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설치 1~3단계, 언어, 시간대/거주지, 키보드 선택하기
우분투 라이브 CD로 부트 후 바탕화면에 놓인 '설치(install)' 아이콘을 누르면 7단계 설치가 시작됩니다.
1) 설치 1단계-언어선택
1단계에서는 사용하는 말글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리말을 쓰시려면 '한국어'를 택하시면 됩니다.
라이브CD메뉴에서 한글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도 여기서 '한국
어'를 택해주면 우리글 메뉴가 보입니다.
잠시 컴퓨터가 우리말을 어떻게 보여주나 공부해 봅시다. 컴
퓨터는 우리말 문서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읽습니다.
컴퓨터가 글 읽는 방식을 'character set encoding'이라고 하며
우리말로 풀면 '약속한 규칙대로 낱글자묶음 읽기' 입니다.
세상에는 한글, 알파벳, 일본어 등 여러 낱글자묶음(Character
set)이 있습니다.
이런 낱글자 묵음을 컴퓨터는 '약속한 규칙대로 읽어(encoding)' 화면에 보여줍니다.
우분투는 글을 읽는 규칙으로 '유니코드 UTF-8' 로 택했습니다. 반면에 MS윈도우는 한글 완성형(EUC-KR)
과 확장 완성형(CP949 또는 UHC)을 택했습니다..
이 결과 둘의 차이로 인해 플래쉬나 동영상 한글자막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약간의 수정을
거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은 5.4 한글 환경 설정: 한글 표시/ 입력문제 해결 참고)
사실 대세는 '유니코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를 더 많이 쓴다는 단점도 있지만 유니코드는 MS윈도
우XP처럼 각 언어에 대한 낱글자묶음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그 자체로 세상에 알려진 모든 낱글자묶음을
읽고 쓸 수 있으니까요.
한편 한글 설치가 가끔 문제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우분투 라이브CD에는 한글을 보여주고 입력하기 위한 꾸러미(Package)가 일부만 담겨있습니다. 따라서
설치중 인터넷에서 한글을 보여주기 위한 꾸러미를 가져와야 하나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수 많은 사
용자가 저장소에 몰려 폭주할 경우에는 온전히 한글이 설치되지 않은 '반편이 한글' 문제를 겪게 됩니다.
역시 간단한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우분투는 프로그램 덩어리를 꾸러미라고 부르고 그 꾸러미를 '저장소(repository)'에서 가져옵니다. 저장소
는 한 곳이 아니기때문에 복수표기에 민감한 영단어에는 보통 저장소들(repositories)로 표기합니다.
2) 설치 2단계-시간대/거주지선택
지도상에서 자기 거주 도시나 거주하는 지역 인근도시를 택하
시면 됩니다.
거주지를 택하는 이유는 가까운 저장소를 찾기 위해서 입니
다. 예를 들어 캐나다 밴쿠버를 택하시면 캐나다에 있는 저장
소에서 미국 어느 도시를 택하면 그 인근의 저장소에서 꾸러
미를 받아오게 됩니다. 다만 저장소 마다 꾸러미의 판
(version)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 꾸러미 최신판
은 한국에 있는 저장소에는 올라와 있지만, 반대로 타국 저장
소에는 판올림 되지 않은 꾸러미가 올라와 있는 경우가 있습
니다.
나중에 저장소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설치 후 [시스
템]-[관리]-[소프트웨어 소스]에서 '다운로드 위치' 를 바꿔 주면 됩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소프트웨어 소스]에서 '써드파티 소프트웨어'를 눌러 비공식 저장소를 더해줄 수 있습니
다.
'써드파티(3rd Party)' 란 일반적으로 제 3자를 뜻하지만 이 경우에는 캐노니칼사가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
램, 즉 비공식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한편 시간 설정이 잘못됐을 경우, 혹은 시간대(거주지)를 바꿔야 하는 경우에는 [시스템]-[관리]-[시간과 날
짜]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한 [시간과 날짜]에서는 컴퓨터를 켤 때마다 시간을 기준시간 제공 사이트에다가 받아다가 조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써머타임제가 있는 나라라면 이 기능이 유용합니다.)
3) 설치 3단계-키보드 선택
글쇠판(keyboard)을 설정해줘야 한영 전환글쇠와 한자 변환글쇠 사용이 간단해집니다.
대부분 글쇠판은 Korea, Republic of 를 선택 한 후 101/104 key Comparable 을 선택하시면 잘 작동합니다.
그러나 맞지 않은 글쇠판을 고른 경우 한/영 전환글쇠나 한자 바꿈글쇠가 작동하지 않아 설치 후 수정을 해
줘야 합니다.
만약 자판을 내 자판과 맞지 않게 설치한 경우 한영 전환글쇠나 한자 변환글쇠가 작동하지 않아 설치후 수
정이 필요합니다.
(해결 방법은 5.4 한글 환경 설정: 한글 표시/ 입력문제 해결 참조)
3.2 설치 4단계 설치장소 선택과 판나누기
사무실을 칸막이로 나눠놓은 것을 보신 분들이 있으실 것입니다.
칸막이로 공간을 나누는 것을 영어에서는 파티셔닝(Partitioning)라고 부르고 그 칸막이를 파티션
(partition)이라고 부릅니다.
파티션으로 파티셔닝을 하는 이유는 부서를 구분하거나 사원들의 작업실 영역을 구분해 업무효율을 높
이기 위해서 입니다.
설명서 작성자는 파티셔닝을 '판나눔' 파티션을 '판'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사무실 공간 나누기 개념이 동일하게 컴퓨터의 저장장치, 특히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에서 쓰입니
다.
목적도 똑같습니다. 기능별로 공간을 나눠서 효과적으로 쓰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GB크게 HDD를 30GB와 70GB 판으로 나눠 30GB에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을 70GB에
는 온갖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만약 최근에 설치한 프로그램이 큰 문제를 일으킨다면 30GB판에 있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만 손보아주
면 됩니다. 70GB판에 쌓인 자료는 다른 판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무사히 보관할 수 있습니다.
HDD 판나누기는 잘못하면 모든 자료를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개념이해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Guided'를 선택할 경우 HDD의 빈 공간에 우분투를 설치해 줍니다. 우분투와 MS윈도우를 함께 쓸 계
획이라면 이 방식을 권합니다.
'자동'은 빈 HDD 하나에 통째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 주의! 해당 HDD에 있는 모든 자료가 지워집니다.
'수동으로' 설치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대로 HDD와 판을 나눠 쓸 수 있습니다. 반드시 아래 내용의 이해
한 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주의! 수동 작업시 HDD에 모든 자료가 지워질 수도 있습니다.
1) 우분투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공간(Partition)이름
먼저 장치(Device) 이름 부터 설명을 합니다. 우분투(리눅스)는 각 공간과 도구마다 일정한 법칙에 따라
이름을 정해 줍니다.
첫 번째(master) HDD의 첫 번째 판 이름은 sda1 또는 hda1입니다. 만약 첫 번째 HDD가 두 번째 판
을 갖고 있다면 이 판은 sda2 또는 hda2 란 이름을 갖게 됩니다.
두 번째(slave) HDD의 첫 번째 판 이름은 sdb1 또는 hdb1 입니다. 만약 두 번째 HDD가 두 번째 판을
갖고 있다면 이 판은 sdb2 또는 hab2 란 이름으로 불리니다.
판이름정하기에는 아래와 같은 법칙이 있습니다.
sda1...먼저 앞에 s냐 h냐의 차이는 HDD를 읽고 쓰는 방법의 차이입니다. SCSI방식은 s, IDE방식은
h로 시작합니다.
sda1...그 다음 d는 간단히 disk를 의미합니다.
sda1...첫 번째 HDD는 a, 두 번째 HDD는 b, 세 번째 HDD는 c 입니다.
sda1...번호는 판을 의미합니다. HDD의 첫 번째 판은 1, 두 번째 판은 2가 됩니다.
MS윈도는 판마다 '드라이브'를 붙여 부릅니다. 우분투의 sda1은 C:드라이브, sda2 또는 sdb1은 D: 드라
이브가 됩니다.
2) 판의 이름을 용도(mount point)에 따라 부른다.
sda1이나 sda2 같은 장치(device)에 따른 이름도 있지만 용도(mount point)에 따른 이름도 붙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와대'는 건물 이름, 그 안에 '대통령 비서실'은 용도에 따른 이름입니다.
청와대는 움직일 수 없는 건물 그 자체 이름이지만 비서실은 건물 안에 화장실 옆방이든 대통령 집무실
건너방이든 어디든 용도에 따라 배치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da1이나 sdb1은 건물 그 자체로 변할 수 없는 이름이지만 이 것을 어떤 용도에 쓰느냐에
따라 다른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sda1에 주요기능을 다 놓겠다면 이를 루트(/)란 용도로 정해주면 됩니다. sda2에 문서
등 모든 자료를 놓겠다면 /home이란 용도명을 붙여 주면 됩니다.
3) 공간을 어떻게 읽고 쓰는지에 따라 방식(type)가 차이난다.
각 운영체제(OS)마다 HDD를 어떻게 읽고 쓸 것인지 다루는 방식의 차이가 납니다.
우분투에서는 흔히 ext3 방식을 사용합니다. MS윈도우는 NTFS 방식을 씁니다. (이전에 읽고 쓰는 방
식으로 FAT도 있습니다.)
우분투 7.10 부터는 별다른 추가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NTFS방식이나 FAT방식으로 쓰여진 HDD 또는
공간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4)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2개 용도에 따른 공간으로 나눠야 한다.
우분투 또는 리눅스는 HDD를 최소한 모든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 (루트)와 가상 메모리 공간인
'/SWAP' (스왑) 2개 공간으로 나눠줘야 합니다.
스왑(swap)이란 기억장치(memory) 용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 HDD가 기억장치 흉내를 내도록 하는 것입니
다.
더 나은 성능발휘를 위해서는 용도에 따라 더 많은 공간으로 나눠줄 수도 있습니다만, 처음 설치하는
분들은 /와 /swap 둘로 나눠 설치하셔도 됩니다.
만약 4개로 나눌 경우 /는 5~10GB, /swap은 메모리의 1.5~2배, /boot는 128MB미만, 나머지는
/home에 배정하는 것을 권합니다.
6개로 나눌경우 4개로 나눌 때와 동일하나 추가로 /var과 /usr에 각각 3~4GB 정도 할당해 주고 나머
지를 /home에 주시면 됩니다.
• /home은 사용자의 모든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내 문서(My documents)'폴더와
유사합니다. 우분투에서는 '홈폴더'라고 부릅니다. 각종 문서, 사진, 동영상, 음악 등등이 저장되며
각종 프로그램관련 설정 파일도 '안보이는 파일'로 이곳에 저장됩니다.
• /boot는 리눅스의 핵심 커널이 들어있어 매번 컴퓨터를 켜면 여기부터 읽기 시작합니다. 우분투와
MS윈도우 중 선택 부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GRUB가 이 속에 있습니다.
• /var는 컴퓨터가 운영되면서 발생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입니다. 각종 로그(/var/log), 주고받
은 이메일(/var/mail), 인쇄대기자료(/var/spool)가 여기에 저장됐다가 지워집니다.
• /usr은 사용자 설정이 들어있는 공간으로 MS윈도우의 'Documents and settings' 폴더와 거의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usr/bin에는 우분투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이 들어있습니다.
3.3 설치 5~7단계, 가져올 정보설정, 사용자와 열쇠글 설정, 최종확인
1) 설치 5단계 가져올 정보설정
이전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가져올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만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2) 설치 6단계 사용자와 열쇠글 설정
향후 사용할 사용자이름과 로그인 이름, 열쇠글(password)를 정해줍니다. 밑에 컴퓨터 이름은 네트워
크 사용시 자신의 컴퓨터 이름이 됩니다. 또한 터미널에는 '로그인 이름@컴퓨터이름' 으로 표시가 됩니
다.
우분투는 보안 특성상 열쇠글을 자주 묻습니다.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3) 설치 7단계 최종확인
이제까지의 설정을 보여주고 설치여부를 마지막으로 묻습니다. 설치(install) 버튼을 누르면 설치를 시작
합니다. 우분투는 설치 작업중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웹페이지 보기나 간단한 게
임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빠른 설치를 위해 가급적 메모리를 적게 소모하는 작업을 권합니다. 설치에는
컴퓨터 성능과 인터넷 상태에 따라 20~40분 가량이 소요됩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