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프로그래밍과 똑같이 생각하면 된다.
별로 차이가 없다는 뜻이며 단지 API만 다르다.
무선인터넷 - wap방식. 이것은 웹프로그래밍 하나는 필수임.
언어로는 wml, mhtml, xhtml, hdml 등등 html만 다룰줄 알면 금방 배움.
구축은 웹하고 똑같다.
VM- 모바일 게임, 모바일 eBook, 노래방 등 대부분은 VM류.
api이름만 다르고 C와 자바를 할줄 알면 금방.
SKT : GVM - C기반
SK-VM : 자바 기반
KTF : Brew - C기반, C++조금
MAP - C 기반
LGT : Java station : 자바
이러한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된 버전이 GVM
다음 버전으로 GNEX3사가 공동으로 채택된 WiPi가 있다.
WiPi는 자바로 하던 C로 하던 상관없이 컴파일이 가능함.
멀티미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이라기 보다는 일정의 툴에 가까운 것이 있는데
SIS, wavelet, mpeg4 같은 것들이다.
용어들을 인터넷 검색하면 자세한 설명 나옴.
CDMA 방식쪽 특히 미국과 우리나라는 C기반이 많고
GSM방식 특히 유럽은 자바 기반이 많다.
출처 : 네이버 지식iN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