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과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전세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단순한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던 초기의 이동통신이 점차 핸드폰 상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으로 변화하면서 게임이나 여러 가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단계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각 통신사별로 사용하는 플랫폼이 다르지만 정부에서는 향후 WIPI 플랫폼으로 통일을 시키려고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할 때는 지금은 거의 자바(j2me) 아니면 c를 쓰는데. 보통 SK 와 LG 는 자바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며 KTF 는 C 언어를 택해서 개발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효율성과 속도면에서 C를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모든 핸드폰의 플랫폼을 통일하기 위해 WIPI 라는 것이 나왔는데 이것은 선택 사양이 아니라 강제 사양이 되어, 앞으로 나오는 모든 핸드폰은 WIPI 플랫폼을 반드시 탑제해야만 한다. WIPI 는 java 와 c 다 지원하며 모바일 쪽을 공부하기 위해서 반드시 WIPI 는 알아야만 한다.
모바일쪽은 이제 시작하는 분야기 때문에 이쪽으로 발전 가능성은 무지 크다고 보고 있다.
June이 나온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전용 영화, 모바일 광고 등 모바일의 상품가치가 여러모로 발전되고 있다.
Brew란?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는 CDMA용 무선 장치들을 위한 미국 퀄컴사의 응용프로그램 개발용 플랫폼으로서, 원시코드가 개방되어 있다. BREW를 이용하면 CDMA 칩셋이 장착된 어떠한 핸드폰 상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응용프로그램들을 만들 수 있게 된다. BREW는 응용프로그램과 칩의 운영체계 사이에서 동작하므로, 응용프로그램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코딩하지 않는 것은 물론, 심지어 무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아무런 이해 없이도 그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들은 문자를 이용한 채팅, 발전된 이메일, 위치확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게임, 인터넷 라디오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공급자의 네트웍으로부터 BREW 기능이 있는 전화기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BREW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J2ME (Java 2 Micro Edition)와 같은 유사한 플랫폼과 무선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BREW의 초기 버전은 CDMA에서만 가능하였지만, 그 이후의 버전은 TDMA와 GSM에서도 동작하도록 확장되었다.
WIPI 란?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국내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WIPI'(위피)를 비동기 IMT-2000 국제표준으로 상정
3GPP 캐나다 회의에서 기술적 우위성, 개방성으로 국제표준 채택 '청신호'
금년 11월부터 국내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에 채택되어 본격적으로 세계시장 공략
WIPI는 자바(JAVA)언어와 C/C++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한국형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서,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컨탠츠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또한, WIPI는 구조를 포함한 API 등의 모든 규격을 표준으로 상정하여 공개하고,자유롭게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GPP 규격의 하나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개발상의 제약은 적다.
중국 차이나 유니콤이 WIPI 기술의 Test bed 시연과 함께 포탈 사업자에 대한 합작 투자를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등 기대 이상의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차이나 유니콤이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서 우리나라의 WIPI를 채택할 경우,당장 중국시장 개척이 본격화 되는 것은 물론, 국제표준화 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GVM이란?
GVM(General Virtual Machine)은 순수 국산 기술(신지소프트)로 만들어졌으며 무선인터넷 미들웨어 솔루션으로 무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필요한 시점에 단말기 상에서 실행할수 있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인터넷 기술인 WAP, ME 등이 Browser 기반으로 단순한 텍스트와 제한된 이미지 제공의 한계를 가져 이용 활성화가 어려웠음에 반하여, GVM은 사용자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선택한 후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기능을 무한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WIPI 모바일 프로그래밍
(12주코스)
1.Clet Programming - 개발환경구축(Visual Studio6.0, Java SDK1.3, Edit Plus)
- Clet의 Life Cycle
- Clet 함수의 종류
- Clet의 구조 및 Template작성
- Clet의 Data Type & User Defined Data Type
- Clet API Library
- 응용프로그램 실습
2.Clet기반 Graphics / Sound Programming - Graphics 처리방법
- Image 처리 프로세싱
- Clipping처리, Alpha Branding을 이용한 fade in/out,
- Animation 구현 방법
- UI 구성 방법
- 클립의 이해와 Sound재생
- 응용프로그램 실습
3.DataBase, File I/O - Clet의 DataBase구조와 Insert, Select, Sort, Update, Delete
- Multi Column 구현방법 및 Compare / Filter기능 구현
- File Input / Output
- Struct 를 이용한 파일 입출력 구현
- DataBase/File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실습
4. Network System,
Handset Layer
- OSI 7 Layer
- Socket Programming 의 전반적인 이해
- TCP, UDP, HTTP Protocol 방식의 이해
- Clet Network 프로그램(채팅프로그램)
- 핸드폰 기능 처리
- 응용프로그램 실습
5.Jlet Programming /
Jlet Low Level GUI Programming
- Jlet 개발환경구축
- Jlet 프로그램의 생명주기
- Jlet 기초프로그래밍
- 2D Graphics 의 이해
- Drawing 방식의 이해
Display / Card / Graphics class
- Jlet Low Level Interface
클리핑 기법 / Alpha 모드 / XOR 모드
6.Jlet High Level GUIProgramming
- Component 클래스의 이해
- ContainerComponent 클래스
- ShellComponent
- FormComponent
- ButtonComponent
- TextFieldComponent 등
7.File I/O,DataBase
- org.kwis.msp.io 패키지
스트림의 이해
File class
FileSystem class
- org.kwis.msp.db 패키지
DataBase class
DataComparator interface
DataFilter interface
8. Network단말기
제어프로그램
- org.kwis.msf.io 패키지
HttpSocket interface
Socket interface
Message class
Network class
URL class
- org.kwis.msp.handset 패키지
BackLight 및 HandsetProperty
미디어 재생
9.OEM API(SKT) SKT WIPI 1.2 API
- 커널
- 그래픽
- 파일 시스템
- REGISTRY
- NETWORK
- 매체처리기
- MISC
- UTILTIY
- Generic I/O
- Input Device
- 단말기 리소스
- User Interface Component
- WFC(Wipi Foundation Class
10.OEM API(LGT / KTF) LGT ? wec Package
- AddressBook
- Camera
- OEMDevice
- VideoClip
- GatewayIP
- WakeupTimer
- StillClip
- StreamClip
- SYSTheme
- URLEncoder
KTF ? com.ktf
- AddressBook
- Camera
- GatewayIP
- OEMDevice
- URLEncoder
- WakeupTimer
- JPEGCameraClip
- com.ktf.kfc Package
- GForm
- GFormBase
- GFormComponent
- SymbolForm
11.Project 실습 - 1 팀별 / 개인별 진행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12.Project 실습
- Standalone
- Network
- Contents Download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