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Friday, February 12, 2010

제4장 우분투를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할 것들

4.1 우분투에서 프로그램 설치와 제거
본격적인 사용에 앞서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 내용입니다.
우분투는 프로그램 목록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고르면 저장소(repositories)에
서 프로그램을 가져다 설치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찾아 웹페이지를 뒤지거나 불법 프로그램을 내려받기 위해 와레즈를 뒤질 필요도 없
습니다.
목록에서 좋아 보이는 것을 선택해서 설치하면 그만입니다. 이 점이 우분투의 강점 중 하나입니다.
[프로그램] 밑에 [추가/제거...]와 [시스템]-[관리] 밑에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 가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삭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중 주로 사용하게 되는 도구는 [추가/제거] (프로그램 설치/제거)도구 입니다.
1) 추가/제거...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보여주기:'에서 검색영역을 택합니다. 보통 '이용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에 맞춰놓는 것이 편리합니
다.
2. 찾기 창에서 원하는 프로그램 이름이나 기능을 '영문'으로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mp3'를 넣으면 음
악 재생기능이 있는 프로그램들을 보여줍니다.
3. 목록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골라 앞에 네모에 표시를 해준 후 '변경사항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만약 설치된 프로그램을 골라 지우고자 할 경우
1. '보여주기:'에서 '설치된 프로그램'을 택합니다.
2. 목록에서 삭제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골라 앞에 네모에서 표시를 해제 한 후 '변경사항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이 설명서는 가능한 '프로그램 설치/제거'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2)시냅틱 꾸러미 관리자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는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 로 실행합니다. 프로그램 설치/제거와 동
시에 실행시킬 수는 없습니다.
설치/제거와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는 차이가 있습니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는...
1. 설치/제거보다 더 넓은 범위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2. 꾸러미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를 지우거나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프로그램 제거 후 남은 설정 내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4. 저장소를 통해 설치되지 않아 프로그램 설치/제거가 관리하지 못하는 프로그램을 관리합니다
예) 내려받기(download)한 프로그램 삭제.
5. 설치된 프로그램에 대한 판올림(version upgrade)을 제공합니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시냅틱(Synaptic)'은 프로그램 이름을 뜻하는 고유명사입니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설치: 1. 검색을 눌러 이름을 찾거나, 3. 분류 버튼을 눌러 나오는 목록에서 프
로그램을 골라 2. 네모에서 왼쪽을 누르고 '설치 표시'를 선택한 후 적용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설치됩니
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삭제: 1. 검색을 눌러 찾거나, 2. 네모 위 버튼을 누르면 녹색으로 표시된 설치
된 프로그램 목록이 나옵니다. 프로그램 이름 앞 네모에서 왼쪽을 누르고 '제거 표시' 또는 '완전히 제거
표시'를 택한 후 적용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삭제됩니다. '제거표시'를 택하면 프로그램만 삭제하고 설정
은 삭제하지 않습니다. '완전히 제거표시'를 택하면 프로그램 설정도 함께 지우게 됩니다.
저장소를 통해 받지 않고 설치된 프로그램 삭제: 3. 상태 버튼을 누르고 4. 목록에서 '설치됨(저장소에 없
거나 구식)'을 선택합니다. 2. 지울 프로그램 이름 앞 네모에서 왼쪽을 누르고 '제거 표시' 또는 '완전히
제거표시'를 택한 후 적용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삭제됩니다
프로그램 삭제 후 남은 설정 내용 삭제(완전삭제): 3. 상태 버튼을 누르고 4. 목록에서 '설치되지 않음(설
정은 남아있음)'을 택한 후 2. 지울 프로그램 이름 앞 네모에서 왼쪽을 누르고 '완전히 제거표시'를 선택
해 적용을 누르면 설정이 모두 삭제됩니다. 만약 설정만 남아있는 프로그램이 없을 경우 '설치되지 않음
(설정은 남아있음)' 항목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설치된 프로그램 판올림: 5. 업그레이드 모두 표시 버튼을 누르면 저장소에 있는 판올림(upgrade)된 프
로그램 목록을 보여줍니다.
* 프로그램의 이상으로 재설치를 위한 삭제, 또는 삭제 후 다시 설치할지도 모르는 프로그램은 '제거 표
시'로 지워 설정을 남겨둘 것을 권합니다.
* 목록에서 ctrl과 a 글쇠를 같이 누르면 모든 항목이 선택됩니다. 혹은 ctrl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마
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여러 항목을 고를 수 있습니다.
3) 인터넷에서 받아오기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 설치가 프로그램 설치/제거나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로 가능하지만 드물게 인터
넷에서 프로그램을 받아와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우분투에서 설치할 수 있게 만들어진 꾸러미는 .deb 꼬리표(extension)가 붙어 있습니다.
.deb 꾸러미는 우분투에 설치돼 있는 'Gdebi 패키지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deb
을 받은 후 간단히 '열기' 만 눌러주면 됩니다.
.deb은 데비안 계열의 프로그램 꾸러미를 뜻합니다. 우분투는 데비안 가문에 속합니다.
4) 터미널을 통해 설치하기
우분투 사용자가 터미널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인터넷상 자료들은 대부분 터미널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터미널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초보에게 터미널은 좀 어려운 도구일
수 있습니다.
이 설명서는 가급적 추가/제거 또는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쓰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다만 우분투가, 또는 우분투를 지원하지 않는 리눅스용 프로그램 설치를 위해서는 터미널을 사용해야 합
니다.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터미널] 로 실행한 후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입력하면 저장소에 있는 꾸러미가
설치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꾸러미 이름
여기서 sudo는 '최고 사용자가 명하노니' 란 뜻입니다. 'apt-get'은 꾸러미 관리자 이름입니다.
'install'은 설치하라는 뜻입니다.
즉 최고 사용자가 명하노니 apt-get을 이용해 '꾸러미'를 설치하라는 뜻입니다.
프로그램을 지울 때는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sudo apt-get remove 꾸러미 이름
'install'대신 제거(remove) 명령어만 넣은 것입니다.
꾸러미 이름은 아무 이름이나 넣어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저장소에 있는 꾸러미(package) 이름을 정
확하게 입력해야 그 꾸러미를 가져다 설치합니다.
초보자들은 터미널보다 추가/제거나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사용하실 것을 권합니다.
터미널이 필요한 부분은 레드햇(red hat) 프로그램 꾸러미인 .rpm 파일을 우분투용 .deb으로 변신시켜
야 할 때입니다.
레드햇은 리눅스의 한 종류로 사용자가 많지만 우분투와 다른 형식으로 꾸러미를 만들기 때문에 .rpm을
그대로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변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alien(외계인) 입니다.
sudo alien -d 꾸러미명.rpm
이후 .deb가 만들어지면 파일관리자(노틸러스)에서 꾸러미를 찾아 두 번 눌러주면 설치가 됩니다.
주의! alien을 이용해 .rpm에서 .deb로 바꾼 꾸러미는 재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로그램과 관련된 파일은 크게 3종류가 있습니다.
1. 프로그램(program)
2. 프로그램 설정(Program configuration)
3.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Libraries)
프로그램은 보통 라이브러리로 부터 기능을 불러와 프로그램 설정에 정한 내용 안에서 작동
을 합니다.
라이브러리는 말 그대로 도서관 같은 존재고 프로그램은 어떤 기능을 하기 위해 도서관으로
부터 책(기능)을 빌려와 읽습니다.
다른 종류의 프로그램이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같은 기능을 빌려와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다른 '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삭제하
면 '나' 프로그램은 라이브러리가 없다며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한편 프로그램 설정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에게 작동을 지시할 수 있도록 문서화된 파일입니
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이 어디서 데이터를 읽고 저장할지를 지시하거나 어떤 글꼴, 어떤 색을 써
서 화면을 표시할지를 프로그램 설정을 통해 바꿀 수 있습니다.
대부분 프로그램이 그림사용자방식(GUI)으로 설정을 바꿀 수 있게 해주지만 이런 기능이 제
공되지 않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파일관리자나 터미널을 이용해 설정을 열어서 사용자가 직접 바꿔주어야 합니
다.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하기
파일관리자란 컴퓨터상의 자료를 복사하고, 옮기고, 지우고, 혹은 성격을 바꾸고 하는 기능을 가진 아주
중요한 프로그램입니다.
우분투는 파일관리자로 노틸러스(nautilus)를 사용합니다. 노틸러스 말고도 다른 종류의 파일 관리자들
도 있습니다.
1) 노틸러스에서 폴더 이동
설명서에서는 [위치]-[홈 폴더]로 노틸러스를 실행한 상태를 가정해 설명합니다.
또한 폴더의 위치(경로)를 문자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경로 /usr/share/doc/ 는 위치 목록아래 '파일 시스템'을 누른 후 usr 폴더로 들어가 그 속
에서 share폴더를 찾고 다시 그 속에서 doc 폴더를 찾으라는 뜻입니다.
혹은 문자입력 방식으로 바꿔서 /usr/share/doc/ 을 복사해 붙이기(copy & paste)해도 해당 폴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노틸러스의 기본 설정은 첫번째 그림처럼 각 폴더명을 보여주게 돼 있지만, 메모장 형태 아이콘을 누르
면 두번째 그림처럼 문자입력 방식으로 바뀝니다.
2) 노틸러스 기능 더하기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열어 nautilus 를 검
색합니다.
프로그램 목록 중에 아래 항목들을 골라 설치합니다.
아래 항목들을 설치 한 후 재부팅한 후 노틸러스 상에서 관련
파일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기능들이 더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nautilus-gksu는 설명서 활용을 위해 꼭 설치하세요.
1. nautilus-gksu: 선택한 폴더를 최고사용자 권위로 열 수
있게 해줍니다. 반드시 설치할 것을 권합니다. 글꼴옮기기나
중요한 설정을 변경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관리자로
열기' 메뉴가 더해집니다.
2. nautilus-image-converter : 그림 파일의 크기를 변환하
거나 90도 회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Resize images' 와
'Rotate images' 메뉴가 더해집니다. 한꺼번에 여러 그림을 선택해 바꿀 수도 있습니다.
3. nautilus-open-terminal: 선택한 폴더를 터미널에서 열 수 있게 해줍니다.
4. nautilus-wallpaper: 선택한 그림을 바탕화면 배경그림으로 삼아줍니다.
참고! 우분투가 동작하는데 중요한 폴더들(시스템 폴더들)은 대부분 잠궈져 있어 쓰기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특정폴더에 파일을 옮겨놓는다거나 폴더 안에 있는 설정을 변경하려면 최고사용자(관리자)의 권
위가 필요합니다. 최고사용자로 폴더를 열려할 때 자꾸만 열쇠글을 물어 확인을 하는데 번거로운 것 같
아도 이런 보안 체계가 있어서 리눅스에서는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거의 힘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한편
일단 설정을 끝낸 후에는 열쇠글을 입력할 기회도 대폭 줄어들 것입니다.
3) 아이콘과 꼬리표로 분류하기
음악이나 영화, 혹은 중요한 문서가 들어있는 폴더나 특별한 파일은 아이콘을 달리해서 보여주면 고르기
에 편리합니다.
만약 모양을 통일감 있게 유지하면서 작은 변화를 주고 싶을 경우에는 파일이나 폴더에 꼬리표를 붙여서
다른 폴더와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콘을 한꺼번에 바꾸기를 원할 경우 뒤에 나오는 모양새 꾸미기를 참고하세요.
우분투에서는 MS윈도우와 같은 .ico 형식 아이콘 외에도 그림 형식인 .png 나 .xpm 을 아이콘으로 사
용할 수 있습니다.
(.png를 이용해 온갖 형태로 아이콘 변형이 가능합니다.)
아이콘 바꾸기:
1. 아이콘을 바꾸기 원하는 폴더나 파일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펼쳐진 목록 중에
'속성'을 고릅니다.
2. 기본 탭에서 1. 아이콘을 누르면 사용자 아이콘 선택 창이 열립니다.
3. 아이콘이 저장된 폴더로 가서 적용할 아이콘을 고릅니다.
4. 원래 아이콘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사용자 아이콘 선택창을 다시 열어 밑에 '되돌리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꼬리표 달기:
1. 아이콘을 바꾸기 원하는 폴더나 파일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펼쳐진 목록 중에 '속성'을 고릅
니다.
2. 기본 탭 옆에 2. 꼬리표 탭을 선택해 나오는 꼬리표들 중에 원하는 꼬리표들을 골라 붙여줍니다.
*우분투 기본 아이콘에서는 꼬리표가 작고 재미없게 표시됩니다만 아이콘 꾸러미(Icon package)를 바
꿔보면 상당히 멋있게 표시되는 것도 있습니다.
4) '템플릿' 폴더 활용하기
홈 폴더를 열어보면([위치]-[홈 폴더]) '템플릿' 폴더가 있습니다.
이 폴더에 HTML이나 Odt 등 각종 양식을 저장해 놓으면, 노틸러스 빈 공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문서만들기'에 반영됩니다.
자주 쓰는 서식을 템플릿에 담아 놓으시면 됩니다.
5)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
노틸러스에서는 특정 파일을 누르면 특정 프로그램이 열도록 지정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선택해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속성]을 선택합니다.
[속성]창에서 위 그림과 같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를 선택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표시해주면 됩니다.4.3 리눅스의 그 유명한 터미널 사용방법
터미널 사용법은 우분투 사용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은 아닙니다만 참고 알아두시면 편리합니다.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는 리눅스의 핵심 부분과 대화해 이렇
게 하라~ 저렇게하라 지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자판으로 글쇠 입력이 빠르신 분들은 명령 줄 방식
(Command Line Interface)인 터미널 만큼 편리한 도구도
없을 것입니다.
아이콘을 찾아다닐 것 없이 터미널을 통해 명령어만 입력하면 척척 일을 처리해 주니까요.
빠르게 터미널을 불러내기 위해서 [시스템]-[기본 설정]-[키보드 바로가기]를 실행해 '터미널 실행'에 적당
한 글쇠를 정해주면 편리합니다.
저의 경우 F2로 정해놓았습니다.
터미널을 열면 나타나는 문구를 '프롬트(prompt)'라고 부릅니다. 사용자명@컴퓨터명:~$ 로 표시됩니
다.
초기에 터미널은 하얀색 바탕에 검은 글씨인데 색깔을 바꾸려면 [편집]-[현재 프로파일]을 선택한 후 '색'
탭에서 '시스템 테마색 사용'앞에 네모칸 표시를 해제해주고 밑에 팔레트에서 원하는 색상을 끌어다가
글자색과 배경색에 놓아주면(drag & drop) 색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1) 편집기 부르기
프로그램 설정내용을 바꾸기 위해 편집기로 설정파일을 불러와 수정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우분투는 기본적인 편집기로 gedit을 사용합니다. gedit는 그놈(gnome)환경에서 작동하는 편집기 입
니다.
프로그램 설정내용을 바꾸려면 최고관리자의 권위가 필요하기 때문에 sudo 를 앞에 넣어주고 gedit 으
로 수정할 파일을 엽니다.
sudo는 '최고 사용자가 명하노니'로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sudo gedit 파일경로/파일이름
이후 gedit이 실행되며 설정파일을 편집한 후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간단히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텍스트 편집기]로 gedit을 실행한 후 설정파일을 그냥 불러올 수도 있
지만, 이 경우 권한이 없어 저장이 안됩니다.
2) 설치했던 프로그램 목록 저장과 목록대로 한꺼번에 설치하기
아래 명령을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우분투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 목록을 문서로 출력해둡니다.
dpkg --get-selections | grep -v deinstall > 설치내역.txt
설치내역.txt 대신 다른 이름 넣으셔도 됩니다.
만약 우분투를 재설치한 후 이전에 설치했던 프로그램들을 설치내역대로 다시 설치하고 싶다면...
혹 은 우분투를 새로 설치한 다른 컴퓨터에도 내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내역을 그대로 적용하고 싶
다면먼저 오늘자로 바꾸기와 기우기 작업을 해준 후에 설치내역.txt를 그 컴퓨터 홈 폴더에 옮기고 터미
널에서 아래 같이 입력하면 프로그램을 설치내역대로 설치합니다.
dpkg –-set-selections < 설치내역.txt
우분투는 밀고 새로 설치할 프로그램 사냥을 다닐 필요가 없이 이런 간단한 명령어 하나로 끝내줍니다.
물론 MS윈도우와 달리 정기적으로 밀고 재설치할 필요도 없지요. 이 방법은 한 컴퓨터에 설치한 엄선
된 프로그램들(?)을 다른 컴퓨터에 우분투 설치할 때 그대로 옮길 경우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3) 비교적 자주 쓰는 명령어와 도움말
터미널 명령어는 매우 다양합니다. 자주 쓰는 것은 외우게 되지만- 사실 우분투 사용자라면 터미널 명령
어를 외울 필요를 별로 못느낄 것입니다.
생소한 명령어는 도움말을 읽어보면 무엇인지는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도움말은 대부분은 번역이 안돼있습니다만 조금만 영어를 읽으려고 해보면 무엇인지는 금방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mv --help
mv라는 명령어에 대해 도움말을 표시해줍니다. 즉 도움말 요청은 명령어 뒤에 '--help' 만 붙이면 됩니
다.
mv는 move의 약자, 즉 파일을 옮길 때 쓰는 명령어입니다.
'--help'처럼 주 명령어에 붙여 쓰면 추가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옵션(option)' 이라고 합니다.
몇몇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 꾸러미
sudo apt-get remove 프로그램 꾸러미
프로그램을 설치(install)하고 제거(remove)하는 명령어 입니다. 추가/제거와 같은 기능을 문자로 처리
하는 것입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dist-upgrade
위에서 apt-get 이란 프로그램 꾸러미 도구입니다. apt-get은 저장소에서 프로그램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치하거나 지우는 등 관리자 역할을 해줍니다.
update는 저장소에서 이전 보다 개선된 꾸러미가 나왔나를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 중에 새로 개선된 내용이 있으면 저장소에서 가져다가 설치하란 명령입니다.
dist-upgrade는 컴퓨터에 설치된 꾸러미는 아니지만 우분투 사용에 필요한 추가 꾸러미를 가져다가 설
치하라는 명령입니다. 이미 설치된 꾸러미를 최신 판으로 바꿔주는 upgrade와는 차이가 있지요.
ls -ls
ls는 List의 약자입니다. 옵션으로 -ls를 더해주면 파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를 이동할 때는 c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디렉토리 이름을 입력하지 않고 cd만 입력하면 홈 디
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
pwd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표시해 줍니다. Present Working Directory 의 약자.
mkdir
새로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ake a directory 의 약자.
rm 파일명
해당 파일을 지웁니다. rm은 ReMove의 약자 입니다. 디렉토리를 지울 때는 -r 옵션을 줍니다. 즉 'rm
-r 디렉토리명'이 됩니다. -r 옵션은 디렉토리에 명령을 적용할 때 넣는 옵션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
다.
mv 파일명1 파일명2
cp 파일명1 파일명2
mv는 move의 약자를 파일명1을 지우고 파일명2로 옮깁니다. cp는 copy의 약자로 파일명1을 복사해
파일명 2로 저장합니다. 안전하게 옮기기 위해서는 원본을 그대로 두는 cp 명령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
다.
mv -r 디렉토리1 디렉토리2
mr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의 내용을 디렉토리 2로 옮깁니다. 이때 디렉토리1(원본)의 내용은 지워지
며, 디렉토리2가 없을 경우 새로 디렉토리를 만들어 내용을 옮기게 됩니다. cp -r을 사용하면 디렉토리1
의 내용을 디렉토리2로 복사합니다. 이때 원본은 그대로 남아있게 됩니다.
ln -s 파일명 바로가기명
파일명으로 바로가기를 만들어냅니다. 간혹 숨겨진 이름앞에 '.' 이 붙어서 숨겨져 있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를 자주 열어볼 필요가 있을 때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편합니다. 바로가기 예로는 홈에
있는 Examples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ln은 LiNk의 약자입니다.
chmod
파일이 나 디렉토리에 대한 읽기(r), 쓰기(w), 실행하기(x) 소유권을 변경할 때 씁니다. ls -ls로 파일 이
름을 출력하보면 x파일명에 drwx-xr-x 하는 식으로 내용이 출력되는데 이것은 파일 소유권을 표시한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rwx 권한이 주어져야 해당 파일을 마음대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lsb_release -a
컴퓨터에 설치된 우분투 판번호(version number) 확인
date
오늘 날짜와 현재시간 출력
cal
이번달 달력출력
df
디스크 사용량 출력
du 디렉토리명
해당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출력 *주의! 디렉토리명 입력없이 du를 실행하면 모든 디렉토리의 디스
크 사용량출력합니다. ;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4.4 소프트웨어 소스(저장소) 설정하기
우분투는 내 컴퓨터에 저장된 저장소 주소대로 인터넷상에 저장소를 찾아가서 내가 찾는 프로그램이나
새로 기능이 강화된 프로그램 꾸러미를 가져와 설치합니다.
저장소 주소는 [시스템]-[관리]-[소프트웨어 소스] 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우분투 저장소 관리하기
우분투 저장소에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시스템]-[관리]-[소프트웨어 소스]를 실행해 'Ubuntu
소프트웨어'탭에서 보이는 5가지 항목중 4가지에는 표시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Canonical이 지원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main)
커뮤니티에서 관리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universe)
장치의 독점 드라이버(restricted)
저작권이나 법적 문제로 제한된 소프트웨어(multiverse)
한편 현재 선택한 저장소를 통해 제대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을 경우, 다른 저장소로 기본 저장소로 바
꿀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게 기본 저장소가 폭주하거나 기본 저장소에서 파일을 받아오는 속도가 지나치게 느린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다른 저장소를 기본 저장소로 바꿔 속도 상승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위치:'에서 기타를 선택한 후 대한민국 아래 ftp.daum.net (다음서버) 같은 주소를 선택해 주
면 됩니다.
다음 저장소의 경우, 주소가 ftp로 시작하지만 프로토콜을 바꿔줄 필요는 없습니다.
2) 우분투 저장소 더하기
한편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처음 설치된 저장소에 들어있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직접 받아다 설치한 프로그램의 경우 저장소 주소에 이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주소가 포함돼 있지 않으면 자동 판올림(upgrade)이나 최신판으로 갱신(update)이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탭에 '추가'버튼을 눌러 저장소 주소를 더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버추얼박스 PUEL판의 경우 아래와 같은 저장소 주소를 더해주어야 자동 판올림이 됩니다.
deb http://www.virtualbox.org/debian gutsy non-free
우분투용 프로그램이 많은 겟뎁(getdet)의 경우 공식 저장소는 없지만, 비공식 저장소를 통해 판올림을
할 수 있습니다.
deb http://ubuntu.org.ua/ getdeb/
*버추얼박스 PUEL판에 대한 설명은 6.6 내 컴퓨터에서 여러가지 OS를 사용해보자: VirtualBox 부분을 참
고하세요.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