뒹구는 우리의 미래를 봤어요."
임금님의 개
임금님의 개
임금님의 개가 있었다..이개는 할줄아는거라고는 끄덕끄덕 밖에 못하였다..
그래서 임금님이..이 개에게 도리도리를 시키는사람에게는 상금을 주겠다고
명하였다..그러자 많은 인파가 상금을 얻기위해 몰려들었다...
그러나 모두 허사였다.. 마지막 한사람이 남아있었다..
임금이 그에게 물었다...
"자네는 이 개를 도리도리하게 할 자신이 있는가?"
"물론이옵니다..폐하.."
"자 어서 시작해보게.."
"예"
그러자 그 사람은 가방에서 벽돌을 꺼내었다.. 그러더니 힘껏 개에게
벽돌을 날렸다..개는 깨갱 거리면서 임금님뒤로 숨었다...
그런뒤에 그 사람이 개에게 물었다..
"또 맞을래?"
"도리도리"
드디어 도리도리를 한것이다...
이 일이 있은뒤 몇일뒤에 부작용이 일어 난것이다..
그 개는 이제는 도리도리만 할줄알지 끄덕끄덕은 전혀
하지 못하는 불구자가 되었다... 임금은 다시 명하였다..
이 개에게 끄덕끄덕을 시킨자에게는 도리도리사건보다 더 후한 상금을
내린다고... 이런 명이 내리자마자 도리도리사건의 그 남자가 돌아왔다.
그러고 이 한마디를 내뱉고 상금을 챙겨갔다...
.
.
.
.
.
.
.
"너 나알지?"
그 남자와 그 여자의 사정
많은 아내들이 하소연 합니다.
"남편은 집에오면 물에 젖은 솜처럼 늘어져 꼼짝도 하지 않는다. 특히 휴일에는
TV나 컴퓨터 앞에 하루종일 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한편 남편들도 할말이 많습니다.
"아내는 집에서 내가 좀 쉬려고 하면 잔소리만 한다.
일을 도와줘도 건성 건성이라며 야단만 한다"
자~ 누구의 편을 들어야 할까요?
잠시 가사분담에 대한 이론이나 정의는 접어두고, 이문제를 남녀의 뇌(腦)차이로
살펴보면 어떨까요? 최근 뇌과학은 뇌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컴퓨터 화면으로 볼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남녀의 뇌가 어떻게 다른지를 보면, 부부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 답을 알수 있습니다.
남자:Turn off 여자:풀가동
우선남자들의 뇌부터 살펴볼까요?
남자들이 집에 들어와 쉴 때 뇌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전기불이 꺼져 있는 것처럼
'turn off' 상태입니다.
뇌의 거의 모든 불빛의 활동이 저하되어 있고,극히 일부분만 활동합니다.
예를 들면,
축구경기를 볼 때 축구공만 따라가는 뇌의 시각처리 부분만 'on'상태 입니다.
따라서 전화가 울려도 못듣고,찌개가 끓어 넘쳐도 냄새를 못맡지요.
남자가 쉴때는 한마디로 뇌가 총체적으로 쉰다는 뜻입니다.
반면,여자들의 뇌는 쉴때도 아주 분주합니다.
여자가 아주 편안한 상태일때도 뇌를 촬영해보면, 여기 저기 전기불이 켜져 있는
것처럼 활동중 입니다.
쉴때에도 어디서 무슨 소리가 들리는지,어디서 무슨 냄새가 나는지,심지어 지쳐서
눈을 반쯤감고 소파에 기대어 있을 때에도 액자가 비뚤게 걸려 있는 것이 눈에들어 옵니다.
더 놀라운 것은, 여자가 푹쉴때 뇌의 홛동량은 남자가 일할 때의 뇌의 활동량과 맞먹는다는 것입니다.
결국 부부싸움은 누가 옳거나 그러거나,또는 누가 잘났거나 못나서가 아니라,
남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나을듯 합니다.
해답은? 여자하기 나름이에요
그렇다면 이렇게 다른 남녀가 싸우지 않고 지낼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요?
이럴땐 아주 오래된 유행어지만
'남자는 여자하기 나름이에요'가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단,여기서 여자하기 나름이라는 뜻은 여자가 무조건 참고 받아준다는 뜻이 아니라
아내가 남편을 잘 리드하라는 뜻입니다.
다시말해 쉬는 시간에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뇌를 가진 아내가,다꺼지고 축구공만 따라가는 뇌를 가진 남편을 잘 이끌어야 한다는 거지요.
일단,여성들의 경우
남편의 불꺼진 뇌를 깨우기 위해 음성을 격하게 내거나 열내지 마세요.
그대신 남편의 뇌가 쉴때는 푹 쉬도록 한다음,도움이 필요할 때는 한번에
한가지씩만 도와달라고 부탁하세요.
중요한 것은 불평이나 비난하지 말고 부드럽게 요청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도와준 일에 대해서는 반드시 고마움을 표시해 보세요.
그러면 신기하게도 한두가지씩 더 자발적으로 도와주게 될 것이고,
서로 고마움과 호감을 자주 표현하다 보면 '정서 통장'이 채워지는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차이를 알면 해답이 보인다.
한편, 남편이 화를 잘내는 이유는 일명 공격호르몬이라는 '테스토스테론'이
여성보다 10배가 더 분비된다는 점, 그리고 감정조절과 안정역할을 하는 세로토닌이
평균적으로 여성보다 20~30% 적게 분비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차이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이 부부사이를 좋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아내의 영향력을 받아들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아내의 영향력을 받아들이라는 것은 아내가 시키는대로 다 따른다는 뜻이 아닙니다.
아내가 하는 말을 어느정도까지 참고 듣는 것, 맞대고 틀렸다고 말하지 않는 것,
아내의 제안에 '한번 생각해 볼께' 또는 '당신말도 일리가 있네'라고 답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것은 일방적으로 아내를 무시하거나, 제압하거나, 지배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남녀의 뇌 차이를 알면 다투지 않고 언젠가 신혼같은 즐거운 부부사이가 될 것입니다.
Today is a present
Many people will walk in and out of your life,
많은 사람들이 당신의 삶을 스쳐 지나갑니다.
But only true friends will leave footprints in your heart.
그러나 진정한 친구들 만이 당신의 마음속에 발자국을 남기지요.
To handle yourself, use your head,
스스로를 조절하려면 당신의 머리를 사용해야 하고,
To handle others, use your heart.
다른이를 조절하려면 당신의 마음을 사용해야 하지요.
Anger is only one letter short of danger.
노여움(anger)이란 위험(D-anger)에서 한 글자가 빠진 것입니다.
If someone betrays you once, it is his fault,
누군가가 당신을 처음 배신했다면, 그건 그의 과실이지만,
If he betrays you twice, it is your fault.
그가 또다시 당신을 배신했다면 그땐 당신의 과실입니다.
Great minds discuss ideas;
커다란 마음으로는 이상에 대해 토론하고,
Average minds discuss events;
중간의 마음으로는 사건에 대해 토론하며,
Small minds discuss people;
작은 마음으로는 사람에 대해 토론합니다.
He, who loses money, loses much;
돈을 잃은 자는 많은 것을 잃은 것이며,
He, who loses a friends, loses much more;
친구를 잃은 자는 더 많은 것을 잃은 것이며,
He, who lose faith, loses all.
신의를 잃은 자는 모든 것을 잃은 것입니다.
Beautiful young people are accidents of nature,
아름다운 젊음은 우연한 자연 현상이지만,
But beautiful old people are works of art.
아름다운 노년은 예술 작품입니다.
Yesterday is history.
어제는 역사이고,
Tomorrow is mystery.
내일은 미스테리이며,
Today is a present.
오늘은 선물입니다.
- 루즈벨트 대통령 영부인 `에레나`여사의 글중에서 -
성격 테스트 - 정확합니다.
필 박사가 오프라 윈프리에게 해보라고 준 테스트입니다.
이거 한 번 하려고 돈까지 내는 사람들도 있다는 말씀.
계속 읽어보세요, 해볼 만 할 겁니다.
이 테스트는 꽤 정확한 편인데다 하는데 2분 밖에 걸리지 않죠.
하고나서 친구들에게 나는 어떤 사람인지, 그 결과를 알려줍시다.
미리 컨닝하기 없기~!
아래로 스크롤 해 내려가면서 대답하세요.
과거의 당신이 아닌, 현재의 당신 모습을 알아봅시다.
필기도구와 종이를 준비하도록 하세요.
실제로 근래의 많은 주요 기업들에서는 채용자들과 사원들에게 이 테스트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테스트는 직원들의 인품을 알아보는데 도움을 주거든요.
테스트는 10개의 간단한 질문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필기구와 종이를 준비해서 번호와 그 답을 써내려 가십시오.
해당되는질문번호와 답의 알파벳을 메모 하시면서 .....
1. 하루 중 제일 기분이 좋을 때는?
a) 아침
b) 오후나 이른 저녁
c) 늦은 밤
2. 나는 걸을 때, 보통
a) 보폭을 넓게, 빨리 걷는다.
b) 보폭을 좁게, 빨리 걷는다.
c) 머리를 들고, 세상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덜 빠르게 걷는다.
d) 바닥을 보며 덜 빠르게 걷는다.
e) 아주 느리게 걷는다.
3. 사람들과 얘기할 때 나는
a) 내 팔짱을 끼고 서서
b) 두 손을 마주잡고
c) 한 손이나 양 손을 힙에 얹고
d) 얘기 나누는 상대방을 건드리거나 살짝 밀면서
e) 내 귀나 턱을 만지작거리거나 손가락으로 머리를 빗으면서
4. 편안히 쉴 때, 나는
a) 다리를 굽힌 채로 나란히 두고 앉는다 (여자들 얌전떠는 포즈죠)
b) 다리를 꼬고 앉는다
c) 다리를 쭉 펴고 앉는다
d) 한 쪽 다리를 접어 깔고 앉는다
5. 뭔가 아주 재미있는 일이 생겼을 때, 나는
a) 아주 큰 소리로 즐거움을 숨기지 않고 웃는다
b) 웃지만 그다지 크지 않은 소리로 웃는다.
c) 조용히 소리를 별로 내지 않으며 웃는다.
d) 오히려 쑥스러운 듯한 미소. (우훗;)
6. 파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나는
a) 사람들이 내 존재를 의식하도록 화려한 등장을 한다.
b) 아는 사람들을 찾을 수 있을까 해서 둘러보며 차분히 들어선다.
c) 시선을 끌지 않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대로 조용히 입장한다.
7. 완전히 일에 몰두한 채로 열심히 하다가 방해 받았을 때 나는
a) 휴식의 기회를 반갑게 맞이한다
b) 열라-_- 짜증이 훨훨 난다
c) 그 중간 어딘가 쯤.
8. 다음 중 제일 좋아하는 색은?
a) 빨강이나 오렌지
b) 까망
c) 노랑이나 연한 파랑
d) 녹색
e) 짙은 파랑이나 보라
f ) 하양
g) 갈색이나 회색
9. 잠자리에 들어서 잠들기 바로 직전에 나는
a) 몸을 똑바로 펴고 누운 포즈이다
b) 엎드린 채로 몸을 죽 편 포즈이다
c) 약간 몸을 둥글린 채로 옆으로 누운 포즈이다
d) 한 팔을 베고 있다
e) 머리를 이불 밑에 넣고 있다
10. 나는 이런 꿈을 자주 꾼다
a) 낙하하는 꿈
b) 싸우거나 애 쓰는 꿈
c) 무엇이나 누군가를 찾는 꿈
d) 날아오르거나 떠오르는 꿈
e) 꿈은 잘 꾸지 않는다
f) 항상 좋은 느낌의 꿈이다
점수합산
1. (a) 2 (b) 4 (c) 6
2. (a) 6 (b) 4 (c) 7 (d) 2 (e) 1
3. (a) 4 (b) 2 (c) 5 (d) 7 (e) 6
4. (a) 4 (b) 6 (c) 2 (d) 1
5. (a) 6 (b) 4 (c) 3 (d) 5 (e) 2
6. (a) 6 (b) 4 (c) 2
7. (a) 6 (b) 2 (c) 4
8. (a) 6 (b) 7 (c) 5 (d) 4 (e) 3 (f) 2 (g) 1
9. (a) 7 (b) 6 (c) 4 (d) 2 (e) 1
10. (a) 4 (b) 2 (c) 3 (d) 5 (e) 6 (f) 1
알파벳에 상응하는 숫자를 다 더합니다. 점수별 해석은 ....
60점 이상
주위 사람들은 당신을 "취급주의" 형 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허영심이 있고, 자기중심적이며 극히 지배적인 사람으로 비춰지고 있습니다. 당신을 부러워하고 우러러보며 당신처럼 되기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지만, 당신과 너무 가까워질까 우려하며 당신을 신뢰하지는 않습니다.
51점에서 60점까지
주위 사람들은 당신이 잘 흥분하고, 상당히 변덕스러우며, 충동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연스러운 리더 타입으로, 빠른 (항상 옳은 것은 아니지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당신은 과감하고 모험성이 있으며 무엇이든 한 번쯤은 시도해 보는, 찬스에 강하고 모험을 즐기는 타입으로 보여집니다. 당신과 가까이 하는 사람들은 당신이 발하는 강렬함에 이끌립니다.
41점에서 50점까지
주위 사람들은 당신을 상큼하고, 발랄하고, 매력적이고, 재미있고, 현실적이면서 늘 즐거운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디서든지 주위의 이목을 사로잡는 사람이지만 적당한 주제 파악으로 교만해지지 않을 줄도 아는 사람이죠. 당신은 다정하고 친절하며 이해심 많은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처진 기분은 업시켜 주고 어려울 땐 도와주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1점에서 40점까지
다른 사람들이 보는 당신은 현명하고, 신중하며, 조심스럽고, 현실적입니다. 또 당신은 똑똑하고, 재능과 능력이 있으면서 한편 겸손한 사람으로도 여겨지고 있습니다. 당신은 친구를 사귈 때 너무 급하거나 가볍게 접근하지 않으며, 한번 사귄 친구에게는 상당히 극진하고 또 자신도 그렇게 대해주기를 기대합니다. 당신의 참모습을 알게 되는 사람들은, 당신의 친구에 대한 그 신뢰를 흔드는 것이 아주 어렵다는 것과, 한번 그 신뢰가 무너지면 그것을 극복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아주 오래 걸린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21점에서 30점까지
친구들이 보는 당신은 집요하며 깐깐한 사람. 상당히 신중하고 대단히 조심스러우며, 느리고도 꾸준하게 전진하는 사람이지요. 당신이 무슨 일인가를 충동적으로 하는 모습을 본다면 친구들은 상당히 충격을 받을지도 모릅니다. 당신은 무슨 일이든 꼼꼼히 모든 각도에서 살펴본 다음 대부분 퇴짜를 놓는 사람으로 생각되어 지고 있으니까요. 친구들은 당신의 이런 모습은 주로 본인의 성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1점 이하
친구들이 보는 당신은 부끄럼을 많이 타고, 소심하며, 우유부단하고, 누군가가 곁에서 돌봐줘야만 하며, 본인의 일도 누군가가 대신해서 결정해 줘야만 하고 타인이나 어떤 일에 연루되는 것을 피하는 사람입니다. 당신은 그야말로 돈키호테, 있지도 않은 문제점들을 발견해서 대응하려 드는 사람이라고 여겨집니다. ㅅ당신을 가까이서 잘 아는 사람들은 그게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지만, 그 외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신을 지루하다고 볼 것입니다.
가슴 훈훈한 국밥집 할머니 이야기
이 글은 몇 년전 저에게 있던 일이었습니다
저는 그시절,교도소에서 출소한 뒤로 직장을 얻기위해
사방팔방 돌아다녔으나 전과자라는 꼬리표 때문에 그 어디서도
저를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몸도 마음도 피로해지고 배도 곯으면서 앞으로 착하게 살겠다는 제 다짐은 점점 희미해져가고 또다시 세상에 대한
원망만 깊어졌었습니다. 그러다 한 국밥집 앞을 지나가게 되었고
저는 무전취식을 할 생각으로 그곳을 들어갔습니다
저는 들어가서 국밥 한그릇을 주문했고 할머니는 제 행색을 한번
훓어보시고는 이내 국밥 한그릇을 내주었습니다
국밥을 몇분만에 개걸스럽게 먹어치운 저는 잠깐 고민을 하다가
할머니가 한눈을 판 사이에 재빨리 도망을 쳤습니다
그렇게 도망을 치고 있는데 할머니께서는 가게에서 뛰쳐나와
저에게 소리쳤습니다
“뛰지말고 걸어가!! 다쳐!!”
그 소리를 들은 저는 눈물이 왈칵 쏟아짐을 느끼었고 할머니의
말씀대로 걸어갔습니다. 세상은 아직 살만하구나, 다 나쁜 것은 아니구나
그렇게 느끼고 있는 찰나에 저는 가까이 있던 지구대에 의해 체포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뛰지않고 걷는 바람에 할머니는 곧바로 도움을 요청했고
저는 구속되었습니다. 경찰서에서 할머니는 “인생 실전이야 좃만아” 하면서
제 싸대기를 후려쳤습니다
한샘장터의 할매원조국밥집 주인 김순분 할머니. 저 출소까지 4주 남았습니다
씨발!!
할머니 4주후에 봅시다 …….
저는 그시절,교도소에서 출소한 뒤로 직장을 얻기위해
사방팔방 돌아다녔으나 전과자라는 꼬리표 때문에 그 어디서도
저를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몸도 마음도 피로해지고 배도 곯으면서 앞으로 착하게 살겠다는 제 다짐은 점점 희미해져가고 또다시 세상에 대한
원망만 깊어졌었습니다. 그러다 한 국밥집 앞을 지나가게 되었고
저는 무전취식을 할 생각으로 그곳을 들어갔습니다
저는 들어가서 국밥 한그릇을 주문했고 할머니는 제 행색을 한번
훓어보시고는 이내 국밥 한그릇을 내주었습니다
국밥을 몇분만에 개걸스럽게 먹어치운 저는 잠깐 고민을 하다가
할머니가 한눈을 판 사이에 재빨리 도망을 쳤습니다
그렇게 도망을 치고 있는데 할머니께서는 가게에서 뛰쳐나와
저에게 소리쳤습니다
“뛰지말고 걸어가!! 다쳐!!”
그 소리를 들은 저는 눈물이 왈칵 쏟아짐을 느끼었고 할머니의
말씀대로 걸어갔습니다. 세상은 아직 살만하구나, 다 나쁜 것은 아니구나
그렇게 느끼고 있는 찰나에 저는 가까이 있던 지구대에 의해 체포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뛰지않고 걷는 바람에 할머니는 곧바로 도움을 요청했고
저는 구속되었습니다. 경찰서에서 할머니는 “인생 실전이야 좃만아” 하면서
제 싸대기를 후려쳤습니다
한샘장터의 할매원조국밥집 주인 김순분 할머니. 저 출소까지 4주 남았습니다
씨발!!
할머니 4주후에 봅시다 …….
Wednesday, April 28, 2010
AutoCad Tips - AutoCAD 2008 Command List
AutoCad Tips - AutoCAD 2008 Command List
• 3D
숨김, 음영처리 또는 렌더링할 수 있는 공통 기하학적 형상으로 3차원 다각형 메쉬 객체를 작성합니다.
• 3DALIGN
객체를 2D 및 3D에서 다른 객체와 정렬합니다.
• 3DARRAY
3차원 배열을 작성합니다.
• 3DCLIP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평면 자르기 조정 윈도우를 엽니다.
• 3DCONFIG
3D 그래픽 시스템 구성 설정값을 제공합니다.
• 3DCORBIT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객체를 연속 동작으로 설정합니다.
• 3DDISTANCE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객체를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나타나게 합니다.
• 3DDWF
3차원 모형의 3D DWF 파일을 작성하고 DWF 뷰어에 표시합니다.
• 3DDWFPUBLISH
구형
• 3DFACE
3D 공간 어디에서나 3면 또는 4면의 곡면을 작성합니다.
• 3DFLY
3D 도면의 뷰를 대화식으로 변경하여 모형을 플라이쓰루하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 3DFORBIT
자유 궤도를 사용하여 3D에서 객체의 대화식 관측을 조정합니다.
• 3DMESH
자유형 다각형 메쉬를 작성합니다.
• 3DMOVE
3D 뷰에서 맞물림 이동 도구를 표시하고 객체를 지정된 방향의 지정된 거리로 이동합니다.
• 3DORBIT
3D에서 객체의 대화식 관측을 조정합니다.
• 3DORBITCTR
3D 궤도 뷰에서 회전 중심 설정
• 3DPAN
도면이 투시도로 되어 있으면 대화식 3D 뷰가 시작되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뷰를 끌 수 있습니다.
• 3DPOLY
3D 공간에 선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3DROTATE
맞물림 회전 도구를 3D 뷰에 표시하고 기준점 주위에서 객체를 회전시킵니다.
• 3DSIN
3D Studio(3DS) 파일을 가져옵니다.
• 3DSOUT
구형
• 3DSWIVEL
끄는 방향으로 뷰 대상을 변경합니다.
• 3DWALK
3D 도면의 뷰를 대화식으로 변경하여 모형에서 보행시선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 3DZOOM
투시도를 줌 확대하고 줌 축소합니다.
• ABOUT
AutoCAD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ACISIN
ACIS 파일을 가져오고 도면에 본체 객체, 솔리드 또는 영역을 작성합니다.
• ACISOUT
본체 객체, 솔리드 또는 영역을 ACIS 파일로 내보냅니다.
• ADCCLOSE
DesignCenter를 닫습니다.
• ADCENTER
블록, 외부 참조 및 해치 패턴과 같은 컨텐츠를 관리하거나 삽입합니다.
• ADCNAVIGATE
지정된 DesignCenter 도면 파일, 폴더 또는 네트워크 경로를 로드합니다.
• ALIGN
객체를 2D 및 3D에서 다른 객체와 정렬합니다.
• AMECONVERT
AME 솔리드 모델을 AutoCAD 솔리드 객체로 변환합니다.
• ANIPATH
3D 모형의 경로를 따라서 애니메이션을 저장합니다.
• ANNORESET
annotative 객체에 대한 모든 축척 표현의 위치를 현재 축척 표현의 위치로 재설정합니다.
• ANNOUPDATE
객체 스타일의 현재 특성에 맞게 기존 annotative 객체를 업데이트합니다.
• APERTURE
객체 스냅 대상 상자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APPLOAD
응용프로그램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고 시작할 때 로드할 응용프로그램을 정의합니다.
• ARC
호를 작성합니다.
• ARCHIVE
보관할 현재 시트 세트 파일을 패키지합니다.
• AREA
객체 또는 정의된 영역의 면적과 둘레를 계산합니다.
• ARRAY
객체의 다중 사본을 임의의 패턴으로 작성합니다.
• ARX
ObjectARX 응용프로그램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며 ObjectARX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ATTACHURL
도면에 객체 또는 영역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부착합니다.
• ATTDEF
속성 정의를 작성합니다.
• ATTDISP
도면에서 블록 속성의 가시성을 전체적으로 조정합니다.
• ATTEDIT
블록의 속성 정보를 변경합니다.
• ATTEXT
블록과 연관된 정보 문자인 속성 데이터를 파일에 추출합니다.
• ATTIPEDIT
블록 내 속성의 문자 내용을 변경합니다.
• ATTREDEF
블록을 재정의하고 연관된 속성을 업데이트합니다.
• ATTSYNC
지정된 블록의 모든 복제를 블록에 정의된 현재의 속성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합니다.
• AUDIT
도면의 무결성을 평가하고 일부 오류를 정정합니다.
• AUTOPUBLISH
도면을 DWF 파일로 자동 게시합니다.
• BACKGROUND
구형. BACKGROUND 기능이 VIEW 명령에 병합되었습니다.
• BACTION
동작을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ACTIONSET
동적 블록 정의에서 동작과 연관된 객체의 선택 세트를 지정합니다.
• BACTIONTOOL
동작을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ASE
현재 도면의 삽입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 BASSOCIATE
동적 블록 정의에서 동작을 매개변수와 연관시킵니다.
• BATTMAN
블록 정의의 속성 특성을 편집합니다.
• BATTORDER
블록의 속성 순서를 지정합니다.
• BAUTHORPALETTE
블록 편집기에서 블록 제작 팔레트를 엽니다.
• BAUTHORPALETTECLOSE
블록 편집기에서 블록 제작 팔레트 윈도우를 닫습니다.
• BCLOSE
블록 편집기를 닫습니다.
• BCYCLEORDER
동적 블록 참조에 대한 맞물림의 순환 순서를 변경합니다.
• BEDIT
블록 정의 편집 대화상자를 열고 블록 편집기를 엽니다.
• BGRIPSET
매개변수와 연관된 맞물림을 작성, 삭제 또는 재설정합니다.
• BHATCH
닫힌 영역 또는 선택된 객체를 해치 패턴 또는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채웁니다.
• BLIPMODE
표식기 선택점 표시를 조정합니다.
• BLOCK
선택한 객체를 사용해 블록 정의를 작성합니다.
• BLOCKICON
DesignCenter에 표시된 블록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BLOOKUPTABLE
동적 블록 정의에 대한 찾기 테이블을 표시하거나 작성합니다.
• BMPOUT
선택된 객체를 장치 독립 비트맵 형식의 파일로 저장합니다.
• BOUNDARY
닫힌 영역으로부터 영역 또는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BOX
3D 솔리드 상자 작성
• BPARAMETER
맞물림을 가진 매개변수를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REAK
선택된 객체를 두 점 사이에서 끊습니다.
• BREP
3D 솔리드 기본체 및 복합 솔리드로부터 사용 내역을 제거합니다.
• BROWSER
시스템 레지스트리에 정의된 기본 웹 브라우저를 시작합니다.
• BSAVE
현재 블록 정의를 저장합니다.
• BSAVEAS
새 이름으로 현재 블록 정의의 사본을 저장합니다.
• BVHIDE
현재 가시성 상태 또는 동적 블록 정의의 모든 가시성 상태에서 객체를 표시합니다.
• BVSHOW
현재 가시성 상태 또는 동적 블록 정의의 모든 가시성 상태에서 객체를 표시합니다.
• BVSTATE
동적 블록에서 가시성 상태를 작성, 설정 또는 삭제합니다.
• CAL
수학 및 기하 표현식을 계산합니다.
• CAMERA
카메라 및 대상 위치를 설정하여 객체의 3D 투시도를 작성하고 저장합니다.
• CHAMFER
객체의 모서리를 비스듬히 깎습니다.
• CHANGE
기존 객체의 특성을 변경합니다.
• CHECKSTANDARDS
현재 도면이 표준에 맞는지를 검사합니다.
• CHPROP
객체의 특성을 변경합니다.
• CHSPACE
객체를 모형 공간에서 도면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도면 공간에서 모형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 CIRCLE
원 생성
• CLEANSCREENOFF
도구막대 및 고정 가능한 윈도우(명령행 제외)를 복원합니다.
• CLEANSCREENON
도구막대 및 고정 가능한 윈도우(명령행 포함하지 않음) 화면을 지합니다.
• CLOSE
현재 도면 닫기
• CLOSEALL
현재 열려 있는 모든 도면 닫기
• COLOR
새로운 객체의 색상 설정
• COMMANDLINE
명령행 표시
• COMMANDLINEHIDE
명령행을 숨깁니다.
• COMPILE
쉐이프 파일과 PostScript 글꼴 파일을 SHX 파일로 컴파일합니다.
• CONE
대칭적으로 점, 원형 또는 타원형 평면을 향해 점점 줄어드는 원형 또는 타원형 밑면을 사용하여 3D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 CONVERT
AutoCAD 릴리즈 13 또는 그 이전 버전에서 작성된 2D 폴리선 및 연관 해치를 최적화합니다.
• CONVERTCTB
색상 종속 플롯 스타일 테이블(CTB)을 명명된 플롯 스타일 테이블(STB)로 변환합니다.
• CONVERTOLDLIGHTS
이전 릴리즈에서 작성된 조명을 AutoCAD 2007 형식의 조명으로 변환합니다.
• CONVERTOLDMATERIALS
이전 릴리즈에서 작성된 재료를 AutoCAD 2007 형식의 재료로 변환합니다.
• CONVERTPSTYLES
현재 도면을 명명된 플롯 스타일 또는 색상 종속 플롯 스타일로 변환합니다.
• CONVTOSOLID
두께가 있는 폴리선 및 원을 3D 솔리드로 변환합니다.
• CONVTOSURFACE
객체를 곡면으로 변환합니다.
• COPY
지정된 방향에 지정된 거리에 있는 객체 복사
• COPYBASE
지정된 기준점을 사용하여 객체를 복사합니다.
• COPYCLIP
객체 또는 명령 프롬프트 문자를 클립보드로 복사합니다.
• COPYHIST
명령 프롬프트 사용내역에 있는 문자를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COPYLINK
현재 뷰를 다른 OLE 응용프로그램에 링크하기 위해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COPYTOLAYER
하나 이상의 객체를 다른 도면층에 복사합니다.
• CUI
작업공간, 도구막대, 메뉴, 바로 가기 메뉴 및 키보드 바로 가기와 같은 사용자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관리합니다.
• CUIEXPORT
사용자화된 설정을 엔터프라이즈 또는 부분적 CUI 파일로 내보냅니다.
• CUIIMPORT
사용자화된 설정을 엔터프라이즈 또는 부분적 CUI 파일에서 acad.cui로 가져옵니다.
• CUILOAD
CUI 파일 로드
• CUIUNLOAD
CUI 파일 언로드
• CUSTOMIZE
도구 팔레트 및 도구 팔레트 그룹을 사용자화합니다.
• CUTCLIP
객체를 클립보드에 복사하고 도면에서 해당 객체를 제거합니다.
• CYLINDER
원형 또는 타원형 밑면 및 상단을 가진 3면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DASHBOARD
대시보드 윈도우를 엽니다.
• DASHBOARDCLOSE
대시보드 윈도우를 닫습니다.
• DATAEXTRACTION
객체 특성, 블록 속성 및 도면 정보를 데이터 추출 테이블 또는 외부 파일로 내보내고 지정한 데이터 링크를 Excel 스프레드시트로 내보냅니다.
• DATALINK
데이터 링크 관리자가 표시됩니다.
• DATALINKUPDATE
설정된 외부 데이터 링크로/로부터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 DBCONNECT
외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DBLIST
도면의 각 객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나열합니다.
• DDEDIT
단일행 문자, 치수 문자, 속성 정의 및 피쳐 공차 프레임을 편집합니다.
• DDPTYPE
점 객체의 표시 스타일과 크기를 지정합니다.
• DDVPOINT
3차원 관측 방향을 설정합니다.
• DELAY
스크립트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일시 중지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DETACHURL
도면에서 하이퍼링크를 제거합니다.
• DGNADJUST
선택한 DGN 밑바탕의 화면표시 옵션을 변경합니다.
• DGNATTACH
현재 도면에 DGN 밑바탕을 부착합니다.
• DGNCLIP
선택한 DGN 밑바탕의 자르기 경계를 정의합니다.
• DGNEXPORT
현재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V8 DGN 파일을 만듭니다.
• DGNIMPORT
V8 DGN 파일의 데이터를 새 DWG 파일로 가져옵니다.
• DIM 및 DIM1
치수기입 모드에 접근합니다.
• DIMALIGNED
정렬된 선형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ANGULAR
각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ARC
호 길이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BASELINE
이전 치수 또는 선택된 치수의 기준선으로부터 선형 치수, 각도 치수 또는 세로좌표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BREAK
치수 끊기를 추가 또는 제거합니다.
• DIMCENTER
원 및 호의 중심 표식 또는 중심선을 작성합니다.
• DIMCONTINUE
이전 치수 또는 선택된 치수의 두 번째 치수보조선으로부터 선형 치수, 각도 치수 또는 세로좌표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DIAMETER
원 및 호의 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DISASSOCIATE
선택된 치수에서 연관성을 제거합니다.
• DIMEDIT
치수 객체에서 치수 문자 및 치수보조선을 편집합니다.
• DIMINSPECT
검사 치수를 작성 또는 제거합니다.
• DIMJOGGED
꺽기 반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JOGLINE
선형 또는 정렬 치수에 꺽기 선을 추가하거나 제거합니다.
• DIMLINEAR
선형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ORDINATE
세로좌표 점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OVERRIDE
치수기입 시스템 변수를 재지정합니다.
• DIMRADIUS
원 및 호의 반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REASSOCIATE
선택된 치수를 기하학적 객체에 연관시킵니다.
• DIMREGEN
모든 연관 치수의 위치를 업데이트합니다.
• DIMSPACE
평행 선형 및 각도 치수 사이에 간격두기를 동일하게 조정합니다.
• DIMSTYLE
치수 스타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합니다.
• DIMTEDIT
치수 문자를 이동하거나 회전합니다.
• DIST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합니다.
• DISTANTLIGHT
거리 광원 작성
• DIVIDE
객체의 길이 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점 객체 또는 블록을 배치합니다.
• DONUT
채워진 원 및 환을 그립니다.
• DRAGMODE
마우스로 끄는 객체의 표시 방법을 조정합니다.
• DRAWINGRECOVERY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오류 발생 후에 복구할 수 있는 도면 파일 리스트를 표시합니다.
• DRAWINGRECOVERYHIDE
도면 복구 관리자를 닫습니다.
• DRAWORDER
이미지 및 다른 객체의 그리기 순서를 변경합니다.
• DSETTINGS
모눈 및 스냅, 극좌표 및 객체 스냅 추적, 객체 스냅 모드 및 동적 입력을 설정합니다.
• DSVIEWER
공중 뷰 윈도우를 엽니다.
• DVIEW
카메라 및 표적을 사용하여 평행 투영 뷰 또는 투시도를 정의합니다.
• DWFADJUST
명령 프롬프트에서 DWF 밑바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DWFATTACH
현재 도면에 DWF 밑바탕을 부착합니다.
• DWFCLIP
자르기 경계를 사용하여 DWF 밑바탕의 하위 영역을 정의합니다.
• DWFLAYERS
DWF 밑바탕의 도면층 화면표시를 제어합니다.
• DWGPROPS
현재 도면의 특성을 설정하거나 표시합니다.
• DXBIN
특수하게 코딩된 이진 파일을 가져옵니다.
• EATTEDIT
블록 참조의 속성을 편집합니다.
• EATTEXT
객체, 블록 속성 정보 및 도면 정보에서 테이블이나 외부 파일로 특성 데이터를 내보냅니다.
• EDGE
3차원 면 모서리의 가시성 변경
• EDGESURF
3차원 다각형 메쉬를 작성합니다.
• ELEV
새로운 객체의 고도 및 돌출 두께 설정
• ELLIPSE
타원 또는 타원형 호를 작성합니다.
• ERASE
도면에서 객체를 제거합니다.
• ETRANSMIT
인터넷 전송을 위해 파일 세트를 패키지로 묶습니다.
• EXPLODE
복합 객체를 해당 구성요소 객체로 분해합니다.
• EXPORT
객체를 다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EXPORTTOAUTOCAD
모든 AEC 객체를 분해하여 새 DWG 파일을 작성합니다.
• EXTEND
객체를 연장하여 다른 객체와 만나도록 합니다.
• EXTERNALREFERENCES
외부 참조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EXTERNALREFERENCESCLOSE
외부 참조 팔레트를 닫습니다.
• EXTRUDE
객체 또는 평편면을 지정된 거리 및 방향으로 돌출시켜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FIELD
필드 값 변경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될 수 있는 필드를 사용하여 여러 줄 문자 객체를 작성합니다.
• FILL
해치, 이차원 솔리드 및 굵은 폴리선과 같은 객체의 채우기를 조정합니다.
• FILLET
객체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거나 모깎기합니다.
• FILTER
객체가 선택 세트에 포함되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요구사항 리스트를 작성합니다.
• FIND
지정된 문자를 찾거나 대치하거나 선택하거나 줌합니다.
• FLATSHOT
현재 뷰에 있는 모든 3D 객체의 2D 표현을 작성합니다.
• FOG
구형
• FREESPOT
스폿라이트와 유사하지만 지정된 표적이 없는 자유 스폿라이트를 작성합니다.
• FREEWEB
웹 조명과 유사하지만 지정된 표적이 없는 자유 웹 조명을 작성합니다.
• GEOGRAPHICLOCATION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지정합니다.
• GOTOURL
객체에 부착된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엽니다.
• GRADIENT
닫힌 영역 또는 선택된 객체를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채웁니다.
• GRAPHSCR
문자 윈도우에서 도면 영역으로 전환합니다.
• GRID
현재 뷰포트에 플롯되지 않은 모눈을 표시합니다.
• GROUP
그룹이라고 하는 저장된 객체 세트를 작성하고 관리합니다.
• HATCH
해치 패턴, 솔리드 채우기, 또는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닫힌 영역이나 선택된 객체를 채웁니다.
• HATCHEDIT
기존 해치 또는 채우기를 수정합니다.
• HELIX
2D 또는 3D 나선 작성
• HELP
도움말을 표시합니다.
• HIDE
억제된 은선으로 3차원 와이어프레임 모형을 재생성합니다.
• HLSETTINGS
모형의 화면표시 특성을 제어합니다.
• HYPERLINK
객체에 하이퍼링크를 부착하거나 기존 하이퍼링크를 수정합니다.
• HYPERLINKOPTIONS
하이퍼링크 커서, 툴팁 및 바로 가기 메뉴의 화면표시를 조정합니다.
• ID
위치의 좌표를 표시합니다.
• IMAGE
외부 참조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IMAGEADJUST
이미지의 밝기, 대비 및 흐림 값을 사용한 이미지 표시를 조정합니다.
• IMAGEATTACH
현재 도면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착합니다.
• IMAGECLIP
경계 자르기를 사용하여 이미지 객체의 하부 영역을 정의합니다.
• IMAGEFRAME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고 플롯할지 여부를 조정합니다.
• IMAGEQUALITY
이미지의 화면표시 품질을 조정합니다.
• IMPORT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가져오기합니다.
• IMPRINT
3D 솔리드에 모서리 각인
• INSERT
명명된 블록 또는 도면을 현재 도면에 배치합니다.
• INSERTOBJ
링크된 객체 또는 포함된 객체 삽입
• INTERFERE
겹쳐진 3D 솔리드 강조 표시
• INTERSECT
두 개 이상의 솔리드 또는 영역의 교차점에서 복합 솔리드나 영역을 작성하거나 교차점 밖의 영역을 제거합니다.
• ISOPLANE
현재 등각투영 평면을 지정합니다.
• JOGSECTION
꺽어진 세그먼트를 단면 객체에 추가합니다.
• JOIN
객체를 결합하여 끊어지지 않는 단일 객체를 형성합니다.
• JPGOUT
선택한 객체를 JPEG 파일 형식의 파일에 저장합니다.
• JUSTIFYTEXT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선택한 문자 객체의 자리맞춤 점을 변경합니다.
• LAYCUR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변경합니다.
• LAYDEL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 및 도면층의 모든 객체를 삭제하고 도면에서 도면층을 소거합니다.
• LAYER
도면층 및 도면층 특성 관리
• LAYERP
도면층 설정값에 대해 최근에 변경된 사항을 취소합니다.
• LAYERPMODE
도면층 설정에 대해 변경된 사항에 대한 추적을 켜거나 끕니다.
• LAYERSTATE
명명된 도면층 상태를 저장, 복원 및 관리합니다.
• LAYFRZ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동결합니다.
• LAYISO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이 아닌 다른 모든 도면층을 숨기거나 잠급니다.
• LAYLCK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잠급니다.
• LAYMCH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이 대상 도면층과 일치하도록 변경합니다.
• LAYMCUR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만듭니다.
• LAYMRG
선택한 도면층을 대상 도면층에 결합합니다.
• LAYOFF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끕니다.
• LAYON
모든 도면층을 켭니다.
• LAYOUT
도면 배치 탭을 작성 및 수정합니다.
• LAYOUTWIZARD
새로운 배치 탭을 작성하고 페이지와 플롯 설정값을 지정합니다.
• LAYTHW
모든 도면층을 동결해제합니다.
• LAYTRANS
도면의 도면층을 사용자가 지정한 도면층 표준으로 변경합니다.
• LAYULK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잠금해제합니다.
• LAYUNISO
최종 LAYISO 명령을 사용하여 꺼진 도면층을 켭니다.
• LAYVPI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뷰포트로 분리합니다.
• LAYWALK
도면의 도면층을 동적으로 표시합니다.
• LEADER
피쳐에 주석을 연결해 주는 선을 작성합니다.
• LENGTHEN
객체의 길이와 호의 사이각을 변경합니다.
• LIGHT
조명을 작성합니다.
• LIGHTLIST
모형의 조명 윈도우를 열어 조명을 추가 및 수정합니다.
• LIGHTLISTCLOSE
모형의 조명 윈도우를 닫습니다.
• LIMITS
현재 모형 또는 배치 탭의 모눈 표시 한계를 설정하고 조정합니다.
• LINE
직선 세그먼트를 작성합니다.
• LINETYPE
선종류를 로드하거나 설정하거나 수정합니다.
• LIST
선택된 객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표시합니다.
• LIVESECTION
선택한 단면 객체에 대한 활성 단면을 켭니다.
• LOAD
쉐이프를 SHAPE 명령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듭니다.
• LOFT
둘 이상의 곡선 세트를 통해 올려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LOGFILEOFF
LOGFILEON에 의해 열린 문자 윈도우 로그 파일을 닫습니다.
• LOGFILEON
문자 윈도우의 내용을 파일에 씁니다.
• LSEDIT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SLIB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SNEW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TSCALE
전역 선종류 축척 비율을 설정합니다.
• LWEIGHT
현재 선가중치, 선가중치 표시 옵션 및 선가중치 단위를 설정합니다.
• MARKUP
표식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MARKUPCLOSE
표식 세트 관리자를 닫습니다.
• MASSPROP
영역 또는 3D 솔리드의 질량 특성을 계산합니다.
• MATCHCELL
선택한 테이블 셀의 특성을 다른 테이블 셀에 적용합니다.
• MATCHPROP
선택한 객체의 특성을 다른 객체에 적용합니다.
• MATERIALATTACH
도면층별로 객체에 재료를 적용합니다.
• MATERIALMAP
재료 매핑 gizmo를 표시하여 면 또는 객체의 매핑을 조정합니다.
• MATERIALS
재료를 관리, 적용 및 수정합니다.
• MATERIALSCLOSE
재료 윈도우를 닫습니다.
• MATLIB
구형
• MEASURE
길이 분할된 간격으로 객체에 점 객체 또는 블록을 배치합니다.
• MENU
사용자화 파일 로드
• MENULOAD
구형
• MENUUNLOAD
구형
• MINSERT
블록의 다중 복제를 직사각형 배열로 삽입합니다.
• MIRROR
객체의 대칭 이미지 사본을 작성합니다
• MIRROR3D
평면을 중심으로 객체의 대칭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MLEADER
피쳐에 주석을 연결하는 선을 작성합니다.
• MLEADERALIGN
지정된 선을 따라 선택된 다중 지시선을 구성합니다.
• MLEADERCOLLECT
블록을 컨텐츠로 포함하는 선택한 다중 지시선을 단일 지시선에 부착된 그룹으로 구성합니다.
• MLEADEREDIT
다중 지시선 객체에 지시선을 추가하거나 지시선을 제거합니다.
• MLEADERSTYLE
새 다중 지시선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MLEDIT
여러 줄 교차점, 중단점 및 정점을 편집합니다.
• MLINE
다중 평행선을 작성합니다.
• MLSTYLE
여러 줄 스타일을 작성, 수정 및 관리합니다.
• MODEL
배치 탭에서 모형 탭으로 전환합니다
• MOVE
객체를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합니다
• MREDO
몇 가지 이전 UNDO 또는 U 명령의 효과를 되돌립니다.
• MSLIDE
현재 모형 뷰포트 또는 현재 배치의 슬라이드 파일을 작성합니다.
• MSPACE
도면 공간에서 모형 공간 뷰포트로 전환합니다.
• MTEDIT
여러 줄 문자를 편집합니다.
• MTEXT
문자 단락을 하나의 여러 줄 문자(mtext) 객체로 작성합니다.
• MULTIPLE
취소할 때까지 다음 명령을 반복합니다.
• MVIEW
배치 뷰포트를 작성하고 조정합니다.
• MVSETUP
도면의 지정사항을 설정합니다.
• NETLOAD
.NET 응용프로그램 로드
• NEW
새 도면을 작성합니다.
• NEWSHEETSET
새 시트 세트 생성
• OBJECTSCALE
annotative 객체에 대해 지원되는 축척을 추가 또는 삭제합니다.
• OFFSET
동심원, 평행선 및 평행 곡선을 작성합니다.
• OLELINKS
기존 OLE 링크를 업데이트, 변경 및 취소합니다.
• OLESCALE
선택한 OLE 객체의 크기, 축척 및 기타 특성을 조정합니다.
• OOPS
지워진 객체를 복원합니다.
• OPEN
기존 도면 파일을 엽니다.
• OPENDWFMARKUP
표식이 있는 DWF 파일 열기
• OPENSHEETSET
선택한 시트 세트 열기
• OPTIONS
프로그램 설정값을 사용자화합니다.
• ORTHO
커서 이동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제한합니다.
• OSNAP
활성 객체 스냅 모드를 설정합니다.
• PAGESETUP
페이지 배치, 플로팅 장치, 용지 크기 및 새로운 각 배치에 대한 기타 설정값을 조정합니다.
• PAN
현재 뷰포트에서 뷰를 이동합니다.
• PARTIALOAD
부분적으로 열린 도면에 추가 형상을 로드합니다.
• PARTIALOPEN
선택된 뷰 또는 도면층의 형상 및 명명된 객체를 도면에 로드합니다
• PASTEASHYPERLINK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하이퍼링크로 삽입합니다.
• PASTEBLOCK
복사된 객체를 블록으로 붙여넣습니다.
• PASTECLIP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삽입합니다.
• PASTEORIG
원래 도면의 좌표를 사용하여 새로운 도면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습니다.
• PASTESPEC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삽입하고 데이터의 서식을 조정합니다.
• PCINWIZARD
마법사를 표시하여 PCP 및 PC2 구성 파일 플롯 설정값을 모형 탭 또는 현재의 배치로 가져옵니다.
• PEDIT
폴리선 및 3차원 다각형 메쉬를 편집합니다.
• PFACE
정점 별로 3차원 폴리면 메쉬를 작성합니다.
• PLAN
지정된 사용자 좌표계의 평면 뷰를 표시합니다.
• PLANESURF
평면 곡면 작성
• PLINE
2차원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PLOT
도면을 플로터, 프린터 또는 파일 플롯
• PLOTSTAMP
각 도면의 지정된 구석에 플롯 스탬프를 배치하고 파일에 로그를 기록합니다.
• PLOTSTYLE
새로운 객체의 현재 플롯 스타일을 설정하거나 선택된 객체에 플롯 스타일을 지정합니다.
• PLOTTERMANAGER
플로터 구성을 추가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플로터 관리자를 표시합니다.
• PNGOUT
선택한 객체를 파일에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POINT
점 객체를 작성합니다.
• POINTLIGHT
점 광원을 작성합니다.
• POLYGON
닫힌 등변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POLYSOLID
3D 폴리솔리드 작성
• PRESSPULL
경계 영역을 누르거나 당깁니다.
• PREVIEW
도면이 플롯될 모양을 보여줍니다.
• PROPERTIES
기존 객체의 특성을 조정합니다.
• PROPERTIESCLOSE
특성 팔레트를 닫습니다.
• PSETUPIN
사용자 정의 페이지 설정을 새로운 도면 배치로 가져옵니다.
• PSPACE
모형 공간에서 도면 공간으로 전환합니다.
• PUBLISH
도면을 DWF 파일 또는 플로터로 게시합니다.
• PUBLISHTOWEB
선택한 도면의 이미지가 포함된 HTML 페이지를 작성합니다.
• PURGE
도면에서 블록 정의와 도면층과 같은 사용되지 않은 명명된 항목을 제거합니다.
• PYRAMID
3D 솔리드 피라미드작성
• QCCLOSE
QuickCalc를 닫습니다.
• QDIM
치수를 신속하게 작성합니다.
• QLEADER
지시선 및 지시선 주석을 작성합니다.
• QNEW
기본 도면 템플릿 파일 사용하기 옵션으로 새 도면을 시작합니다.
• QSAVE
현재 도면을 옵션 대화상자에 지정된 파일 형식을 사용하여 저장합니다.
• QSELECT
필터링 기준에 따라 선택 세트를 작성합니다.
• QTEXT
문자 및 속성 객체의 화면표시와 플로팅을 조정합니다.
• QUICKCALC
QuickCalc 계산기를 엽니다.
• QUICKCUI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대화상자를 축소된 상태로 표시합니다.
• QUIT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RAY
반 무한선을 작성합니다.
• RECOVER
손상된 도면을 복구합니다.
• RECOVERALL
손상된 도면 및 외부 참조를 복구합니다.
• RECTANG
직사각형 폴리선 그리기
• REDEFINE
UNDEFINE에 의해 재지정된 AutoCAD 내부 명령을 복원합니다.
• REDO
이전 UNDO 또는 U 명령의 효과를 되돌립니다.
• REDRAW
현재 뷰포트의 화면표시를 갱신합니다.
• REDRAWALL
모든 뷰포트의 화면표시를 갱신합니다.
• REFCLOSE
참조(외부 참조 또는 블록)를 내부 편집하는 동안 변경한 사항을 참조로 다시 저장하거나 취소합니다.
• REFEDIT
편집하려는 외부 참조 또는 블록 참조를 선택합니다.
• REFSET
참조(외부 참조 또는 블록)를 내부 편집하는 동안 작업 세트에 객체를 추가하거나 작업 세트에서 객체를 제거합니다.
• REGEN
현재 뷰포트에서 전체 도면을 재생성합니다.
• REGENALL
도면을 재생성하고 모든 뷰포트를 갱신합니다.
• REGENAUTO
도면의 자동 재생성을 조정합니다.
• REGION
영역을 둘러싼 객체를 영역 객체로 변환합니다.
• REINIT
디지타이저, 디지타이저 입/출력 포트 및 프로그램 매개변수 파일을 다시 초기화합니다.
• RENAME
명명된 객체의 이름 변경
• RENDER
3차원 와이어프레임이나 솔리드 모형의 포토리얼리스틱 또는 사실적으로 음영처리된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RENDERCROP
렌더링할 이미지의 특정 영역(오리기 윈도우)을 선택합니다.
• RENDERENVIRONMENT
객체가 보이는 거리에 대한 시각적 큐를 제공합니다.
• RENDEREXPOSURE
가장 최근에 렌더링된 출력에 대해 전역 조명을 대화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설정을 제공합니다.
• RENDERPRESETS
이미지를 렌더링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렌더링 매개변수인 렌더 사전 설정을 지정합니다.
• RENDERWIN
렌더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렌더 윈도우를 표시함
• RENDSCR
구형
• REPLAY
구형
• RESETBLOCK
하나 이상의 동적 블록 참조를 블록 정의의 기본값으로 재설정합니다.
• RESUME
중단된 스크립트를 계속합니다.
• REVCLOUD
연속 호로 이루어진 폴리선을 작성하여 구름 모양을 형성합니다.
• REVOLVE
2D 객체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REVSURF
선택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메쉬를 작성합니다.
• RMAT
구형
• ROTATE
기준점을 중심으로 객체 회전
• ROTATE3D
3차원 축을 중심으로 객체를 이동합니다.
• RPREF
고급 렌더링 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고급 렌더 설정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RPREFCLOSE
렌더 설정 팔레트가 표시된 경우 닫음
• RSCRIPT
스크립트 파일을 반복합니다.
• RULESURF
두 곡선 사이에 직선보간 메쉬를 작성함
• SAVE
도면을 현재 파일 이름 또는 지정한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SAVEAS
현재 도면의 사본을 새로운 파일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SAVEIMG
렌더링된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합니다.
• SCALE
선택한 객체를 X, Y, Z 방향으로 일정하게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 SCALELISTEDIT
배치 뷰포트, 페이지 배치 및 플로팅에 사용할 수 있는 축척 리스트를 조정합니다.
• SCALETEXT
선택된 문자 객체를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 SCRIPT
스크립트 파일로 일련의 명령을 실행합니다.
• SECTION
평면과 솔리드의 교차점을 사용하여 영역을 작성합니다.
• SECTIONPLANE
3D 객체에서 절단 평면 기능을 하는 단면 객체를 작성합니다.
• SECURITYOPTIONS
보안 옵션 대화상자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값을 조정합니다.
• SELECT
선택한 객체를 이전 선택 세트에 배치합니다.
• SETBYLAYER
선택한 객체에 대한 특성 및 ByBlock 설정을 ByLayer로 변경합니다.
• SETIDROPHANDLER
현재 Autodesk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i-drop 컨텐츠의 기본 유형을 지정합니다.
• SETUV
구형
• SETVAR
시스템 변수의 값을 나열하거나 변경합니다.
• SHADEMODE
VSCURRENT 명령을 시작합니다.
• SHAPE
LOAD를 사용하여 로드된 쉐이프 파일의 쉐이프를 삽입합니다.
• SHEETSET
시트 세트 관리자를 엽니다.
• SHEETSETHIDE
시트 세트 관리자 닫기
• SHELL
운영 체제 명령에 접근합니다.
• SHOWMAT
구형
• SIGVALIDATE
파일에 부착된 디지털 서명 정보를 표시합니다.
• SKETCH
자유롭게 그린 일련의 선 세그먼트를 작성합니다.
• SLICE
평면 또는 곡면으로 솔리드를 자릅니다.
• SNAP
커서의 움직임을 지정된 간격으로 제한합니다.
• SOLDRAW
SOLVIEW를 사용하여 작성된 뷰포트에서 윤곽과 단면을 생성합니다.
• SOLID
솔리드로 채워진 삼각형과 사변형을 작성합니다.
• SOLIDEDIT
3D 솔리드 객체의 면과 모서리를 편집합니다.
• SOLPROF
도면 공간에서 3차원 솔리드의 윤곽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SOLVIEW
직교 투영으로 배치 뷰포트를 작성하여 3D 솔리드의 다중 및 단면 뷰 도면과 본체 객체를 배치합니다.
• SPACETRANS
배치에서 해당 모형 공간 및 도면 공간 길이를 계산합니다.
• SPELL
도면에서 철자를 검사합니다.
• SPHERE
3D 솔리드 구
• SPLINE
지정된 공차 내에서 일련의 점에 부드러운 곡선을 맞춥니다.
• SPLINEDIT
스플라인 또는 스플라인 맞춤 폴리선을 편집합니다.
• SPORTLIGHT
스폿라이트를 작성합니다.
• STANDARDS
표준 파일과 도면의 연관성을 관리합니다.
• STATUS
도면 통계, 모드 및 범위를 표시합니다.
• STLOUT
솔리드를 ASCII 또는 이진 파일로 저장합니다.
• STRETCH
객체를 이동 또는 신축합니다.
• STYLE
명명된 문자 스타일을 작성, 수정 또는 설정합니다.
• STYLESMANAGER
플롯 스타일 관리자를 표시합니다.
• SUBTRACT
선택된 영역 또는 솔리드를 빼기로 결합니다.
• SUNPROPERTIES
일영 특성 윈도우를 열고 일영의 특성을 설정합니다.
• SUNPROPERTIESCLOSE
일영 특성 윈도우를 닫습니다.
• SWEEP
2D 곡선을 경로에 따라 스윕하여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SYSWINDOWS
응용프로그램 윈도우가 외부 응용프로그램과 공유될 때 윈도우와 아이콘을 정렬합니다.
• TABLE
도면에 빈 테이블 객체를 작성합니다.
• TABLEDIT
테이블 셀에서 문자를 편집합니다.
• TABLEEXPORT
테이블 객체에서 CSV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를 내보냅니다.
• TABLESTYLE
새 테이블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TABLET
부착한 디지타이징 타블렛을 조정하고, 구성하며, 켜고 끕니다.
• TABSURF
경로 곡선 및 방향 벡터로부터 방향 벡터 메쉬를 작성합니다.
• TARGETPOINT
표적 점 광원을 작성합니다.
• TASKBAR
Windows taskbar에 도면이 표시되는 방식을 조정합니다.
• TEXT
단일행 문자 객체를 작성합니다.
• TEXTSCR
문자 윈도우를 엽니다.
• TEXTTOFRONT
도면의 다른 모든 객체 앞으로 문자 및 치수를 가져옵니다
• THICKEN
곡면을 굵게 하여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TIFOUT
선택된 객체를 파일에 TIF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TIME
도면의 날짜 및 시간 통계를 표시합니다.
• TINSERT
테이블 셀에 블록을 삽입합니다.
• TOLERANCE
기하학적 공차를 작성합니다.
• TOOLBAR
도구막대를 표시하고, 숨기며, 사용자화합니다.
• TOOLPALETTES
도구 팔레트 윈도우를 엽니다.
• TOOLPALETTESCLOSE
도구 팔레트 윈도우를 닫습니다.
• TORUS
3D 도넛형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TPNAVIGATE
지정된 도구 팔레트 또는 팔레트 그룹을 표시합니다.
• TRACE
솔리드 선을 작성합니다.
• TRANSPARENCY
비트 이미지의 배경 픽셀을 투명하게 할지 불투명하게 할지 여부를 제어합니다.
• TRAYSETTINGS
상태막대 트레이에서 아이콘과 알림 표시를 조정합니다.
• TREESTAT
도면의 현재 공간 색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TRIM
다른 객체에 의해 정의된 자르기 모서리에서 객체를 자릅니다.
• U
최근 작업 되돌리기
• UCS
사용자 좌표계를 관리합니다.
• UCSICON
UCS 아이콘의 가시성과 배치를 조정합니다.
• UCSMAN
정의된 사용자 좌표계 관리
• UNDEFINE
응용프로그램에서 정의한 명령이 내부 명령을 재지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UNDO
명령의 결과를 되돌립니다.
• UNION
선택한 영역 또는 솔리드를 추가로 결합
• UNITS
좌표 및 각도 표시 형식과 정밀도를 조정합니다.
• UPDATEFIELD
도면에 있는 선택된 객체에서 필드 수동 업데이트
• UPDATETHUMBSNOW
시트 세트 관리자에서 시트, 시트 뷰 및 모형 공간 뷰에 대한 썸네일 미리보기를 수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VBAIDE
Visual Basic Editor를 표시합니다.
• VBALOAD
전체 VBA 프로젝트를 현재 작업 세션에 로드합니다.
• VBAMAN
VBA 프로젝트를 로드, 언로드, 저장, 작성, 포함 및 추출합니다.
• VBARUN
VBA 매크로를 실행합니다.
• VBASTMT
AutoCAD 명령행에서 VBA문을 실행합니다.
• VBAUNLOAD
전체 VBA 프로젝트를 언로드합니다.
• VIEW
명명된 뷰, 카메라 뷰, 배치 뷰 및 사전 설정 뷰를 저장하고 복원합니다.
• VIEWPLOTDETAILS
완료된 플롯 및 게시 작업에 관한 정보 표시
• VIEWRES
현재 뷰포트에 있는 객체의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 VISUALSTYLES
뷰 스타일을 작성하고 수정한 다음 뷰 스타일을 뷰포트에 적용합니다.
• VISUALSTYLESCLOSE
뷰 스타일 관리자를 닫음
• VLISP
Visual LISP 대화식 개발 환경(IDE)을 표시합니다.
• VPCLIP
뷰포트 객체를 자르고 뷰포트 경계를 고칩니다.
• VPLAYER
뷰포트 내의 도면층 가시성을 설정합니다.
• VPMAX
편집하려는 현재 배치 뷰포트를 확대합니다.
• VPMIN
현재 배치 뷰포트 복원
• VPOINT
도면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한 관측 방향을 설정합니다.
• VPORTS
모형 공간 또는 도면 공간에서 다중 뷰포트 작성
• VSCURRENT
현재 뷰포트의 뷰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 VSLIDE
현재 뷰포트에 이미지 슬라이드 파일을 표시합니다.
• VSSAVE
뷰 스타일을 저장합니다.
• VTOPTIONS
뷰의 변경 사항을 부드러운 전환으로 표시합니다.
• WALKFLYSETTINGS
보행시선 및 조감뷰 설정 지정
• WBLOCK
객체 또는 블록을 새로운 도면 파일에 씁니다.
• WEBLIGHT
웹 광원을 작성합니다.
• WEDGE
X축을 따라 테이퍼되는 경사진 면이 있는 5면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WHOHAS
열려 있는 도면 파일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WIPEOUT
공백 영역으로 기존 객체를 덮습니다.
• WMFIN
Windows 메타 파일을 가져옵니다.
• WMFOPTS
WMFIN에 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 WMFOUT
객체를 Windows 메타 파일로 저장합니다.
• WORKSPACE
작업공간을 작성, 수정 및 저장하고 작업공간을 현재로 만듭니다.
• WSSAVE
작업공간 저장
• WSSETTINGS
작업공간에 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 XATTACH
외부 참조를 현재 도면에 부착합니다.
• XBIND
외부 참조에서 명명된 객체의 하나 이상의 정의를 현재 도면으로 결합합니다.
• XCLIP
외부 참조 또는 블록 자르기 경계를 정의하고 앞면 및 뒷면 자르기 평면을 설정합니다.
• XEDGES
3D 솔리드 또는 곡면에서 모서리을 추출하여 와이어프레임 형상을 작성합니다.
• XLINE
무한선을 작성합니다.
• XOPEN
선택한 도면 참조(xref)를 새 윈도우에서 엽니다.
• XPLODE
복합 객체를 해당 구성요소 객체들로 나눕니다.
• XREF
EXTERNALREFERENCES 명령을 시작합니다.
• ZOOM
현재 뷰포트에서 객체의 표시되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 3D
숨김, 음영처리 또는 렌더링할 수 있는 공통 기하학적 형상으로 3차원 다각형 메쉬 객체를 작성합니다.
• 3DALIGN
객체를 2D 및 3D에서 다른 객체와 정렬합니다.
• 3DARRAY
3차원 배열을 작성합니다.
• 3DCLIP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평면 자르기 조정 윈도우를 엽니다.
• 3DCONFIG
3D 그래픽 시스템 구성 설정값을 제공합니다.
• 3DCORBIT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객체를 연속 동작으로 설정합니다.
• 3DDISTANCE
대화식 3D 뷰를 시작하고 객체를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나타나게 합니다.
• 3DDWF
3차원 모형의 3D DWF 파일을 작성하고 DWF 뷰어에 표시합니다.
• 3DDWFPUBLISH
구형
• 3DFACE
3D 공간 어디에서나 3면 또는 4면의 곡면을 작성합니다.
• 3DFLY
3D 도면의 뷰를 대화식으로 변경하여 모형을 플라이쓰루하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 3DFORBIT
자유 궤도를 사용하여 3D에서 객체의 대화식 관측을 조정합니다.
• 3DMESH
자유형 다각형 메쉬를 작성합니다.
• 3DMOVE
3D 뷰에서 맞물림 이동 도구를 표시하고 객체를 지정된 방향의 지정된 거리로 이동합니다.
• 3DORBIT
3D에서 객체의 대화식 관측을 조정합니다.
• 3DORBITCTR
3D 궤도 뷰에서 회전 중심 설정
• 3DPAN
도면이 투시도로 되어 있으면 대화식 3D 뷰가 시작되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뷰를 끌 수 있습니다.
• 3DPOLY
3D 공간에 선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3DROTATE
맞물림 회전 도구를 3D 뷰에 표시하고 기준점 주위에서 객체를 회전시킵니다.
• 3DSIN
3D Studio(3DS) 파일을 가져옵니다.
• 3DSOUT
구형
• 3DSWIVEL
끄는 방향으로 뷰 대상을 변경합니다.
• 3DWALK
3D 도면의 뷰를 대화식으로 변경하여 모형에서 보행시선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 3DZOOM
투시도를 줌 확대하고 줌 축소합니다.
• ABOUT
AutoCAD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ACISIN
ACIS 파일을 가져오고 도면에 본체 객체, 솔리드 또는 영역을 작성합니다.
• ACISOUT
본체 객체, 솔리드 또는 영역을 ACIS 파일로 내보냅니다.
• ADCCLOSE
DesignCenter를 닫습니다.
• ADCENTER
블록, 외부 참조 및 해치 패턴과 같은 컨텐츠를 관리하거나 삽입합니다.
• ADCNAVIGATE
지정된 DesignCenter 도면 파일, 폴더 또는 네트워크 경로를 로드합니다.
• ALIGN
객체를 2D 및 3D에서 다른 객체와 정렬합니다.
• AMECONVERT
AME 솔리드 모델을 AutoCAD 솔리드 객체로 변환합니다.
• ANIPATH
3D 모형의 경로를 따라서 애니메이션을 저장합니다.
• ANNORESET
annotative 객체에 대한 모든 축척 표현의 위치를 현재 축척 표현의 위치로 재설정합니다.
• ANNOUPDATE
객체 스타일의 현재 특성에 맞게 기존 annotative 객체를 업데이트합니다.
• APERTURE
객체 스냅 대상 상자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APPLOAD
응용프로그램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고 시작할 때 로드할 응용프로그램을 정의합니다.
• ARC
호를 작성합니다.
• ARCHIVE
보관할 현재 시트 세트 파일을 패키지합니다.
• AREA
객체 또는 정의된 영역의 면적과 둘레를 계산합니다.
• ARRAY
객체의 다중 사본을 임의의 패턴으로 작성합니다.
• ARX
ObjectARX 응용프로그램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며 ObjectARX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ATTACHURL
도면에 객체 또는 영역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부착합니다.
• ATTDEF
속성 정의를 작성합니다.
• ATTDISP
도면에서 블록 속성의 가시성을 전체적으로 조정합니다.
• ATTEDIT
블록의 속성 정보를 변경합니다.
• ATTEXT
블록과 연관된 정보 문자인 속성 데이터를 파일에 추출합니다.
• ATTIPEDIT
블록 내 속성의 문자 내용을 변경합니다.
• ATTREDEF
블록을 재정의하고 연관된 속성을 업데이트합니다.
• ATTSYNC
지정된 블록의 모든 복제를 블록에 정의된 현재의 속성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합니다.
• AUDIT
도면의 무결성을 평가하고 일부 오류를 정정합니다.
• AUTOPUBLISH
도면을 DWF 파일로 자동 게시합니다.
• BACKGROUND
구형. BACKGROUND 기능이 VIEW 명령에 병합되었습니다.
• BACTION
동작을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ACTIONSET
동적 블록 정의에서 동작과 연관된 객체의 선택 세트를 지정합니다.
• BACTIONTOOL
동작을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ASE
현재 도면의 삽입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 BASSOCIATE
동적 블록 정의에서 동작을 매개변수와 연관시킵니다.
• BATTMAN
블록 정의의 속성 특성을 편집합니다.
• BATTORDER
블록의 속성 순서를 지정합니다.
• BAUTHORPALETTE
블록 편집기에서 블록 제작 팔레트를 엽니다.
• BAUTHORPALETTECLOSE
블록 편집기에서 블록 제작 팔레트 윈도우를 닫습니다.
• BCLOSE
블록 편집기를 닫습니다.
• BCYCLEORDER
동적 블록 참조에 대한 맞물림의 순환 순서를 변경합니다.
• BEDIT
블록 정의 편집 대화상자를 열고 블록 편집기를 엽니다.
• BGRIPSET
매개변수와 연관된 맞물림을 작성, 삭제 또는 재설정합니다.
• BHATCH
닫힌 영역 또는 선택된 객체를 해치 패턴 또는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채웁니다.
• BLIPMODE
표식기 선택점 표시를 조정합니다.
• BLOCK
선택한 객체를 사용해 블록 정의를 작성합니다.
• BLOCKICON
DesignCenter에 표시된 블록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BLOOKUPTABLE
동적 블록 정의에 대한 찾기 테이블을 표시하거나 작성합니다.
• BMPOUT
선택된 객체를 장치 독립 비트맵 형식의 파일로 저장합니다.
• BOUNDARY
닫힌 영역으로부터 영역 또는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BOX
3D 솔리드 상자 작성
• BPARAMETER
맞물림을 가진 매개변수를 동적 블록 정의에 추가합니다.
• BREAK
선택된 객체를 두 점 사이에서 끊습니다.
• BREP
3D 솔리드 기본체 및 복합 솔리드로부터 사용 내역을 제거합니다.
• BROWSER
시스템 레지스트리에 정의된 기본 웹 브라우저를 시작합니다.
• BSAVE
현재 블록 정의를 저장합니다.
• BSAVEAS
새 이름으로 현재 블록 정의의 사본을 저장합니다.
• BVHIDE
현재 가시성 상태 또는 동적 블록 정의의 모든 가시성 상태에서 객체를 표시합니다.
• BVSHOW
현재 가시성 상태 또는 동적 블록 정의의 모든 가시성 상태에서 객체를 표시합니다.
• BVSTATE
동적 블록에서 가시성 상태를 작성, 설정 또는 삭제합니다.
• CAL
수학 및 기하 표현식을 계산합니다.
• CAMERA
카메라 및 대상 위치를 설정하여 객체의 3D 투시도를 작성하고 저장합니다.
• CHAMFER
객체의 모서리를 비스듬히 깎습니다.
• CHANGE
기존 객체의 특성을 변경합니다.
• CHECKSTANDARDS
현재 도면이 표준에 맞는지를 검사합니다.
• CHPROP
객체의 특성을 변경합니다.
• CHSPACE
객체를 모형 공간에서 도면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도면 공간에서 모형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 CIRCLE
원 생성
• CLEANSCREENOFF
도구막대 및 고정 가능한 윈도우(명령행 제외)를 복원합니다.
• CLEANSCREENON
도구막대 및 고정 가능한 윈도우(명령행 포함하지 않음) 화면을 지합니다.
• CLOSE
현재 도면 닫기
• CLOSEALL
현재 열려 있는 모든 도면 닫기
• COLOR
새로운 객체의 색상 설정
• COMMANDLINE
명령행 표시
• COMMANDLINEHIDE
명령행을 숨깁니다.
• COMPILE
쉐이프 파일과 PostScript 글꼴 파일을 SHX 파일로 컴파일합니다.
• CONE
대칭적으로 점, 원형 또는 타원형 평면을 향해 점점 줄어드는 원형 또는 타원형 밑면을 사용하여 3D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 CONVERT
AutoCAD 릴리즈 13 또는 그 이전 버전에서 작성된 2D 폴리선 및 연관 해치를 최적화합니다.
• CONVERTCTB
색상 종속 플롯 스타일 테이블(CTB)을 명명된 플롯 스타일 테이블(STB)로 변환합니다.
• CONVERTOLDLIGHTS
이전 릴리즈에서 작성된 조명을 AutoCAD 2007 형식의 조명으로 변환합니다.
• CONVERTOLDMATERIALS
이전 릴리즈에서 작성된 재료를 AutoCAD 2007 형식의 재료로 변환합니다.
• CONVERTPSTYLES
현재 도면을 명명된 플롯 스타일 또는 색상 종속 플롯 스타일로 변환합니다.
• CONVTOSOLID
두께가 있는 폴리선 및 원을 3D 솔리드로 변환합니다.
• CONVTOSURFACE
객체를 곡면으로 변환합니다.
• COPY
지정된 방향에 지정된 거리에 있는 객체 복사
• COPYBASE
지정된 기준점을 사용하여 객체를 복사합니다.
• COPYCLIP
객체 또는 명령 프롬프트 문자를 클립보드로 복사합니다.
• COPYHIST
명령 프롬프트 사용내역에 있는 문자를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COPYLINK
현재 뷰를 다른 OLE 응용프로그램에 링크하기 위해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COPYTOLAYER
하나 이상의 객체를 다른 도면층에 복사합니다.
• CUI
작업공간, 도구막대, 메뉴, 바로 가기 메뉴 및 키보드 바로 가기와 같은 사용자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관리합니다.
• CUIEXPORT
사용자화된 설정을 엔터프라이즈 또는 부분적 CUI 파일로 내보냅니다.
• CUIIMPORT
사용자화된 설정을 엔터프라이즈 또는 부분적 CUI 파일에서 acad.cui로 가져옵니다.
• CUILOAD
CUI 파일 로드
• CUIUNLOAD
CUI 파일 언로드
• CUSTOMIZE
도구 팔레트 및 도구 팔레트 그룹을 사용자화합니다.
• CUTCLIP
객체를 클립보드에 복사하고 도면에서 해당 객체를 제거합니다.
• CYLINDER
원형 또는 타원형 밑면 및 상단을 가진 3면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DASHBOARD
대시보드 윈도우를 엽니다.
• DASHBOARDCLOSE
대시보드 윈도우를 닫습니다.
• DATAEXTRACTION
객체 특성, 블록 속성 및 도면 정보를 데이터 추출 테이블 또는 외부 파일로 내보내고 지정한 데이터 링크를 Excel 스프레드시트로 내보냅니다.
• DATALINK
데이터 링크 관리자가 표시됩니다.
• DATALINKUPDATE
설정된 외부 데이터 링크로/로부터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 DBCONNECT
외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DBLIST
도면의 각 객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나열합니다.
• DDEDIT
단일행 문자, 치수 문자, 속성 정의 및 피쳐 공차 프레임을 편집합니다.
• DDPTYPE
점 객체의 표시 스타일과 크기를 지정합니다.
• DDVPOINT
3차원 관측 방향을 설정합니다.
• DELAY
스크립트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일시 중지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DETACHURL
도면에서 하이퍼링크를 제거합니다.
• DGNADJUST
선택한 DGN 밑바탕의 화면표시 옵션을 변경합니다.
• DGNATTACH
현재 도면에 DGN 밑바탕을 부착합니다.
• DGNCLIP
선택한 DGN 밑바탕의 자르기 경계를 정의합니다.
• DGNEXPORT
현재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V8 DGN 파일을 만듭니다.
• DGNIMPORT
V8 DGN 파일의 데이터를 새 DWG 파일로 가져옵니다.
• DIM 및 DIM1
치수기입 모드에 접근합니다.
• DIMALIGNED
정렬된 선형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ANGULAR
각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ARC
호 길이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BASELINE
이전 치수 또는 선택된 치수의 기준선으로부터 선형 치수, 각도 치수 또는 세로좌표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BREAK
치수 끊기를 추가 또는 제거합니다.
• DIMCENTER
원 및 호의 중심 표식 또는 중심선을 작성합니다.
• DIMCONTINUE
이전 치수 또는 선택된 치수의 두 번째 치수보조선으로부터 선형 치수, 각도 치수 또는 세로좌표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DIAMETER
원 및 호의 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DISASSOCIATE
선택된 치수에서 연관성을 제거합니다.
• DIMEDIT
치수 객체에서 치수 문자 및 치수보조선을 편집합니다.
• DIMINSPECT
검사 치수를 작성 또는 제거합니다.
• DIMJOGGED
꺽기 반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JOGLINE
선형 또는 정렬 치수에 꺽기 선을 추가하거나 제거합니다.
• DIMLINEAR
선형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ORDINATE
세로좌표 점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OVERRIDE
치수기입 시스템 변수를 재지정합니다.
• DIMRADIUS
원 및 호의 반지름 치수를 작성합니다.
• DIMREASSOCIATE
선택된 치수를 기하학적 객체에 연관시킵니다.
• DIMREGEN
모든 연관 치수의 위치를 업데이트합니다.
• DIMSPACE
평행 선형 및 각도 치수 사이에 간격두기를 동일하게 조정합니다.
• DIMSTYLE
치수 스타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합니다.
• DIMTEDIT
치수 문자를 이동하거나 회전합니다.
• DIST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합니다.
• DISTANTLIGHT
거리 광원 작성
• DIVIDE
객체의 길이 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점 객체 또는 블록을 배치합니다.
• DONUT
채워진 원 및 환을 그립니다.
• DRAGMODE
마우스로 끄는 객체의 표시 방법을 조정합니다.
• DRAWINGRECOVERY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오류 발생 후에 복구할 수 있는 도면 파일 리스트를 표시합니다.
• DRAWINGRECOVERYHIDE
도면 복구 관리자를 닫습니다.
• DRAWORDER
이미지 및 다른 객체의 그리기 순서를 변경합니다.
• DSETTINGS
모눈 및 스냅, 극좌표 및 객체 스냅 추적, 객체 스냅 모드 및 동적 입력을 설정합니다.
• DSVIEWER
공중 뷰 윈도우를 엽니다.
• DVIEW
카메라 및 표적을 사용하여 평행 투영 뷰 또는 투시도를 정의합니다.
• DWFADJUST
명령 프롬프트에서 DWF 밑바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DWFATTACH
현재 도면에 DWF 밑바탕을 부착합니다.
• DWFCLIP
자르기 경계를 사용하여 DWF 밑바탕의 하위 영역을 정의합니다.
• DWFLAYERS
DWF 밑바탕의 도면층 화면표시를 제어합니다.
• DWGPROPS
현재 도면의 특성을 설정하거나 표시합니다.
• DXBIN
특수하게 코딩된 이진 파일을 가져옵니다.
• EATTEDIT
블록 참조의 속성을 편집합니다.
• EATTEXT
객체, 블록 속성 정보 및 도면 정보에서 테이블이나 외부 파일로 특성 데이터를 내보냅니다.
• EDGE
3차원 면 모서리의 가시성 변경
• EDGESURF
3차원 다각형 메쉬를 작성합니다.
• ELEV
새로운 객체의 고도 및 돌출 두께 설정
• ELLIPSE
타원 또는 타원형 호를 작성합니다.
• ERASE
도면에서 객체를 제거합니다.
• ETRANSMIT
인터넷 전송을 위해 파일 세트를 패키지로 묶습니다.
• EXPLODE
복합 객체를 해당 구성요소 객체로 분해합니다.
• EXPORT
객체를 다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EXPORTTOAUTOCAD
모든 AEC 객체를 분해하여 새 DWG 파일을 작성합니다.
• EXTEND
객체를 연장하여 다른 객체와 만나도록 합니다.
• EXTERNALREFERENCES
외부 참조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EXTERNALREFERENCESCLOSE
외부 참조 팔레트를 닫습니다.
• EXTRUDE
객체 또는 평편면을 지정된 거리 및 방향으로 돌출시켜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FIELD
필드 값 변경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될 수 있는 필드를 사용하여 여러 줄 문자 객체를 작성합니다.
• FILL
해치, 이차원 솔리드 및 굵은 폴리선과 같은 객체의 채우기를 조정합니다.
• FILLET
객체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거나 모깎기합니다.
• FILTER
객체가 선택 세트에 포함되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요구사항 리스트를 작성합니다.
• FIND
지정된 문자를 찾거나 대치하거나 선택하거나 줌합니다.
• FLATSHOT
현재 뷰에 있는 모든 3D 객체의 2D 표현을 작성합니다.
• FOG
구형
• FREESPOT
스폿라이트와 유사하지만 지정된 표적이 없는 자유 스폿라이트를 작성합니다.
• FREEWEB
웹 조명과 유사하지만 지정된 표적이 없는 자유 웹 조명을 작성합니다.
• GEOGRAPHICLOCATION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지정합니다.
• GOTOURL
객체에 부착된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엽니다.
• GRADIENT
닫힌 영역 또는 선택된 객체를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채웁니다.
• GRAPHSCR
문자 윈도우에서 도면 영역으로 전환합니다.
• GRID
현재 뷰포트에 플롯되지 않은 모눈을 표시합니다.
• GROUP
그룹이라고 하는 저장된 객체 세트를 작성하고 관리합니다.
• HATCH
해치 패턴, 솔리드 채우기, 또는 그라데이션 채우기로 닫힌 영역이나 선택된 객체를 채웁니다.
• HATCHEDIT
기존 해치 또는 채우기를 수정합니다.
• HELIX
2D 또는 3D 나선 작성
• HELP
도움말을 표시합니다.
• HIDE
억제된 은선으로 3차원 와이어프레임 모형을 재생성합니다.
• HLSETTINGS
모형의 화면표시 특성을 제어합니다.
• HYPERLINK
객체에 하이퍼링크를 부착하거나 기존 하이퍼링크를 수정합니다.
• HYPERLINKOPTIONS
하이퍼링크 커서, 툴팁 및 바로 가기 메뉴의 화면표시를 조정합니다.
• ID
위치의 좌표를 표시합니다.
• IMAGE
외부 참조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IMAGEADJUST
이미지의 밝기, 대비 및 흐림 값을 사용한 이미지 표시를 조정합니다.
• IMAGEATTACH
현재 도면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착합니다.
• IMAGECLIP
경계 자르기를 사용하여 이미지 객체의 하부 영역을 정의합니다.
• IMAGEFRAME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고 플롯할지 여부를 조정합니다.
• IMAGEQUALITY
이미지의 화면표시 품질을 조정합니다.
• IMPORT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가져오기합니다.
• IMPRINT
3D 솔리드에 모서리 각인
• INSERT
명명된 블록 또는 도면을 현재 도면에 배치합니다.
• INSERTOBJ
링크된 객체 또는 포함된 객체 삽입
• INTERFERE
겹쳐진 3D 솔리드 강조 표시
• INTERSECT
두 개 이상의 솔리드 또는 영역의 교차점에서 복합 솔리드나 영역을 작성하거나 교차점 밖의 영역을 제거합니다.
• ISOPLANE
현재 등각투영 평면을 지정합니다.
• JOGSECTION
꺽어진 세그먼트를 단면 객체에 추가합니다.
• JOIN
객체를 결합하여 끊어지지 않는 단일 객체를 형성합니다.
• JPGOUT
선택한 객체를 JPEG 파일 형식의 파일에 저장합니다.
• JUSTIFYTEXT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선택한 문자 객체의 자리맞춤 점을 변경합니다.
• LAYCUR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변경합니다.
• LAYDEL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 및 도면층의 모든 객체를 삭제하고 도면에서 도면층을 소거합니다.
• LAYER
도면층 및 도면층 특성 관리
• LAYERP
도면층 설정값에 대해 최근에 변경된 사항을 취소합니다.
• LAYERPMODE
도면층 설정에 대해 변경된 사항에 대한 추적을 켜거나 끕니다.
• LAYERSTATE
명명된 도면층 상태를 저장, 복원 및 관리합니다.
• LAYFRZ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동결합니다.
• LAYISO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이 아닌 다른 모든 도면층을 숨기거나 잠급니다.
• LAYLCK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잠급니다.
• LAYMCH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이 대상 도면층과 일치하도록 변경합니다.
• LAYMCUR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도면층으로 만듭니다.
• LAYMRG
선택한 도면층을 대상 도면층에 결합합니다.
• LAYOFF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끕니다.
• LAYON
모든 도면층을 켭니다.
• LAYOUT
도면 배치 탭을 작성 및 수정합니다.
• LAYOUTWIZARD
새로운 배치 탭을 작성하고 페이지와 플롯 설정값을 지정합니다.
• LAYTHW
모든 도면층을 동결해제합니다.
• LAYTRANS
도면의 도면층을 사용자가 지정한 도면층 표준으로 변경합니다.
• LAYULK
선택한 객체의 도면층을 잠금해제합니다.
• LAYUNISO
최종 LAYISO 명령을 사용하여 꺼진 도면층을 켭니다.
• LAYVPI
객체의 도면층을 현재 뷰포트로 분리합니다.
• LAYWALK
도면의 도면층을 동적으로 표시합니다.
• LEADER
피쳐에 주석을 연결해 주는 선을 작성합니다.
• LENGTHEN
객체의 길이와 호의 사이각을 변경합니다.
• LIGHT
조명을 작성합니다.
• LIGHTLIST
모형의 조명 윈도우를 열어 조명을 추가 및 수정합니다.
• LIGHTLISTCLOSE
모형의 조명 윈도우를 닫습니다.
• LIMITS
현재 모형 또는 배치 탭의 모눈 표시 한계를 설정하고 조정합니다.
• LINE
직선 세그먼트를 작성합니다.
• LINETYPE
선종류를 로드하거나 설정하거나 수정합니다.
• LIST
선택된 객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표시합니다.
• LIVESECTION
선택한 단면 객체에 대한 활성 단면을 켭니다.
• LOAD
쉐이프를 SHAPE 명령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듭니다.
• LOFT
둘 이상의 곡선 세트를 통해 올려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LOGFILEOFF
LOGFILEON에 의해 열린 문자 윈도우 로그 파일을 닫습니다.
• LOGFILEON
문자 윈도우의 내용을 파일에 씁니다.
• LSEDIT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SLIB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SNEW
스크립트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만 영향이 있습니다
• LTSCALE
전역 선종류 축척 비율을 설정합니다.
• LWEIGHT
현재 선가중치, 선가중치 표시 옵션 및 선가중치 단위를 설정합니다.
• MARKUP
표식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MARKUPCLOSE
표식 세트 관리자를 닫습니다.
• MASSPROP
영역 또는 3D 솔리드의 질량 특성을 계산합니다.
• MATCHCELL
선택한 테이블 셀의 특성을 다른 테이블 셀에 적용합니다.
• MATCHPROP
선택한 객체의 특성을 다른 객체에 적용합니다.
• MATERIALATTACH
도면층별로 객체에 재료를 적용합니다.
• MATERIALMAP
재료 매핑 gizmo를 표시하여 면 또는 객체의 매핑을 조정합니다.
• MATERIALS
재료를 관리, 적용 및 수정합니다.
• MATERIALSCLOSE
재료 윈도우를 닫습니다.
• MATLIB
구형
• MEASURE
길이 분할된 간격으로 객체에 점 객체 또는 블록을 배치합니다.
• MENU
사용자화 파일 로드
• MENULOAD
구형
• MENUUNLOAD
구형
• MINSERT
블록의 다중 복제를 직사각형 배열로 삽입합니다.
• MIRROR
객체의 대칭 이미지 사본을 작성합니다
• MIRROR3D
평면을 중심으로 객체의 대칭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MLEADER
피쳐에 주석을 연결하는 선을 작성합니다.
• MLEADERALIGN
지정된 선을 따라 선택된 다중 지시선을 구성합니다.
• MLEADERCOLLECT
블록을 컨텐츠로 포함하는 선택한 다중 지시선을 단일 지시선에 부착된 그룹으로 구성합니다.
• MLEADEREDIT
다중 지시선 객체에 지시선을 추가하거나 지시선을 제거합니다.
• MLEADERSTYLE
새 다중 지시선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MLEDIT
여러 줄 교차점, 중단점 및 정점을 편집합니다.
• MLINE
다중 평행선을 작성합니다.
• MLSTYLE
여러 줄 스타일을 작성, 수정 및 관리합니다.
• MODEL
배치 탭에서 모형 탭으로 전환합니다
• MOVE
객체를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합니다
• MREDO
몇 가지 이전 UNDO 또는 U 명령의 효과를 되돌립니다.
• MSLIDE
현재 모형 뷰포트 또는 현재 배치의 슬라이드 파일을 작성합니다.
• MSPACE
도면 공간에서 모형 공간 뷰포트로 전환합니다.
• MTEDIT
여러 줄 문자를 편집합니다.
• MTEXT
문자 단락을 하나의 여러 줄 문자(mtext) 객체로 작성합니다.
• MULTIPLE
취소할 때까지 다음 명령을 반복합니다.
• MVIEW
배치 뷰포트를 작성하고 조정합니다.
• MVSETUP
도면의 지정사항을 설정합니다.
• NETLOAD
.NET 응용프로그램 로드
• NEW
새 도면을 작성합니다.
• NEWSHEETSET
새 시트 세트 생성
• OBJECTSCALE
annotative 객체에 대해 지원되는 축척을 추가 또는 삭제합니다.
• OFFSET
동심원, 평행선 및 평행 곡선을 작성합니다.
• OLELINKS
기존 OLE 링크를 업데이트, 변경 및 취소합니다.
• OLESCALE
선택한 OLE 객체의 크기, 축척 및 기타 특성을 조정합니다.
• OOPS
지워진 객체를 복원합니다.
• OPEN
기존 도면 파일을 엽니다.
• OPENDWFMARKUP
표식이 있는 DWF 파일 열기
• OPENSHEETSET
선택한 시트 세트 열기
• OPTIONS
프로그램 설정값을 사용자화합니다.
• ORTHO
커서 이동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제한합니다.
• OSNAP
활성 객체 스냅 모드를 설정합니다.
• PAGESETUP
페이지 배치, 플로팅 장치, 용지 크기 및 새로운 각 배치에 대한 기타 설정값을 조정합니다.
• PAN
현재 뷰포트에서 뷰를 이동합니다.
• PARTIALOAD
부분적으로 열린 도면에 추가 형상을 로드합니다.
• PARTIALOPEN
선택된 뷰 또는 도면층의 형상 및 명명된 객체를 도면에 로드합니다
• PASTEASHYPERLINK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하이퍼링크로 삽입합니다.
• PASTEBLOCK
복사된 객체를 블록으로 붙여넣습니다.
• PASTECLIP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삽입합니다.
• PASTEORIG
원래 도면의 좌표를 사용하여 새로운 도면에 복사된 객체를 붙여넣습니다.
• PASTESPEC
클립보드의 데이터를 삽입하고 데이터의 서식을 조정합니다.
• PCINWIZARD
마법사를 표시하여 PCP 및 PC2 구성 파일 플롯 설정값을 모형 탭 또는 현재의 배치로 가져옵니다.
• PEDIT
폴리선 및 3차원 다각형 메쉬를 편집합니다.
• PFACE
정점 별로 3차원 폴리면 메쉬를 작성합니다.
• PLAN
지정된 사용자 좌표계의 평면 뷰를 표시합니다.
• PLANESURF
평면 곡면 작성
• PLINE
2차원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PLOT
도면을 플로터, 프린터 또는 파일 플롯
• PLOTSTAMP
각 도면의 지정된 구석에 플롯 스탬프를 배치하고 파일에 로그를 기록합니다.
• PLOTSTYLE
새로운 객체의 현재 플롯 스타일을 설정하거나 선택된 객체에 플롯 스타일을 지정합니다.
• PLOTTERMANAGER
플로터 구성을 추가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플로터 관리자를 표시합니다.
• PNGOUT
선택한 객체를 파일에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POINT
점 객체를 작성합니다.
• POINTLIGHT
점 광원을 작성합니다.
• POLYGON
닫힌 등변 폴리선을 작성합니다.
• POLYSOLID
3D 폴리솔리드 작성
• PRESSPULL
경계 영역을 누르거나 당깁니다.
• PREVIEW
도면이 플롯될 모양을 보여줍니다.
• PROPERTIES
기존 객체의 특성을 조정합니다.
• PROPERTIESCLOSE
특성 팔레트를 닫습니다.
• PSETUPIN
사용자 정의 페이지 설정을 새로운 도면 배치로 가져옵니다.
• PSPACE
모형 공간에서 도면 공간으로 전환합니다.
• PUBLISH
도면을 DWF 파일 또는 플로터로 게시합니다.
• PUBLISHTOWEB
선택한 도면의 이미지가 포함된 HTML 페이지를 작성합니다.
• PURGE
도면에서 블록 정의와 도면층과 같은 사용되지 않은 명명된 항목을 제거합니다.
• PYRAMID
3D 솔리드 피라미드작성
• QCCLOSE
QuickCalc를 닫습니다.
• QDIM
치수를 신속하게 작성합니다.
• QLEADER
지시선 및 지시선 주석을 작성합니다.
• QNEW
기본 도면 템플릿 파일 사용하기 옵션으로 새 도면을 시작합니다.
• QSAVE
현재 도면을 옵션 대화상자에 지정된 파일 형식을 사용하여 저장합니다.
• QSELECT
필터링 기준에 따라 선택 세트를 작성합니다.
• QTEXT
문자 및 속성 객체의 화면표시와 플로팅을 조정합니다.
• QUICKCALC
QuickCalc 계산기를 엽니다.
• QUICKCUI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대화상자를 축소된 상태로 표시합니다.
• QUIT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RAY
반 무한선을 작성합니다.
• RECOVER
손상된 도면을 복구합니다.
• RECOVERALL
손상된 도면 및 외부 참조를 복구합니다.
• RECTANG
직사각형 폴리선 그리기
• REDEFINE
UNDEFINE에 의해 재지정된 AutoCAD 내부 명령을 복원합니다.
• REDO
이전 UNDO 또는 U 명령의 효과를 되돌립니다.
• REDRAW
현재 뷰포트의 화면표시를 갱신합니다.
• REDRAWALL
모든 뷰포트의 화면표시를 갱신합니다.
• REFCLOSE
참조(외부 참조 또는 블록)를 내부 편집하는 동안 변경한 사항을 참조로 다시 저장하거나 취소합니다.
• REFEDIT
편집하려는 외부 참조 또는 블록 참조를 선택합니다.
• REFSET
참조(외부 참조 또는 블록)를 내부 편집하는 동안 작업 세트에 객체를 추가하거나 작업 세트에서 객체를 제거합니다.
• REGEN
현재 뷰포트에서 전체 도면을 재생성합니다.
• REGENALL
도면을 재생성하고 모든 뷰포트를 갱신합니다.
• REGENAUTO
도면의 자동 재생성을 조정합니다.
• REGION
영역을 둘러싼 객체를 영역 객체로 변환합니다.
• REINIT
디지타이저, 디지타이저 입/출력 포트 및 프로그램 매개변수 파일을 다시 초기화합니다.
• RENAME
명명된 객체의 이름 변경
• RENDER
3차원 와이어프레임이나 솔리드 모형의 포토리얼리스틱 또는 사실적으로 음영처리된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RENDERCROP
렌더링할 이미지의 특정 영역(오리기 윈도우)을 선택합니다.
• RENDERENVIRONMENT
객체가 보이는 거리에 대한 시각적 큐를 제공합니다.
• RENDEREXPOSURE
가장 최근에 렌더링된 출력에 대해 전역 조명을 대화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설정을 제공합니다.
• RENDERPRESETS
이미지를 렌더링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렌더링 매개변수인 렌더 사전 설정을 지정합니다.
• RENDERWIN
렌더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렌더 윈도우를 표시함
• RENDSCR
구형
• REPLAY
구형
• RESETBLOCK
하나 이상의 동적 블록 참조를 블록 정의의 기본값으로 재설정합니다.
• RESUME
중단된 스크립트를 계속합니다.
• REVCLOUD
연속 호로 이루어진 폴리선을 작성하여 구름 모양을 형성합니다.
• REVOLVE
2D 객체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REVSURF
선택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메쉬를 작성합니다.
• RMAT
구형
• ROTATE
기준점을 중심으로 객체 회전
• ROTATE3D
3차원 축을 중심으로 객체를 이동합니다.
• RPREF
고급 렌더링 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고급 렌더 설정 팔레트를 표시합니다.
• RPREFCLOSE
렌더 설정 팔레트가 표시된 경우 닫음
• RSCRIPT
스크립트 파일을 반복합니다.
• RULESURF
두 곡선 사이에 직선보간 메쉬를 작성함
• SAVE
도면을 현재 파일 이름 또는 지정한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SAVEAS
현재 도면의 사본을 새로운 파일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 SAVEIMG
렌더링된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합니다.
• SCALE
선택한 객체를 X, Y, Z 방향으로 일정하게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 SCALELISTEDIT
배치 뷰포트, 페이지 배치 및 플로팅에 사용할 수 있는 축척 리스트를 조정합니다.
• SCALETEXT
선택된 문자 객체를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 SCRIPT
스크립트 파일로 일련의 명령을 실행합니다.
• SECTION
평면과 솔리드의 교차점을 사용하여 영역을 작성합니다.
• SECTIONPLANE
3D 객체에서 절단 평면 기능을 하는 단면 객체를 작성합니다.
• SECURITYOPTIONS
보안 옵션 대화상자를 사용하여 보안 설정값을 조정합니다.
• SELECT
선택한 객체를 이전 선택 세트에 배치합니다.
• SETBYLAYER
선택한 객체에 대한 특성 및 ByBlock 설정을 ByLayer로 변경합니다.
• SETIDROPHANDLER
현재 Autodesk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i-drop 컨텐츠의 기본 유형을 지정합니다.
• SETUV
구형
• SETVAR
시스템 변수의 값을 나열하거나 변경합니다.
• SHADEMODE
VSCURRENT 명령을 시작합니다.
• SHAPE
LOAD를 사용하여 로드된 쉐이프 파일의 쉐이프를 삽입합니다.
• SHEETSET
시트 세트 관리자를 엽니다.
• SHEETSETHIDE
시트 세트 관리자 닫기
• SHELL
운영 체제 명령에 접근합니다.
• SHOWMAT
구형
• SIGVALIDATE
파일에 부착된 디지털 서명 정보를 표시합니다.
• SKETCH
자유롭게 그린 일련의 선 세그먼트를 작성합니다.
• SLICE
평면 또는 곡면으로 솔리드를 자릅니다.
• SNAP
커서의 움직임을 지정된 간격으로 제한합니다.
• SOLDRAW
SOLVIEW를 사용하여 작성된 뷰포트에서 윤곽과 단면을 생성합니다.
• SOLID
솔리드로 채워진 삼각형과 사변형을 작성합니다.
• SOLIDEDIT
3D 솔리드 객체의 면과 모서리를 편집합니다.
• SOLPROF
도면 공간에서 3차원 솔리드의 윤곽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 SOLVIEW
직교 투영으로 배치 뷰포트를 작성하여 3D 솔리드의 다중 및 단면 뷰 도면과 본체 객체를 배치합니다.
• SPACETRANS
배치에서 해당 모형 공간 및 도면 공간 길이를 계산합니다.
• SPELL
도면에서 철자를 검사합니다.
• SPHERE
3D 솔리드 구
• SPLINE
지정된 공차 내에서 일련의 점에 부드러운 곡선을 맞춥니다.
• SPLINEDIT
스플라인 또는 스플라인 맞춤 폴리선을 편집합니다.
• SPORTLIGHT
스폿라이트를 작성합니다.
• STANDARDS
표준 파일과 도면의 연관성을 관리합니다.
• STATUS
도면 통계, 모드 및 범위를 표시합니다.
• STLOUT
솔리드를 ASCII 또는 이진 파일로 저장합니다.
• STRETCH
객체를 이동 또는 신축합니다.
• STYLE
명명된 문자 스타일을 작성, 수정 또는 설정합니다.
• STYLESMANAGER
플롯 스타일 관리자를 표시합니다.
• SUBTRACT
선택된 영역 또는 솔리드를 빼기로 결합니다.
• SUNPROPERTIES
일영 특성 윈도우를 열고 일영의 특성을 설정합니다.
• SUNPROPERTIESCLOSE
일영 특성 윈도우를 닫습니다.
• SWEEP
2D 곡선을 경로에 따라 스윕하여 3D 솔리드 또는 곡면을 작성합니다.
• SYSWINDOWS
응용프로그램 윈도우가 외부 응용프로그램과 공유될 때 윈도우와 아이콘을 정렬합니다.
• TABLE
도면에 빈 테이블 객체를 작성합니다.
• TABLEDIT
테이블 셀에서 문자를 편집합니다.
• TABLEEXPORT
테이블 객체에서 CSV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를 내보냅니다.
• TABLESTYLE
새 테이블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TABLET
부착한 디지타이징 타블렛을 조정하고, 구성하며, 켜고 끕니다.
• TABSURF
경로 곡선 및 방향 벡터로부터 방향 벡터 메쉬를 작성합니다.
• TARGETPOINT
표적 점 광원을 작성합니다.
• TASKBAR
Windows taskbar에 도면이 표시되는 방식을 조정합니다.
• TEXT
단일행 문자 객체를 작성합니다.
• TEXTSCR
문자 윈도우를 엽니다.
• TEXTTOFRONT
도면의 다른 모든 객체 앞으로 문자 및 치수를 가져옵니다
• THICKEN
곡면을 굵게 하여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TIFOUT
선택된 객체를 파일에 TIF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TIME
도면의 날짜 및 시간 통계를 표시합니다.
• TINSERT
테이블 셀에 블록을 삽입합니다.
• TOLERANCE
기하학적 공차를 작성합니다.
• TOOLBAR
도구막대를 표시하고, 숨기며, 사용자화합니다.
• TOOLPALETTES
도구 팔레트 윈도우를 엽니다.
• TOOLPALETTESCLOSE
도구 팔레트 윈도우를 닫습니다.
• TORUS
3D 도넛형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TPNAVIGATE
지정된 도구 팔레트 또는 팔레트 그룹을 표시합니다.
• TRACE
솔리드 선을 작성합니다.
• TRANSPARENCY
비트 이미지의 배경 픽셀을 투명하게 할지 불투명하게 할지 여부를 제어합니다.
• TRAYSETTINGS
상태막대 트레이에서 아이콘과 알림 표시를 조정합니다.
• TREESTAT
도면의 현재 공간 색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TRIM
다른 객체에 의해 정의된 자르기 모서리에서 객체를 자릅니다.
• U
최근 작업 되돌리기
• UCS
사용자 좌표계를 관리합니다.
• UCSICON
UCS 아이콘의 가시성과 배치를 조정합니다.
• UCSMAN
정의된 사용자 좌표계 관리
• UNDEFINE
응용프로그램에서 정의한 명령이 내부 명령을 재지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UNDO
명령의 결과를 되돌립니다.
• UNION
선택한 영역 또는 솔리드를 추가로 결합
• UNITS
좌표 및 각도 표시 형식과 정밀도를 조정합니다.
• UPDATEFIELD
도면에 있는 선택된 객체에서 필드 수동 업데이트
• UPDATETHUMBSNOW
시트 세트 관리자에서 시트, 시트 뷰 및 모형 공간 뷰에 대한 썸네일 미리보기를 수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VBAIDE
Visual Basic Editor를 표시합니다.
• VBALOAD
전체 VBA 프로젝트를 현재 작업 세션에 로드합니다.
• VBAMAN
VBA 프로젝트를 로드, 언로드, 저장, 작성, 포함 및 추출합니다.
• VBARUN
VBA 매크로를 실행합니다.
• VBASTMT
AutoCAD 명령행에서 VBA문을 실행합니다.
• VBAUNLOAD
전체 VBA 프로젝트를 언로드합니다.
• VIEW
명명된 뷰, 카메라 뷰, 배치 뷰 및 사전 설정 뷰를 저장하고 복원합니다.
• VIEWPLOTDETAILS
완료된 플롯 및 게시 작업에 관한 정보 표시
• VIEWRES
현재 뷰포트에 있는 객체의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 VISUALSTYLES
뷰 스타일을 작성하고 수정한 다음 뷰 스타일을 뷰포트에 적용합니다.
• VISUALSTYLESCLOSE
뷰 스타일 관리자를 닫음
• VLISP
Visual LISP 대화식 개발 환경(IDE)을 표시합니다.
• VPCLIP
뷰포트 객체를 자르고 뷰포트 경계를 고칩니다.
• VPLAYER
뷰포트 내의 도면층 가시성을 설정합니다.
• VPMAX
편집하려는 현재 배치 뷰포트를 확대합니다.
• VPMIN
현재 배치 뷰포트 복원
• VPOINT
도면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한 관측 방향을 설정합니다.
• VPORTS
모형 공간 또는 도면 공간에서 다중 뷰포트 작성
• VSCURRENT
현재 뷰포트의 뷰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 VSLIDE
현재 뷰포트에 이미지 슬라이드 파일을 표시합니다.
• VSSAVE
뷰 스타일을 저장합니다.
• VTOPTIONS
뷰의 변경 사항을 부드러운 전환으로 표시합니다.
• WALKFLYSETTINGS
보행시선 및 조감뷰 설정 지정
• WBLOCK
객체 또는 블록을 새로운 도면 파일에 씁니다.
• WEBLIGHT
웹 광원을 작성합니다.
• WEDGE
X축을 따라 테이퍼되는 경사진 면이 있는 5면 3D 솔리드를 작성합니다.
• WHOHAS
열려 있는 도면 파일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 WIPEOUT
공백 영역으로 기존 객체를 덮습니다.
• WMFIN
Windows 메타 파일을 가져옵니다.
• WMFOPTS
WMFIN에 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 WMFOUT
객체를 Windows 메타 파일로 저장합니다.
• WORKSPACE
작업공간을 작성, 수정 및 저장하고 작업공간을 현재로 만듭니다.
• WSSAVE
작업공간 저장
• WSSETTINGS
작업공간에 대한 옵션을 설정합니다.
• XATTACH
외부 참조를 현재 도면에 부착합니다.
• XBIND
외부 참조에서 명명된 객체의 하나 이상의 정의를 현재 도면으로 결합합니다.
• XCLIP
외부 참조 또는 블록 자르기 경계를 정의하고 앞면 및 뒷면 자르기 평면을 설정합니다.
• XEDGES
3D 솔리드 또는 곡면에서 모서리을 추출하여 와이어프레임 형상을 작성합니다.
• XLINE
무한선을 작성합니다.
• XOPEN
선택한 도면 참조(xref)를 새 윈도우에서 엽니다.
• XPLODE
복합 객체를 해당 구성요소 객체들로 나눕니다.
• XREF
EXTERNALREFERENCES 명령을 시작합니다.
• ZOOM
현재 뷰포트에서 객체의 표시되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Monday, April 19, 2010
자바 디컴파일러 Decompiler (jad.exe)
자바 디컴파일러 - JAva Decompiler (jad.exe)
To decompile a single JAVA class file 'example1.class'
type the following:
jad example1.class
This command creates file 'example1.jad' in the current directory.
If such file already exists Jad asks whether you want to overwrite it or not.
Option -o permits overwriting without a confirmation.
You can omit .class extension and/or use wildcards in the names of
input files.
Option -sallows to change output file extension:
jad -sjava example1.class
This command creates file 'example1.java'. Be careful when using
options -o and -sjava together, because Jad can accidentally overwrite
your own source files.
Jad uses JAVA class name as an output file name. For example, if class
file 'example1.class' contains JAVA class 'test1' then Jad will create
file 'test1.jad' rather than 'example1.jad'. If you want to specify
your own output file name use the output redirection:
jad -p example1.class > myexm1.java
Option -d allows you to specify another directory for output files,
which are created, by default, in the current directory. For example:
jad -o -dtest -sjava *.class
(or jad -o -d test -s java *.class, which has the same effect)
This command decompiles all .class files in the current directory
and places all output files with extension .java into directory 'test'.
If you want to decompile the whole tree of JAVA classes,
use the following command:
jad -o -r -sjava -dsrc tree/**/*.class
This command decompiles all .class files located in all
subdirectories of 'tree' and creates output files in subdirectories
of 'src' according to package names of classes. For example, if file
'tree/a/b/c.class' contains class 'c' from package 'a.b', then
output file will have a name 'src/a/b/c.java'.
Note the use of the "two stars" wildcard ('**') in the previous
command. It is handled by Jad rather than the command shell, so on
UNIX the last argument should be single-quoted:
jad -o -r -sjava -dsrc 'tree/**/*.class'
In a case you want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decompilation or just
curious, there is an option -a which tells Jad to annotate the output
with JAVA Virtual Machine bytecodes.
Jad supports the inner and anonymous classes.
When Jad expands wildcards in the input file names,
it automatically skips matching inner classes.
On UNIX Jad skips inner classes if there is more than
one class specified in the command line.
Jad looks for inner classes in the directory of their top-level
container class.
Jad accepts the following options:
-a - annotate the output with JVM bytecodes (default: off)
-af - same as -a, but output fully qualified names when annotating
-clear - clear all prefixes, including the default ones (can be abbreviated as -cl)
-b - output redundant braces (e.g., if(a) { b(); }, default: off)
-d- directory for output files (will be created when necessary)
-dead - try to decompile dead parts of code (if any) (default: off)
-disass - disassemble method bytecodes (no JAVA source generated)
-f - output fully qualified names for classes/fields/methods (default: off)
-ff - output class fields before methods (default: after methods)
-i - output default initializers for all non-final fields
-l - split strings into pieces of maximum chars (default: off)
-lnc - annotate the output with line numbers (default: off)
-lradix - display long integers using the specified radix (8, 10 or 16)
-nl - split strings on newline character (default: off)
-nocast - don't generate auxiliary casts
-nocode - don't generate the source code for methods
-noconv - don't convert Java identifiers (default: convert)
-noctor - suppress the empty constructors
-nodos - do not check for class files written in DOS mode
(CR before NL, default: check)
-nofd - don't disambiguate fields with the same names
by adding signatures to their names (default: do)
-noinner - turn off the support of inner classes (default: on)
-nolvt - ignore Local Variable Table information
-nonlb - don't output a newline before opening brace (default: do)
-o - overwrite output files without confirmation (default: off)
-p - send decompiled code to STDOUT (e.g., for piping)
-pi - pack imports into one line after imports (default: 3)
-pv - pack fields with identical types into one line (default: off)
-pa- prefix for all packages in generated source files
-pc- prefix for classes with numerical names (default: _cls)
-pf- prefix for fields with numerical names (default: _fld)
-pe- prefix for unused exception names (default: _ex)
-pl- prefix for locals with numerical names (default: _lcl)
-pm- prefix for methods with numerical names (default: _mth)
-pp- prefix for method parms with numerical names (default: _prm)
-r - restore package directory structrure
-radix - display integers using the specified radix (8, 10 or 16)
-s- output file extension (by default '.jad')
-safe - generate additional casts to disambiguate methods/fields (default: off)
-space - output space between keyword (if/for/while/etc)
and expression (default: off)
-stat - display the total number of processed classes/methods/fields
-t - use tabs instead of spaces for indentation
-t - use spaces for indentation (default: 4)
-v - display method names being decompiled
-8 - convert UNICODE strings into 8-bit strings
using the current ANSI code page (Win32 only)
-& - redirect STDERR to STDOUT (Win32 only)
All single-word options have three formats:
-o - 'reverses' value of an option
-o+ - set value to 'true' or 'on'
-o- - set value to 'false' or 'off'
You can specify the options you want to be set by default in the environment variable
JAD_OPTIONS. For example:
JAD_OPTIONS=-ff+ -nonlb+ -t+ -space+
To decompile a single JAVA class file 'example1.class'
type the following:
jad example1.class
This command creates file 'example1.jad' in the current directory.
If such file already exists Jad asks whether you want to overwrite it or not.
Option -o permits overwriting without a confirmation.
You can omit .class extension and/or use wildcards in the names of
input files.
Option -s
jad -sjava example1.class
This command creates file 'example1.java'. Be careful when using
options -o and -sjava together, because Jad can accidentally overwrite
your own source files.
Jad uses JAVA class name as an output file name. For example, if class
file 'example1.class' contains JAVA class 'test1' then Jad will create
file 'test1.jad' rather than 'example1.jad'. If you want to specify
your own output file name use the output redirection:
jad -p example1.class > myexm1.java
Option -d allows you to specify another directory for output files,
which are created, by default, in the current directory. For example:
jad -o -dtest -sjava *.class
(or jad -o -d test -s java *.class, which has the same effect)
This command decompiles all .class files in the current directory
and places all output files with extension .java into directory 'test'.
If you want to decompile the whole tree of JAVA classes,
use the following command:
jad -o -r -sjava -dsrc tree/**/*.class
This command decompiles all .class files located in all
subdirectories of 'tree' and creates output files in subdirectories
of 'src' according to package names of classes. For example, if file
'tree/a/b/c.class' contains class 'c' from package 'a.b', then
output file will have a name 'src/a/b/c.java'.
Note the use of the "two stars" wildcard ('**') in the previous
command. It is handled by Jad rather than the command shell, so on
UNIX the last argument should be single-quoted:
jad -o -r -sjava -dsrc 'tree/**/*.class'
In a case you want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decompilation or just
curious, there is an option -a which tells Jad to annotate the output
with JAVA Virtual Machine bytecodes.
Jad supports the inner and anonymous classes.
When Jad expands wildcards in the input file names,
it automatically skips matching inner classes.
On UNIX Jad skips inner classes if there is more than
one class specified in the command line.
Jad looks for inner classes in the directory of their top-level
container class.
Jad accepts the following options:
-a - annotate the output with JVM bytecodes (default: off)
-af - same as -a, but output fully qualified names when annotating
-clear - clear all prefixes, including the default ones (can be abbreviated as -cl)
-b - output redundant braces (e.g., if(a) { b(); }, default: off)
-d
-dead - try to decompile dead parts of code (if any) (default: off)
-disass - disassemble method bytecodes (no JAVA source generated)
-f - output fully qualified names for classes/fields/methods (default: off)
-ff - output class fields before methods (default: after methods)
-i - output default initializers for all non-final fields
-l
-lnc - annotate the output with line numbers (default: off)
-lradix
-nl - split strings on newline character (default: off)
-nocast - don't generate auxiliary casts
-nocode - don't generate the source code for methods
-noconv - don't convert Java identifiers (default: convert)
-noctor - suppress the empty constructors
-nodos - do not check for class files written in DOS mode
(CR before NL, default: check)
-nofd - don't disambiguate fields with the same names
by adding signatures to their names (default: do)
-noinner - turn off the support of inner classes (default: on)
-nolvt - ignore Local Variable Table information
-nonlb - don't output a newline before opening brace (default: do)
-o - overwrite output files without confirmation (default: off)
-p - send decompiled code to STDOUT (e.g., for piping)
-pi
-pv
-pa
-pc
-pf
-pe
-pl
-pm
-pp
-r - restore package directory structrure
-radix
-s
-safe - generate additional casts to disambiguate methods/fields (default: off)
-space - output space between keyword (if/for/while/etc)
and expression (default: off)
-stat - display the total number of processed classes/methods/fields
-t - use tabs instead of spaces for indentation
-t
-v - display method names being decompiled
-8 - convert UNICODE strings into 8-bit strings
using the current ANSI code page (Win32 only)
-& - redirect STDERR to STDOUT (Win32 only)
All single-word options have three formats:
-o - 'reverses' value of an option
-o+ - set value to 'true' or 'on'
-o- - set value to 'false' or 'off'
You can specify the options you want to be set by default in the environment variable
JAD_OPTIONS. For example:
JAD_OPTIONS=-ff+ -nonlb+ -t+ -space+
Thursday, February 25, 2010
Bash Shell Scripting 프로그래밍의 기본
차례
1. 들어가기전에
1.1. 필요한 것들
1.2. 쉘이란 무엇인가
2. 스크립트를 만들자
3. 주석
4. 변수
5. 대화모드
6. 쉘명령과 제어구조
6.1. 유닉스 명령어들
6.2. pipes(파이프), redirection(재지향)
6.3. 제어구조
6.4. 간단하게 표현하기
6.5. Quoting
6.6. 함수
6.7. 명령행 인자(argument)
7. 예제
7.1. 일반적인 쉘프로그램의 구조
7.2. 바이너리를 10진수로 바꿔주는
7.3. 디버깅
8.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8.1. 환경변수
8.2. history
8.3. 최근명령어 치환
8.4. Prompt
8.5. Prompt 전에 명령 실행시키기
8.6. PROMPT_COMMAND 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어 추적
이 문서는 Linux focus 의 2001 년 9 ~ 10 월 기사의 "point Shell Programming" 을 번역한것이다. 오타 및 탈자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그리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관계로 문서가 매끄럽지 않게 진행될수 있음을 미리 밝히며, 이러한 버그는 차후 업그레이드? 버젼에서 수정할것임을 약속? 한다. 그리고 원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내용들도 상당수 들어가 있다.
리눅스를 위한 다양한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쉘스크립트는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으며 다양한 부분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언뜻 보기에 그래픽인터페이스의 다른 도구들에 비해서 사용하기 어려워 보이고 다분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쉘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많은 노동이 필요한 작업들을 단순화 시킬수 있으며, 훌륭한 시스템 관리 도구로 사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규모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수 있도록 해주며, 전체적으로 어떤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도록 도와준다. 이렇게 절약된 시간을 좀더 생산적인일(디아블로를 하거나, 커피를 마시는) 에투자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문서를 통해서 우리는 이러한 쉘 스크립트의 사용법에 대해서 배우게 될것이다. 문서의 설명은 글을읽는 여러분이 아주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해본적이 있고 Unix/Linux 환경을 한번이라도 접해봤을 거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 문서는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를 가집니다.
1. 들어가기전에
1.1. 필요한 것들
1.2. 쉘이란 무엇인가
2. 스크립트를 만들자
3. 주석
4. 변수
5. 대화모드
6. 쉘명령과 제어구조
6.1. 유닉스 명령어들
6.2. pipes(파이프), redirection(재지향)
6.3. 제어구조
6.4. 간단하게 표현하기
6.5. Quoting
6.6. 함수
6.7. 명령행 인자(argument)
7. 예제
7.1. 일반적인 쉘프로그램의 구조
7.2. 바이너리를 10진수로 바꿔주는
7.3. 디버깅
8.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8.1. 환경변수
8.2. history
8.3. 최근명령어 치환
8.4. Prompt
8.5. Prompt 전에 명령 실행시키기
8.6. PROMPT_COMMAND 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어 추적
이 문서는 Linux focus 의 2001 년 9 ~ 10 월 기사의 "point Shell Programming" 을 번역한것이다. 오타 및 탈자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그리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관계로 문서가 매끄럽지 않게 진행될수 있음을 미리 밝히며, 이러한 버그는 차후 업그레이드? 버젼에서 수정할것임을 약속? 한다. 그리고 원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내용들도 상당수 들어가 있다.
리눅스를 위한 다양한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쉘스크립트는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으며 다양한 부분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언뜻 보기에 그래픽인터페이스의 다른 도구들에 비해서 사용하기 어려워 보이고 다분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쉘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많은 노동이 필요한 작업들을 단순화 시킬수 있으며, 훌륭한 시스템 관리 도구로 사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규모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수 있도록 해주며, 전체적으로 어떤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도록 도와준다. 이렇게 절약된 시간을 좀더 생산적인일(디아블로를 하거나, 커피를 마시는) 에투자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문서를 통해서 우리는 이러한 쉘 스크립트의 사용법에 대해서 배우게 될것이다. 문서의 설명은 글을읽는 여러분이 아주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해본적이 있고 Unix/Linux 환경을 한번이라도 접해봤을 거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 문서는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를 가집니다.
우분투 기본 명령어
출처 :http://koreaubuntu.wordpress.com/2009/08/10/%EC%9A%B0%EB%B6%84%ED%88%AC-%EA%B8%B0%EB%B3%B8-%EB%AA%85%EB%A0%B9%EC%96%B4/
우분투 기본 명령어
2009/08/10 — davidlee9023
자주 쓰는 우분투 기본 명령어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 꾸러미
sudo apt-get remove 프로그램 꾸러미
프로그램을 설치(install)하고 제거(remove)하는 명령어 입니다. 추가/제거와 같은 기능을 문자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dist-upgrade
위에서 apt-get 이란 프로그램 꾸러미 도구입니다. apt-get은 저장소에서 프로그램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치하거나 지우는 등 관리자 역할을 해줍니다.
update는 저장소에서 이전 보다 개선된 꾸러미가 나왔나를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 중에 새로 개선된 내용이 있으면 저장소에서 가져다가 설치하란 명령입니다.
dist-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는 아니지만 우분투 사용에 필요한 추가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치하라는 명령입니다. 이미 설치된 꾸러미를 최신 판으로 바꿔주는 upgrade와는 차이가 있지요.
ls -ls
ls는 List의 약자입니다. 옵션으로 -ls를 더해주면 파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를 이동할 때는 c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디렉토리 이름을 입력하지 않고 cd만 입력하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
pwd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표시해 줍니다. Present Working Directory 의 약자.
mkdir
새로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ake a directory 의 약자.
rm 파일명
해당 파일을 지웁니다. rm은 ReMove의 약자 입니다. 디렉토리를 지울 때는 -r 옵션을 줍니다. 즉 ‘rm -r 디렉토리명’이 됩니다. -r 옵션은 디렉토리에 명령을 적용할 때 넣는 옵션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mv 파일명1 파일명2
cp 파일명1 파일명2
mv는 move의 약자를 파일명1을 지우고 파일명2로 옮깁니다. cp는 copy의 약자로 파일명1을 복사해 파일명 2로 저장합니다. 안전하게 옮기기 위해서는 원본을 그대로 두는 cp 명령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mv -r 디렉토리1 디렉토리2
mr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의 내용을 디렉토리 2로 옮깁니다. 이때 디렉토리1(원본)의 내용은 지워지며, 디렉토리2가 없을 경우 새로 디렉토리를 만들어 내용을 옮기게 됩니다. cp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의 내용을 디렉토리2로 복사합니다. 이때 원본은 그대로 남아있게 됩니다.
ln -s 파일명 바로가기명
파일명으로 바로가기를 만들어냅니다. 간혹 숨겨진 이름앞에 ‘.’ 이 붙어서 숨겨져 있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를 자주 열어볼 필요가 있을 때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편합니다. 바로가기 예로는 홈에 있는 Examples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ln은 LiNk의 약자입니다.
chmod
파일이 나 디렉토리에 대한 읽기(r), 쓰기(w), 실행하기(x) 소유권을 변경할 때 씁니다. ls -ls로 파일 이름을 출력하보면 x파일명에 drwx-xr-x 하는 식으로 내용이 출력되는데 이것은 파일 소유권을 표시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rwx 권한이 주어져야 해당 파일을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lsb_release -a
컴퓨터에 설치된 우분투 판번호(version number) 확인
date
오늘 날짜와 현재시간 출력
cal
이번달 달력출력
df
디스크 사용량 출력
du 디렉토리명
해당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출력 *주의! 디렉토리명 입력없이 du를 실행하면 모든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출력합니다. ;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gcast프로필 그림 보기gcast님에게 비공개 메시지 보내기gcast님의 게시글 더 찾기
//
그밖의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명령어 사 용 법
login 사용자 인증과정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multi-user 개념에서 시작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 다. 로그인은 PC 통신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그 개 념 설정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ID를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passwd 패스워드 변경
리눅스, 특히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일반 컴퓨팅 상황에 비하여 훨씬 해킹에 대한 위험이 높습니다.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 보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 #, ‘ 등과 같은 쉽게 연상 할 수 없는 기호를 삽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du 하드사용량 체크(chkdsk)
자신의 하드공간을 알려면
# du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알려면
# du -s diretory_name
ls 파일 리스트 보기(dir)
F : 파일 유형을 나타내는 기호를 파일명 끝에 표시
(디렉토리는 ‘/’, 실행파일은 ‘*’, 심볼릭 링크는 ‘@’가 나타남).
l : 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를 나타냅니다.
a : dot 파일(.access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표시.
t : 파일이 생성된 시간별로 표시
C : 도스의 dir/w명령과 같 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표시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 내용까지.
(예)
# ls -al
# ls -aC
# ls -R
cd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d .. :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 cd 또는 cd ~ : 어느곳에서든지 자기 홈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 cd /webker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하위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webker)로 이동하려면 /로
시작해서 경로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cp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index.html 화일을 index.old 란 이름으로 복사.
# cp /home/test/*.* .
: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화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index.htm 화일을 index.html 로 이름 변경
$ mv file ../main/new_file
: 파일의 위치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rm 화일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 -r <디렉토리> : 디렉토리 전체를 삭제
# rm -i a.*
: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일일이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면서 삭제
rmdir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pwd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pico 리눅스용 에디터
put ftp 상태에서 화일 업로드
> put guestbook.tar.gz
get ftp 상태에서 화일 다운로드
> get guestbook.tar.gz
mput 또는 mget 여러개의 화일을 올리고 내릴때 (put,get과 사용법동일)
chmod 화일 permission 변경
리눅스에서는 각 화일과 디렉토리에 사용권한을 부여.
예) -rwxr-xr-x guestbookt.html
rwx :처음 3개 문자 = 사용자 자신의 사용 권한
r-x :그다음 3개 문자 = 그룹 사용자의 사용 권한
r-x :마지막 3개 문자 = 전체 사용자의 사용 권한
읽기(read)———- 화일 읽기 권한
쓰기(write)———- 화일 쓰기 권한
실행(execution)———- 화일 실행 권한
없음(-)———- 사용권한 없음
명령어 사용법
chmod [변경모드] [파일]
# chmod 666 guestbook.html
: test.html 화일을 자신에게만 r,w,x 권한을 줌
# chmod 766 guestbook.html
: 자신은 모든 권한을 그룹사용자와,전체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쓰기 권한만 줌
alias ”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앨리어스는 [alias ls 'ls -al']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시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됩니다.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도스의 TYPE명령)
# cat filename
more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다.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줄 수 있어 유용.
# more <옵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Space bar : 다음 페이지
Return(enter) key : 다음 줄
v : vi 편집기로 전환
/str : str 문자를 찾음
b : 이전 페이지
q : more 상태를 빠져나감
h : 도움말
= : 현재 line number를 보여줌
who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 who
whereis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를 알려준다
vi,
touch,
cat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touch newfile : 빈 파일만 생성됨
# cat >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문서 작성후 Ctrl+D로 빠져나옴
cat,
head,
tail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head -n filename : n줄 만큼 위세서부터 보여줌
# tail -n filename : n줄 만큼 아래에서부터 보여줌
압축 관련 명령어
압축 명령어 사 용 법
tar .tar, _tar로 된 파일을 묶거나 풀때 사용하는 명령어
(압축파일이 아님)
# tar cvf [파일명(.tar, _tar)] 압축할 파일(또는 디렉토리): 묶을때
# tar xvf [파일명(.tar, _tar)] : 풀 때
(cf) cvfp/xvfp 로 하면 퍼미션 부동
compress 확장자.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compress [파일명] : 압축시
# uncompress [파일명] : 해제시
gzip 확장자 .gz, .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gzip [파일명] : 압축시
# gzip -d [파일명] : 해제시
기타 .tar.Z
이것은 tar로 묶은 후에 compress를 사용하여 압축한 것으로 uncompress를 사용해서 압축을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의 파일들을 만들어내면 됩니다.
아니면 다음과 같이 한 번에 풀 수도 있다.
# zcat [파일명].tar.Z : 해제시
.tar.gz또는 .tar.z
# gzip -cd [파일명] : 해제시
.tar.gz 또는 .tar.z .tgz
gzip을 사용해서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나,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면 한 번에 처리를 할 수 있다.
# gzip -cd 파일.tar.gz tar xvf – 또는
# tar xvzf 파일.tar.gz
# tar xvzf 파일.tgz
Linux/Unix 명령어 설 명 MS-DOS 비교
./x x 프로그램 실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것) x
↑/ ↓ 이전에(↑) / 다음에(↓) 입력했던 명령어 doskey
cd x (또는 cd /x) 디렉토리 X로 가기 cd
cd .. (또는 cd ../ 또는 cd /..) 한 디렉토리 위로 가기 cd..
x 다음 [tab] [tab] x 로 시작하는 모든 명령어 보기 -
adduser 시스템에 사용자 추가 /
ls (또는 dir) 디렉토리 내부 보여주기 dir
cat 터미널 상의 텍스트 파일 보기 type
mv x y 파일 x를 파일 y로 바꾸거나 옮기기 move
cp x y 파일 x를 파일 y로 복사하기 copy
rm x 파일 지우기 del
mkdir x 디렉토리 만들기 md
rmdir x 디렉토리 지우기 rd
rm -r x 디렉토리 x를 지우고 하위도 다 지우기 deltree
rm p 패키지 지우기 -
df (또는 df x) 장치 x의 남은 공간 보여주기 chkdsk ?
top 메모리 상태 보여주기(q는 종료) mem
man x 명령어 x에 관한 매뉴얼 페이지 얻기 /
less x 텍스트 파일 x 보기
(리눅스에서는 더 많은 필터 적용 가능) type x more
echo 어떤 것을 echo 화면에 인쇄한다. echo
mc UNIX를 위한 노턴 커맨더 nc
mount 장치 연결(예: CD-ROM, 연결을 해제하려면 umount) -
halt 시스템 종료 -
reboot ([ctrl] + [alt] +[del]) 시스템 다시 시작하기 [ctrl] + [del] + [del]
고급 명령어
chmod <권한> <파일> 파일 권한(permissions) 변경
ls -l x 파일 x의 자세한 상황을 보여줌
ln -s x y x에서 y로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 줌
find x -name y -print 디렉토리 x안에서 파일 y를 찾아서 화면에 그 결과를 보여줌
ps 지금 작동중인 모든 프로세스들을 보여줌
kill x 프로세스 x를 종료 (x는 ps 명령으로 알 게 된 PID)
[alt] + F1 – F7 터미널 1-7까지 바꾸기 (텍스트 터미널에서; F7은 X-윈도우(시작될때))
lilo 부트 디스크를 만듦
용어
symlink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심볼릭 링크. 윈도유98의 바로가기 같은 것
shell script 여러 명령어들을 차례로 수행하게 한 것. MS-DOS의 배치 파일 같은 것
우분투 기본 명령어
2009/08/10 — davidlee9023
자주 쓰는 우분투 기본 명령어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 꾸러미
sudo apt-get remove 프로그램 꾸러미
프로그램을 설치(install)하고 제거(remove)하는 명령어 입니다. 추가/제거와 같은 기능을 문자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dist-upgrade
위에서 apt-get 이란 프로그램 꾸러미 도구입니다. apt-get은 저장소에서 프로그램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치하거나 지우는 등 관리자 역할을 해줍니다.
update는 저장소에서 이전 보다 개선된 꾸러미가 나왔나를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 중에 새로 개선된 내용이 있으면 저장소에서 가져다가 설치하란 명령입니다.
dist-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는 아니지만 우분투 사용에 필요한 추가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치하라는 명령입니다. 이미 설치된 꾸러미를 최신 판으로 바꿔주는 upgrade와는 차이가 있지요.
ls -ls
ls는 List의 약자입니다. 옵션으로 -ls를 더해주면 파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를 이동할 때는 c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디렉토리 이름을 입력하지 않고 cd만 입력하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
pwd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표시해 줍니다. Present Working Directory 의 약자.
mkdir
새로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ake a directory 의 약자.
rm 파일명
해당 파일을 지웁니다. rm은 ReMove의 약자 입니다. 디렉토리를 지울 때는 -r 옵션을 줍니다. 즉 ‘rm -r 디렉토리명’이 됩니다. -r 옵션은 디렉토리에 명령을 적용할 때 넣는 옵션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mv 파일명1 파일명2
cp 파일명1 파일명2
mv는 move의 약자를 파일명1을 지우고 파일명2로 옮깁니다. cp는 copy의 약자로 파일명1을 복사해 파일명 2로 저장합니다. 안전하게 옮기기 위해서는 원본을 그대로 두는 cp 명령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mv -r 디렉토리1 디렉토리2
mr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의 내용을 디렉토리 2로 옮깁니다. 이때 디렉토리1(원본)의 내용은 지워지며, 디렉토리2가 없을 경우 새로 디렉토리를 만들어 내용을 옮기게 됩니다. cp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의 내용을 디렉토리2로 복사합니다. 이때 원본은 그대로 남아있게 됩니다.
ln -s 파일명 바로가기명
파일명으로 바로가기를 만들어냅니다. 간혹 숨겨진 이름앞에 ‘.’ 이 붙어서 숨겨져 있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를 자주 열어볼 필요가 있을 때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편합니다. 바로가기 예로는 홈에 있는 Examples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ln은 LiNk의 약자입니다.
chmod
파일이 나 디렉토리에 대한 읽기(r), 쓰기(w), 실행하기(x) 소유권을 변경할 때 씁니다. ls -ls로 파일 이름을 출력하보면 x파일명에 drwx-xr-x 하는 식으로 내용이 출력되는데 이것은 파일 소유권을 표시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rwx 권한이 주어져야 해당 파일을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lsb_release -a
컴퓨터에 설치된 우분투 판번호(version number) 확인
date
오늘 날짜와 현재시간 출력
cal
이번달 달력출력
df
디스크 사용량 출력
du 디렉토리명
해당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출력 *주의! 디렉토리명 입력없이 du를 실행하면 모든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출력합니다. ;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gcast프로필 그림 보기gcast님에게 비공개 메시지 보내기gcast님의 게시글 더 찾기
//
그밖의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명령어 사 용 법
login 사용자 인증과정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multi-user 개념에서 시작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 다. 로그인은 PC 통신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그 개 념 설정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ID를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passwd 패스워드 변경
리눅스, 특히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일반 컴퓨팅 상황에 비하여 훨씬 해킹에 대한 위험이 높습니다.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 보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 #, ‘ 등과 같은 쉽게 연상 할 수 없는 기호를 삽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du 하드사용량 체크(chkdsk)
자신의 하드공간을 알려면
# du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알려면
# du -s diretory_name
ls 파일 리스트 보기(dir)
F : 파일 유형을 나타내는 기호를 파일명 끝에 표시
(디렉토리는 ‘/’, 실행파일은 ‘*’, 심볼릭 링크는 ‘@’가 나타남).
l : 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를 나타냅니다.
a : dot 파일(.access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표시.
t : 파일이 생성된 시간별로 표시
C : 도스의 dir/w명령과 같 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표시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 내용까지.
(예)
# ls -al
# ls -aC
# ls -R
cd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d .. :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 cd 또는 cd ~ : 어느곳에서든지 자기 홈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 cd /webker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하위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webker)로 이동하려면 /로
시작해서 경로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cp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index.html 화일을 index.old 란 이름으로 복사.
# cp /home/test/*.* .
: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화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index.htm 화일을 index.html 로 이름 변경
$ mv file ../main/new_file
: 파일의 위치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rm 화일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 -r <디렉토리> : 디렉토리 전체를 삭제
# rm -i a.*
: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일일이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면서 삭제
rmdir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pwd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pico 리눅스용 에디터
put ftp 상태에서 화일 업로드
> put guestbook.tar.gz
get ftp 상태에서 화일 다운로드
> get guestbook.tar.gz
mput 또는 mget 여러개의 화일을 올리고 내릴때 (put,get과 사용법동일)
chmod 화일 permission 변경
리눅스에서는 각 화일과 디렉토리에 사용권한을 부여.
예) -rwxr-xr-x guestbookt.html
rwx :처음 3개 문자 = 사용자 자신의 사용 권한
r-x :그다음 3개 문자 = 그룹 사용자의 사용 권한
r-x :마지막 3개 문자 = 전체 사용자의 사용 권한
읽기(read)———- 화일 읽기 권한
쓰기(write)———- 화일 쓰기 권한
실행(execution)———- 화일 실행 권한
없음(-)———- 사용권한 없음
명령어 사용법
chmod [변경모드] [파일]
# chmod 666 guestbook.html
: test.html 화일을 자신에게만 r,w,x 권한을 줌
# chmod 766 guestbook.html
: 자신은 모든 권한을 그룹사용자와,전체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쓰기 권한만 줌
alias ”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앨리어스는 [alias ls 'ls -al']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시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됩니다.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도스의 TYPE명령)
# cat filename
more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다.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줄 수 있어 유용.
# more <옵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Space bar : 다음 페이지
Return(enter) key : 다음 줄
v : vi 편집기로 전환
/str : str 문자를 찾음
b : 이전 페이지
q : more 상태를 빠져나감
h : 도움말
= : 현재 line number를 보여줌
who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 who
whereis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를 알려준다
vi,
touch,
cat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touch newfile : 빈 파일만 생성됨
# cat >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문서 작성후 Ctrl+D로 빠져나옴
cat,
head,
tail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head -n filename : n줄 만큼 위세서부터 보여줌
# tail -n filename : n줄 만큼 아래에서부터 보여줌
압축 관련 명령어
압축 명령어 사 용 법
tar .tar, _tar로 된 파일을 묶거나 풀때 사용하는 명령어
(압축파일이 아님)
# tar cvf [파일명(.tar, _tar)] 압축할 파일(또는 디렉토리): 묶을때
# tar xvf [파일명(.tar, _tar)] : 풀 때
(cf) cvfp/xvfp 로 하면 퍼미션 부동
compress 확장자.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compress [파일명] : 압축시
# uncompress [파일명] : 해제시
gzip 확장자 .gz, .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gzip [파일명] : 압축시
# gzip -d [파일명] : 해제시
기타 .tar.Z
이것은 tar로 묶은 후에 compress를 사용하여 압축한 것으로 uncompress를 사용해서 압축을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의 파일들을 만들어내면 됩니다.
아니면 다음과 같이 한 번에 풀 수도 있다.
# zcat [파일명].tar.Z : 해제시
.tar.gz또는 .tar.z
# gzip -cd [파일명] : 해제시
.tar.gz 또는 .tar.z .tgz
gzip을 사용해서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나,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면 한 번에 처리를 할 수 있다.
# gzip -cd 파일.tar.gz tar xvf – 또는
# tar xvzf 파일.tar.gz
# tar xvzf 파일.tgz
Linux/Unix 명령어 설 명 MS-DOS 비교
./x x 프로그램 실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것) x
↑/ ↓ 이전에(↑) / 다음에(↓) 입력했던 명령어 doskey
cd x (또는 cd /x) 디렉토리 X로 가기 cd
cd .. (또는 cd ../ 또는 cd /..) 한 디렉토리 위로 가기 cd..
x 다음 [tab] [tab] x 로 시작하는 모든 명령어 보기 -
adduser 시스템에 사용자 추가 /
ls (또는 dir) 디렉토리 내부 보여주기 dir
cat 터미널 상의 텍스트 파일 보기 type
mv x y 파일 x를 파일 y로 바꾸거나 옮기기 move
cp x y 파일 x를 파일 y로 복사하기 copy
rm x 파일 지우기 del
mkdir x 디렉토리 만들기 md
rmdir x 디렉토리 지우기 rd
rm -r x 디렉토리 x를 지우고 하위도 다 지우기 deltree
rm p 패키지 지우기 -
df (또는 df x) 장치 x의 남은 공간 보여주기 chkdsk ?
top 메모리 상태 보여주기(q는 종료) mem
man x 명령어 x에 관한 매뉴얼 페이지 얻기 /
less x 텍스트 파일 x 보기
(리눅스에서는 더 많은 필터 적용 가능) type x more
echo 어떤 것을 echo 화면에 인쇄한다. echo
mc UNIX를 위한 노턴 커맨더 nc
mount 장치 연결(예: CD-ROM, 연결을 해제하려면 umount) -
halt 시스템 종료 -
reboot ([ctrl] + [alt] +[del]) 시스템 다시 시작하기 [ctrl] + [del] + [del]
고급 명령어
chmod <권한> <파일> 파일 권한(permissions) 변경
ls -l x 파일 x의 자세한 상황을 보여줌
ln -s x y x에서 y로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 줌
find x -name y -print 디렉토리 x안에서 파일 y를 찾아서 화면에 그 결과를 보여줌
ps 지금 작동중인 모든 프로세스들을 보여줌
kill x 프로세스 x를 종료 (x는 ps 명령으로 알 게 된 PID)
[alt] + F1 – F7 터미널 1-7까지 바꾸기 (텍스트 터미널에서; F7은 X-윈도우(시작될때))
lilo 부트 디스크를 만듦
용어
symlink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심볼릭 링크. 윈도유98의 바로가기 같은 것
shell script 여러 명령어들을 차례로 수행하게 한 것. MS-DOS의 배치 파일 같은 것
Saturday, February 20, 2010
MySQL 쿼리 정리
[+MySQL 쿼리 정리]
//--데이터베이스 만들고 사용 선언하기
- CREATE DATABASE gamedata;
- SHOW DATABASES;
- USE gamedata;
//--테이블 만들고 보기
- CREATE TABLE playerinfo (
id INT AUTO_INCREMENT,
name VARCHAR(30),
xpos INT,
ypos INT,
exp INT,
PRIMARY KEY(id));
- SHOW TABLE; //만들어진 모든 테이블보기
- DESCRIBE playerinfo; //특정테이블 보기
//--테이블에 데이터 넣기
- INSERT INTO playerinfo VALUE
(NULL,LeeSangRyul,14,35,1431); //NULL 은 자동할당이기 때문
- INSERT INTO playerinfo VALUE
(NULL,Kim,14,35,1431),
(NULL,Park,14,35,22222),
(NULL,Bea,14,33,33333); //콤마로 연속해서 입력 가능
//--테이블에 특정 데이터 보기(선택)
- SELECT * FROM playerinfo; //전부 선택
- SELECT name,exp FROM playerinfo;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exp > 1000;
- SELECT id,name FROM playerinfo WHERE ypos = 86;
- SELECT id,xpos,ypos FROM playerinfo WHERE name = "LeeSangRyul";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Lee%"; //시작이 Lee 모든것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Sang%"; //어디든 Sang이 있는 모든것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xpos > 10 AND xpos < 20;
//--테이블에 추가 필드 삽입,수정
- ALTER TABLE playerinfo ADD lastlogin TIMESTAMP; (필드이름, 필드타잎)
- ALTER TABLE playerinfo MODIFY name VARCHAR(50); //타잎 수정
//--필드 데이터 업데이트
- UPDATE playerinfo SET lastlogin = NULL WHERE name = "Lee Sang Ryul";
- UPDATE playerinfo SET exp = 1000 WHERE name LIKE "J%";
- UPDATE playerinfo SET exp = 500 WHERE xpos > 10 AND xpos < 20;
//--출력 순서정하기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name;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name DESC; //내림차순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exp,xpos;
//--입력된 데이터구하기
- SELECT @maxid:=MAX(id) FROM playerinfo; //@는 변수 MAX 함수는 가장 큰값얻는 함수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id = @maxid;
- SELECT @lastlogin:=MAX(lastlogin) FROM playerinfo;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lastlogin = @lastlogin;
//--출력갯수 제한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J%" LIMIT 2;
//--테이블에서 데이터 삭제
- DELETE FROM playerinfo WHERE name = "Lee Sang Ryul";
- DELETE FROM playerinfo WHERE id = 3;
- DELETE FROM playerinfo; //다지우기
//--테이블 및 데이터베이스 삭제
- DROP TABLE playerinfo;
- DROP DATABASE gamedata;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id 관계를 잘 정리하면 된다. ㅎㅎ
[+텍스트 파일 입력]
- 각항목 사이 탭을 넣어주고, 엔터치기전에 탭 한번 더 넣어줌
- MySQL bin 디렉토리에 복사
- 엑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txt로 세이브하면 똑같이 된다.
- LOAD DATA LOCAL INFILE "player.txt" INTO TABLE playerdata;
- SELECT * FROM playerdata ORDER BY id;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onlinegame 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backup.sql 파일로 백업
- mysqldump onlinegame > backup.sql // 커맨드 모드에서 즉 sql 빠져나와서)
//--복원
- CREATE DATABASE onlinegame;
- mysql onlinegame < backup.sql // 커맨드 모드에서 즉 sql 빠져나와서)
출처 : http://envygame.com/~blog/Zeus0423/tag/mysql+php
//--데이터베이스 만들고 사용 선언하기
- CREATE DATABASE gamedata;
- SHOW DATABASES;
- USE gamedata;
//--테이블 만들고 보기
- CREATE TABLE playerinfo (
id INT AUTO_INCREMENT,
name VARCHAR(30),
xpos INT,
ypos INT,
exp INT,
PRIMARY KEY(id));
- SHOW TABLE; //만들어진 모든 테이블보기
- DESCRIBE playerinfo; //특정테이블 보기
//--테이블에 데이터 넣기
- INSERT INTO playerinfo VALUE
(NULL,LeeSangRyul,14,35,1431); //NULL 은 자동할당이기 때문
- INSERT INTO playerinfo VALUE
(NULL,Kim,14,35,1431),
(NULL,Park,14,35,22222),
(NULL,Bea,14,33,33333); //콤마로 연속해서 입력 가능
//--테이블에 특정 데이터 보기(선택)
- SELECT * FROM playerinfo; //전부 선택
- SELECT name,exp FROM playerinfo;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exp > 1000;
- SELECT id,name FROM playerinfo WHERE ypos = 86;
- SELECT id,xpos,ypos FROM playerinfo WHERE name = "LeeSangRyul";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Lee%"; //시작이 Lee 모든것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Sang%"; //어디든 Sang이 있는 모든것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xpos > 10 AND xpos < 20;
//--테이블에 추가 필드 삽입,수정
- ALTER TABLE playerinfo ADD lastlogin TIMESTAMP; (필드이름, 필드타잎)
- ALTER TABLE playerinfo MODIFY name VARCHAR(50); //타잎 수정
//--필드 데이터 업데이트
- UPDATE playerinfo SET lastlogin = NULL WHERE name = "Lee Sang Ryul";
- UPDATE playerinfo SET exp = 1000 WHERE name LIKE "J%";
- UPDATE playerinfo SET exp = 500 WHERE xpos > 10 AND xpos < 20;
//--출력 순서정하기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name;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name DESC; //내림차순
- SELECT * FROM playerinfo ORDER BY exp,xpos;
//--입력된 데이터구하기
- SELECT @maxid:=MAX(id) FROM playerinfo; //@는 변수 MAX 함수는 가장 큰값얻는 함수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id = @maxid;
- SELECT @lastlogin:=MAX(lastlogin) FROM playerinfo;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lastlogin = @lastlogin;
//--출력갯수 제한
- SELECT * FROM playerinfo WHERE name LIKE "J%" LIMIT 2;
//--테이블에서 데이터 삭제
- DELETE FROM playerinfo WHERE name = "Lee Sang Ryul";
- DELETE FROM playerinfo WHERE id = 3;
- DELETE FROM playerinfo; //다지우기
//--테이블 및 데이터베이스 삭제
- DROP TABLE playerinfo;
- DROP DATABASE gamedata;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id 관계를 잘 정리하면 된다. ㅎㅎ
[+텍스트 파일 입력]
- 각항목 사이 탭을 넣어주고, 엔터치기전에 탭 한번 더 넣어줌
- MySQL bin 디렉토리에 복사
- 엑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txt로 세이브하면 똑같이 된다.
- LOAD DATA LOCAL INFILE "player.txt" INTO TABLE playerdata;
- SELECT * FROM playerdata ORDER BY id;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onlinegame 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backup.sql 파일로 백업
- mysqldump onlinegame > backup.sql // 커맨드 모드에서 즉 sql 빠져나와서)
//--복원
- CREATE DATABASE onlinegame;
- mysql onlinegame < backup.sql // 커맨드 모드에서 즉 sql 빠져나와서)
출처 : http://envygame.com/~blog/Zeus0423/tag/mysql+php
Friday, February 19, 2010
모바일과정에 있어서
모바일과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전세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단순한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던 초기의 이동통신이 점차 핸드폰 상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으로 변화하면서 게임이나 여러 가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단계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각 통신사별로 사용하는 플랫폼이 다르지만 정부에서는 향후 WIPI 플랫폼으로 통일을 시키려고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할 때는 지금은 거의 자바(j2me) 아니면 c를 쓰는데. 보통 SK 와 LG 는 자바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며 KTF 는 C 언어를 택해서 개발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효율성과 속도면에서 C를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모든 핸드폰의 플랫폼을 통일하기 위해 WIPI 라는 것이 나왔는데 이것은 선택 사양이 아니라 강제 사양이 되어, 앞으로 나오는 모든 핸드폰은 WIPI 플랫폼을 반드시 탑제해야만 한다. WIPI 는 java 와 c 다 지원하며 모바일 쪽을 공부하기 위해서 반드시 WIPI 는 알아야만 한다.
모바일쪽은 이제 시작하는 분야기 때문에 이쪽으로 발전 가능성은 무지 크다고 보고 있다.
June이 나온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전용 영화, 모바일 광고 등 모바일의 상품가치가 여러모로 발전되고 있다.
Brew란?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는 CDMA용 무선 장치들을 위한 미국 퀄컴사의 응용프로그램 개발용 플랫폼으로서, 원시코드가 개방되어 있다. BREW를 이용하면 CDMA 칩셋이 장착된 어떠한 핸드폰 상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응용프로그램들을 만들 수 있게 된다. BREW는 응용프로그램과 칩의 운영체계 사이에서 동작하므로, 응용프로그램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코딩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심지어 무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아무런 이해 없이도 그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들은 문자를 이용한 채팅, 발전된 이메일, 위치확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게임, 인터넷 라디오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공급자의 네트웍으로부터 BREW 기능이 있는 전화기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BREW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J2ME (Java 2 Micro Edition)와 같은 유사한 플랫폼과 무선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BREW의 초기 버전은 CDMA에서만 가능하였지만, 그 이후의 버전은 TDMA와 GSM에서도 동작하도록 확장되었다.
WIPI 란?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국내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WIPI'(위피)를 비동기 IMT-2000 국제표준으로 상정
3GPP 캐나다 회의에서 기술적 우위성, 개방성으로 국제표준 채택 '청신호'
금년 11월부터 국내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에 채택되어 본격적으로 세계시장 공략
WIPI는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또한, WIPI는 구조를 포함한 API 등의 모든 규격을 표준으로 상정하여 공개하고,자유롭게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GPP 규격의 하나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개발상의 제약은 적다.
중국 차이나 유니콤이 WIPI 기술의 Test bed 시연과 함께 포탈 사업자에 대한 합작 투자를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등 기대 이상의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차이나 유니콤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서 우리나라의 WIPI를 채택할 경우,당장 중국시장 개척이 본격화 되는 것은 물론, 국제표준화 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GVM이란?
GVM(General Virtual Machine)은 순수 국산 기술(신지소프트)로 만들어졌으며 무선인터넷 미들웨어 솔루션으로 무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필요한 시점에 단말기 상에서 실행할수 있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인터넷 기술인 WAP, ME 등이 Browser 기반으로 단순한 텍스트와 제한된 이미지 제공의 한계를 가져 이용 활성화가 어려웠음에 반하여, GVM은 사용자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선택한 후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기능을 무한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WIPI 모바일 프로그래밍
(12주코스)
1.Clet Programming - 개발환경구축(Visual Studio6.0, Java SDK1.3, Edit Plus)
- Clet의 Life Cycle
- Clet 함수의 종류
- Clet의 구조 및 Template작성
- Clet의 Data Type & User Defined Data Type
- Clet API Library
- 응용프로그램 실습
2.Clet기반 Graphics / Sound Programming - Graphics 처리방법
- Image 처리 프로세싱
- Clipping처리, Alpha Branding을 이용한 fade in/out,
- Animation 구현 방법
- UI 구성 방법
- 클립의 이해와 Sound재생
- 응용프로그램 실습
3.DataBase, File I/O - Clet의 DataBase구조와 Insert, Select, Sort, Update, Delete
- Multi Column 구현방법 및 Compare / Filter기능 구현
- File Input / Output
- Struct 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구현
- DataBase/File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실습
4. Network System,
Handset Layer
- OSI 7 Layer
- Socket Programming 의 전반적인 이해
- TCP, UDP, HTTP Protocol 방식의 이해
- Clet Network 프로그램(채팅프로그램)
- 핸드폰 기능 처리
- 응용프로그램 실습
5.Jlet Programming /
Jlet Low Level GUI Programming
- Jlet 개발환경구축
- Jlet 프로그램의 생명주기
- Jlet 기초프로그래밍
- 2D Graphics 의 이해
- Drawing 방식의 이해
Display / Card / Graphics class
- Jlet Low Level Interface
클리핑 기법 / Alpha 모드 / XOR 모드
6.Jlet High Level GUIProgramming
- Component 클래스의 이해
- ContainerComponent 클래스
- ShellComponent
- FormComponent
- ButtonComponent
- TextFieldComponent 등
7.File I/O,DataBase
- org.kwis.msp.io 패키지
스트림의 이해
File class
FileSystem class
- org.kwis.msp.db 패키지
DataBase class
DataComparator interface
DataFilter interface
8. Network단말기
제어프로그램
- org.kwis.msf.io 패키지
HttpSocket interface
Socket interface
Message class
Network class
URL class
- org.kwis.msp.handset 패키지
BackLight 및 HandsetProperty
미디어 재생
9.OEM API(SKT) SKT WIPI 1.2 API
- 커널
- 그래픽
- 파일 시스템
- REGISTRY
- NETWORK
- 매체처리기
- MISC
- UTILTIY
- Generic I/O
- Input Device
- 단말기 리소스
- User Interface Component
- WFC(Wipi Foundation Class
10.OEM API(LGT / KTF) LGT ? wec Package
- AddressBook
- Camera
- OEMDevice
- VideoClip
- GatewayIP
- WakeupTimer
- StillClip
- StreamClip
- SYSTheme
- URLEncoder
KTF ? com.ktf
- AddressBook
- Camera
- GatewayIP
- OEMDevice
- URLEncoder
- WakeupTimer
- JPEGCameraClip
- com.ktf.kfc Package
- GForm
- GFormBase
- GFormComponent
- SymbolForm
11.Project 실습 - 1 팀별 / 개인별 진행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12.Project 실습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전세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단순한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던 초기의 이동통신이 점차 핸드폰 상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으로 변화하면서 게임이나 여러 가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단계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각 통신사별로 사용하는 플랫폼이 다르지만 정부에서는 향후 WIPI 플랫폼으로 통일을 시키려고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할 때는 지금은 거의 자바(j2me) 아니면 c를 쓰는데. 보통 SK 와 LG 는 자바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며 KTF 는 C 언어를 택해서 개발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효율성과 속도면에서 C를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모든 핸드폰의 플랫폼을 통일하기 위해 WIPI 라는 것이 나왔는데 이것은 선택 사양이 아니라 강제 사양이 되어, 앞으로 나오는 모든 핸드폰은 WIPI 플랫폼을 반드시 탑제해야만 한다. WIPI 는 java 와 c 다 지원하며 모바일 쪽을 공부하기 위해서 반드시 WIPI 는 알아야만 한다.
모바일쪽은 이제 시작하는 분야기 때문에 이쪽으로 발전 가능성은 무지 크다고 보고 있다.
June이 나온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전용 영화, 모바일 광고 등 모바일의 상품가치가 여러모로 발전되고 있다.
Brew란?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는 CDMA용 무선 장치들을 위한 미국 퀄컴사의 응용프로그램 개발용 플랫폼으로서, 원시코드가 개방되어 있다. BREW를 이용하면 CDMA 칩셋이 장착된 어떠한 핸드폰 상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응용프로그램들을 만들 수 있게 된다. BREW는 응용프로그램과 칩의 운영체계 사이에서 동작하므로, 응용프로그램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코딩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심지어 무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아무런 이해 없이도 그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들은 문자를 이용한 채팅, 발전된 이메일, 위치확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게임, 인터넷 라디오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공급자의 네트웍으로부터 BREW 기능이 있는 전화기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BREW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J2ME (Java 2 Micro Edition)와 같은 유사한 플랫폼과 무선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BREW의 초기 버전은 CDMA에서만 가능하였지만, 그 이후의 버전은 TDMA와 GSM에서도 동작하도록 확장되었다.
WIPI 란?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국내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WIPI'(위피)를 비동기 IMT-2000 국제표준으로 상정
3GPP 캐나다 회의에서 기술적 우위성, 개방성으로 국제표준 채택 '청신호'
금년 11월부터 국내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에 채택되어 본격적으로 세계시장 공략
WIPI는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또한, WIPI는 구조를 포함한 API 등의 모든 규격을 표준으로 상정하여 공개하고,자유롭게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GPP 규격의 하나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개발상의 제약은 적다.
중국 차이나 유니콤이 WIPI 기술의 Test bed 시연과 함께 포탈 사업자에 대한 합작 투자를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등 기대 이상의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차이나 유니콤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서 우리나라의 WIPI를 채택할 경우,당장 중국시장 개척이 본격화 되는 것은 물론, 국제표준화 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GVM이란?
GVM(General Virtual Machine)은 순수 국산 기술(신지소프트)로 만들어졌으며 무선인터넷 미들웨어 솔루션으로 무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필요한 시점에 단말기 상에서 실행할수 있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인터넷 기술인 WAP, ME 등이 Browser 기반으로 단순한 텍스트와 제한된 이미지 제공의 한계를 가져 이용 활성화가 어려웠음에 반하여, GVM은 사용자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선택한 후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기능을 무한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WIPI 모바일 프로그래밍
(12주코스)
1.Clet Programming - 개발환경구축(Visual Studio6.0, Java SDK1.3, Edit Plus)
- Clet의 Life Cycle
- Clet 함수의 종류
- Clet의 구조 및 Template작성
- Clet의 Data Type & User Defined Data Type
- Clet API Library
- 응용프로그램 실습
2.Clet기반 Graphics / Sound Programming - Graphics 처리방법
- Image 처리 프로세싱
- Clipping처리, Alpha Branding을 이용한 fade in/out,
- Animation 구현 방법
- UI 구성 방법
- 클립의 이해와 Sound재생
- 응용프로그램 실습
3.DataBase, File I/O - Clet의 DataBase구조와 Insert, Select, Sort, Update, Delete
- Multi Column 구현방법 및 Compare / Filter기능 구현
- File Input / Output
- Struct 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구현
- DataBase/File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실습
4. Network System,
Handset Layer
- OSI 7 Layer
- Socket Programming 의 전반적인 이해
- TCP, UDP, HTTP Protocol 방식의 이해
- Clet Network 프로그램(채팅프로그램)
- 핸드폰 기능 처리
- 응용프로그램 실습
5.Jlet Programming /
Jlet Low Level GUI Programming
- Jlet 개발환경구축
- Jlet 프로그램의 생명주기
- Jlet 기초프로그래밍
- 2D Graphics 의 이해
- Drawing 방식의 이해
Display / Card / Graphics class
- Jlet Low Level Interface
클리핑 기법 / Alpha 모드 / XOR 모드
6.Jlet High Level GUIProgramming
- Component 클래스의 이해
- ContainerComponent 클래스
- ShellComponent
- FormComponent
- ButtonComponent
- TextFieldComponent 등
7.File I/O,DataBase
- org.kwis.msp.io 패키지
스트림의 이해
File class
FileSystem class
- org.kwis.msp.db 패키지
DataBase class
DataComparator interface
DataFilter interface
8. Network단말기
제어프로그램
- org.kwis.msf.io 패키지
HttpSocket interface
Socket interface
Message class
Network class
URL class
- org.kwis.msp.handset 패키지
BackLight 및 HandsetProperty
미디어 재생
9.OEM API(SKT) SKT WIPI 1.2 API
- 커널
- 그래픽
- 파일 시스템
- REGISTRY
- NETWORK
- 매체처리기
- MISC
- UTILTIY
- Generic I/O
- Input Device
- 단말기 리소스
- User Interface Component
- WFC(Wipi Foundation Class
10.OEM API(LGT / KTF) LGT ? wec Package
- AddressBook
- Camera
- OEMDevice
- VideoClip
- GatewayIP
- WakeupTimer
- StillClip
- StreamClip
- SYSTheme
- URLEncoder
KTF ? com.ktf
- AddressBook
- Camera
- GatewayIP
- OEMDevice
- URLEncoder
- WakeupTimer
- JPEGCameraClip
- com.ktf.kfc Package
- GForm
- GFormBase
- GFormComponent
- SymbolForm
11.Project 실습 - 1 팀별 / 개인별 진행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12.Project 실습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모바일 프로그램 애니빌
보통 SK 텔레콤을 기준으로하면, 네이트 접속할때 사용하는것이
wap브라우져입니다.(데스크톱에서 익스플로어랑 비슷하다고 이해하세요)
먼저 PHP로 wap브라우져용 무선인터넷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작년에 SK 텔레콤용으로 wml형식을 PHP로 구현한 프로젝트 수행했습니다.
일단 wml 문법이라든지 선행지식을 학습한 후에(기초적인 것은 금방 배웁니다.)
이것을 PHP 로 프로그래밍 하면 됩니다.
작년에 저는 웹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이것을 My-sql(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다음, 011 모바일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주요 작업이었습니다.
참고로 아직 EVDO서비스가 시작되고 있지만 그림등의 이미지처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작년저는 수치데이터를 모바일폰에서
그래픽처리하여 출력했는데 시간이 좀 걸리더군요.
일단 wml을 공부하시고, 애니빌이라는 무선인터넷 툴을 한번 경험해 보십시오.
애니빌은 wml 뿐만아니라, LG, KTF 등의 무선인터넷페이지 개발도 가능합니다.
일종의 나모웹에디터랑 비슷하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애니빌 : 애니빌평가판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anybil.com/
강좌와 약간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엠누리 : 직접 폰페이지를 만들고 웹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mnuri.co.kr
물론, 핸드폰에서도 가능합니다.
가능 도움되는 2가지를 적어보았습니다. 나머지는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3. 사실 모바일관련 책, 특히 무선인터넷쪽으로 관련서적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일단 학교 도서관에서 무선인터넷, 폰페이지, WAP로 검색하면 몇권 안나올겁니다.
그거 일단 읽어 보시구요. 나중에 직접 모바일용 응용프로그램을 하시려면
Brew(KTF), GVM/GNEX(SK), j2me, ez-java 등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SK 같은경우 PlayON 등에서 실행되는 게임, 기타 응용프로그램은 거의 GVM/GNEX로 만들어졌습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2&docId=69848294&qb=66qo67CU7J28IO2UhOuhnOq3uOueqA==&enc=utf8§ion=kin&rank=3&sort=0&spq=0
wap브라우져입니다.(데스크톱에서 익스플로어랑 비슷하다고 이해하세요)
먼저 PHP로 wap브라우져용 무선인터넷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작년에 SK 텔레콤용으로 wml형식을 PHP로 구현한 프로젝트 수행했습니다.
일단 wml 문법이라든지 선행지식을 학습한 후에(기초적인 것은 금방 배웁니다.)
이것을 PHP 로 프로그래밍 하면 됩니다.
작년에 저는 웹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이것을 My-sql(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다음, 011 모바일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주요 작업이었습니다.
참고로 아직 EVDO서비스가 시작되고 있지만 그림등의 이미지처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작년저는 수치데이터를 모바일폰에서
그래픽처리하여 출력했는데 시간이 좀 걸리더군요.
일단 wml을 공부하시고, 애니빌이라는 무선인터넷 툴을 한번 경험해 보십시오.
애니빌은 wml 뿐만아니라, LG, KTF 등의 무선인터넷페이지 개발도 가능합니다.
일종의 나모웹에디터랑 비슷하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애니빌 : 애니빌평가판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anybil.com/
강좌와 약간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엠누리 : 직접 폰페이지를 만들고 웹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mnuri.co.kr
물론, 핸드폰에서도 가능합니다.
가능 도움되는 2가지를 적어보았습니다. 나머지는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3. 사실 모바일관련 책, 특히 무선인터넷쪽으로 관련서적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일단 학교 도서관에서 무선인터넷, 폰페이지, WAP로 검색하면 몇권 안나올겁니다.
그거 일단 읽어 보시구요. 나중에 직접 모바일용 응용프로그램을 하시려면
Brew(KTF), GVM/GNEX(SK), j2me, ez-java 등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SK 같은경우 PlayON 등에서 실행되는 게임, 기타 응용프로그램은 거의 GVM/GNEX로 만들어졌습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2&docId=69848294&qb=66qo67CU7J28IO2UhOuhnOq3uOueqA==&enc=utf8§ion=kin&rank=3&sort=0&spq=0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