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Friday, February 12, 2010

제 5장 설치 후 다듬기

5.1 설치 후 사용환경을 다듬자
설치 후 다듬어야할 사용환경을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처음 설치 후에 우분투의 사용환경을 다듬기 위해 해줘야 하는 가장 첫 번째일은 제한된 드라이버 설치
입니다.
1) 제한된 드라이버 설치
제한된 드라이버 관리자는 컴퓨터의 재성능을 발휘하기 위
한 '드라이버(Driver)' 들을 설치해줍니다.
드라이버란 컴퓨터와 컴퓨터의 부품들이 원활하게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그래픽카
드,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모뎀 같이 컴퓨터에 부착된 '주
변기기'들은 모두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보통 컴퓨터 사용에 필수요소인 마우스나 모니터 등은 우분
투나 MS윈도우 같은 OS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드라이
버를 자동적용해줍니다. 그러나 기본 드라이버는 특정 제품
에 맞춰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제작사에서 만든 드라
이버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제한된 드라이버는 그래픽카드 제작사나 와이어리스 모뎀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게 해 컴퓨터
가 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그런데 왜 '제한된 드라이버(Restricted Drivers)'라고 부르는가하면 우분투 개발자들이 관련 드라이버
를 관리하는데 제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제한된 드라이버는 캐노니컬사가 아닌 그래픽카드 제조회사
나 모뎀제조회사같은 기업체가 제작/관리하며 해당사가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로
그램 속내용(source)이 공개되지 않아서 다른 개발자들이 고칠 수도 없는 제한이 있습니다.
리눅스 사용자들은 가급적 이런 제한이 없는 -자유롭게 수정해 배포할 권한이 부여되는 속내용이 공개된
오픈 소프트웨어를 선호하기 때문에 이것을 제한된 드라이버라고 부르는 것이지 성능이 제한됐다는 의
미는 아닙니다.
즉 컴퓨터가 제 성능을 발휘하게 하려면 제한된 드라이버에서 제안하는 드라이버들을 모두 설치하는 것
이 좋습니다. 보통은 3D가속 효과 활용을 위해 그래픽카드를 위한 제한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되겠지
만, 랩탑 사용자들은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 제한된 드라이버를 통해 무선 랜
(wireless LAN) 드라이버를 설치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분투를 유선으로 설치하라고 권고하는 이유는 제한된 드라이버를 받아야 무선랜이 제대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제한된 드라이버 처음 우분투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안내를 해주겠지만 만약에 안내를 놓쳤다면 [시
스템]-[관리]-[제한된 드라이버 관리자]로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제한된 드라이버 설치 후에는 다시 부트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2) 오늘자로 바꾸기(update: 최근 판으로 만들기)
우분투의 특징 중 하나가 새로 바뀌거나 더해진 것들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준다는 점입니다.
현재 7.10 설치 후 업데이트해야할 항목은 무려 186개나 되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립니다.
다른 설정을 하기 전에 먼저 업데이트를 마치시기 바랍니다.
설치 후에도 종종 업데이트를 해야 된다는 안내를 받게 됩니다.
초보자라면 새 업데이트 안내가 등장한 후 하루, 이틀 정도 시간을 갖고 업데이트 하는 것을 권합니다.
드물게 일어나는 일입니다만 업데이트가 아주 가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수동으로 업데이트는 [시스템]-[관리]-[업데이트 관리자] 에서 할 수 있습니다.
3) 부트화면 해상도 바꾸기
현재 7.10에서 일부 컴퓨터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부트화면의 해상도가 지나치게 높게 잡혀있어 일부 컴퓨터에서는 부트시 검은색 화면이 장시간 보이다
가 로긴(Login) 화면이 뜨는 현상이 있습니다.
즉 화면이 표시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이상으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명령이 내려지면서 컴퓨터가 느려지는
것입니다.
해결방법은 부트화면 설정파일을 열어 해상도를 낮춰주면 해결됩니다.
[프로그램]-[추가/제거...]를 열어 '보여주기:'를 이용가능한 모
든 프로그램에 맞춘 상태에서 startup을 검색해 Start-up
manager를 설치합니다.
[시스템]-[관리]-[부팅 메뉴관리자]로 프로그램을 엽니다.
'부트 옵션' 탭에서 1. 화면 해상도 수치를 낮춰서 선택해주면 됩니다. 최적화 한다면 640X480에 8비
트를 추천합니다.
2. 만약 우분투만 사용할 경우 (컴퓨터에 XP 등 다른 OS와 함께 부트하지 않을 경우), 시간제한을 0초
로 해두면 부트를 약간 더 빨리 할 수 있습니다.
(주의! 부트로더 메뉴에 시간제한 사용 앞에 상자를 해제할 경우 부트로더를 거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키를
누를 때까지 계속 부트로더를 보여주게 됩니다.)
*부트로더란 컴퓨터를 처음시작할 때 어떤 OS로 시작(부트)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5.2 인터넷 연결: 무선 네트워크
우분투를 업데이트 하거나 사용하려면 반드시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여야 합니다.
대부분 유선 네트워크(유선인터넷) 연결의 경우 우분투는 설치 후 자동으로 인터넷을 잘 잡아줍니다. 그
러나 무선 네트워크(무선인터넷) 사용시에는 신호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분투를 처음 설치할 때는 유선 네트워크 사용을 강력히 권합니다.
용어정리! 유선/무선 인터넷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유선/무선 네트워크가 더 적당한 말입니다.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기타 송수신 장치가 연결된 망을 뜻합니다.
랩탑을 들고 다니며 여러 장소에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가 있는데 우분투 7.10 부터는 이런
접속정보를 기억해 놓았다가 해당 장소에 가면 전에 접속했던 무선 네트워크와 저절로 연결을 해줍니다.
컴퓨터가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잡지 못할 경우 4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1) 무선네트워크 연결장치(ethernet card)가 작동하지 않아 신호를 잡지 못하는 경우
설치 직후 무선네트워크가 작동하지 않는 다면 유선 연결을 통해 무선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제한된 드
라이버'를 설치한 후 재 부팅하면 대부분은 해결 됩니다.
2) 무선네트워크에 접속설정이 안되어 있는 경우
접속설정이 안되있는 경우는 문제라고 부를 순 없습니다. 접속에 필요한 정보만 입력해주면 됩니다.
무선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앞서 2.4 다른 OS에서 우분투로 자료 옮기기 에 나온 내용을 복습해 봅
시다.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경우 보통 케이블이나 ADSL 모뎀에 공유기(router)를 연결해 사용하실
것입니다.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연결을 하면 SSID로 불리는 네트워크 이름, 보안방식(WEP, WPA,
WPA2 등), 무선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열쇠글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잘 적어두어야 합니다.
만약 WEP를 쓴다면 암호화 방식(Encryption; 128Bit 또는 64Bit 등)과 인증방식(열린시스템
(Open system) 또는 열쇠공유방식(shared key)), 열쇠글 문자처리 종류(key type: HEX(16진
수) 또는 ASCII), 그리고 접속에 필요한 열쇠글(key)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연결장치만 제대로 작동한다면 무선네트워크 표시(왼쪽 그림) 위에서 왼쪽 버튼을 누르면 연결할
수 있는 무선네트워크(무선인터넷) 목록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자신의 무선네트워크(SSID) 이름을 고르면 됩니다.
무선네트워크를 고르면 아래와 같이 보안 방식(WEP, WPA 등)과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열쇠글,
인증 방법을 묻습니다.
만약 한 장소에서만 사용하는 데스크탑이나 무선 네트워크를 경우 [시스템]-[관리]-[네트워크]에서 '무
선 연결'을 선택해 '속성' 버튼을 누른 후 '로밍 모드 사용'을 앞에 상자에 표시를 해제해 준후
SSID(ESSID로 표시됨)와 열쇠글 종류(보안방식), 무선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열쇠글을 입력해 주면
접속 속도를 약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onnection settings 밑에 설정은 '자동설정
(DHCP)'을 사용합니다.
3) '제한된 드라이버' 설치후에도 무선네트워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이 경우 MS윈도우용 드라이버를 가져다가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실행해서 '검색' 버튼을 눌러 ndisgtk를 찾아 설치합니다. (설치
를 위해서는 우분투 7.10 부트 CD가 필요합니다.)
설치 후 [시스템]-[관리]-[Windows Wireless Driver]를 실행해 Install new driver를 선택하고 무선네트워
크 연결장치의 MS윈도우용 드라이버(.inf 파일)를 선택해주면 설치를 합니다.
설치가 성공적으로 이뤄진 경우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1~3까지 방법이 모두 실패한 경우
위의 모든 방법을 시도해도 실패한 경우에는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열거된 무선네트워크 연결장치중 일부는 우분투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https://help.ubuntu.com/community/WifiDocs/WirelessCardsSupported (영문)
5.3 방화벽 설치와 설정: FireStarter
인터넷상의 다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로 침입을 막기위해서는 방화벽 프로그램을 설치해 줘야 합니다.
불행히도 어떤 컴퓨터든지 침입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방화벽은 모든 컴퓨터에서 필수품입니
다.
리눅스는 외부로 부터 침입에 당하는 경우가 드물다고도 합니다만 그렇다고 이 험난한 세상에 자물쇠 없
이 문만 닫아놓고 살 수도 없는 일입니다. 방화벽 없는 컴퓨터는 문만 닫아둔 집과 비슷한 것이죠. (만약
비밀번호조차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예 문이 없는 집입니다.) 이 설명서에서는 초보자에게 설정이 쉬운
편인 방화벽 프로그램으로 '파이어스타터(firestarter)' 설치를 권합니다.
1)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추가/제거...]를 열어 보여주기를 '이용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에 맞추고 'firestarter'를 검색
해 설치하십시오.
파이어스타터를 설치한 후에는 [시스템]-[관리]-[Firestarter]로 실행해 실행을 해서 간단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처음 화면에서는 설정할 것 없이 앞으로 넘기면 됩니다. 이후 설정화면(위 그림)에서 선택할 사항은 3
가지 입니다.
'발견된 장치:' 에서 네트워크(인터넷)접속에 사용하는 장치(Ethernet device)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
보통은 이미 선택된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넘어가도 됩니다.
그러나 만약 현재 유선 상태에서 파이어스타터를 설치했지만 앞으로 인터넷 접속은 무선상태에서 하실
계획이라면 '발견된 장치:' 에서 'ethernet device'를 eth1으로 바꿔 줘야 합니다.
보통 eth0 은 유선 이더넷 장치, eth1은 무선 이더넷 장치의 이름으로 정해진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장치를 택하면 됩니다.
만약 전화를 걸어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식이라면 '전화걸때 방화벽 시작합니다' 앞 네모에 표시를 해줘야
합니다. ADSL이나 케이블 접속이라면 표시할 필요 없습니다.
만약 일반적인 ADSL이나 케이블 접속을 사용한다면 DHCP로 IP주소를 할당합니다 네모에 표시를 해줘
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인 케이블 모뎀이나 DSL사용자는 'DHCP로 IP주소를 할당받습니다' 네모 앞에 표시를 해줘
야 합니다. 그러나 고정(static) IP를 사용할 경우 네모 앞에 표시를 하면 안됩니다.
IP란 각 컴퓨터와 컴퓨터와 연결된 송수신 장치를 전화번호처럼 지정한 번호를 말합니다. 컴퓨터는 IP를 통
해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IP는 보통 1~3자리 수가 4개로 묶여 나옵니다. 예) 192.168.0.100
세번째 설정화면에서는 선택할 것없이 넘어갑니다. 사용자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을 나
눠서 사용하고 관리할 경우에만 필요한 사항입니다.
컴퓨터로 인터넷 연결을 나눠 쓴다는 말은 공유기(Router) 사용하는 경우와 다른 의미이니 착오 없으시
길 바랍니다.
네번째 설정화면에서는 start firewall now 앞에 상자에 표시를 해주고 '저장' 을 눌러 파이어스타터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2) 실행 후 설정
파이어스타터 실행 후에는 [Edit]-[Preferences] 에서 아래 몇 가지 설정을 해야 합니다.
Interface에서 Enable tray icon과 Minimise to tray on window close 앞에 상자에 표시: 파이어스
타터 실행여부나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하려면 아이콘을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Interface아래 Policy에서 'Apply policy changes immediately' 앞에 상자에 표시: 막기나 열어주기
등 변화가 있을 때 이 옵션을 선택해야 재부팅하지 않고 바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중요! 삼바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시는 경우에 Firewall 아래 Advanced Options에서 'Block
broadcasts from external network'를 해제해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 컴퓨터에서 자신의 컴퓨
터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3) 네트워크와 프로그램을 위해 문(port) 열어주기
내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외부와 연결하기 위해 또는 내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 외부와 연결해 작
업을 하기 위해서는 신호가 드나들 수 있는 문(port)을 열어놓아야 합니다.
문을 열어주기 위해서는 내 컴퓨터 IP주소와 연결할 컴퓨터의 IP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우분투에서는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입력하면 IP가 출력됩니다.
ifconfig
위에 inet addr: 다음 192.168.0.100 이 IP입니다. IP는 각 컴퓨터 별로 모두 다르니 꼭 ifconfig으로
찾아볼 것을 권합니다.
MS윈도우에서는 [시작]-[실행] 에서 cmd라고 입력 후 enter 글쇠를 눌러 검은 창이 실행되고 다시 여기
에 Ipconfig이라고 입력하면 아래처럼 IP주소가 나옵니다.
주의! 리눅스는 ifconfig, MS는 ipconfig. 한 글자가 다릅니다. 착오를 일으키기 쉬운 부분입니다.
이렇게 알아낸 IP로 방화벽에 문을 열어줍시다.
예를 들어 자료 내려받기에 많이 사용하는 토렌트를 위해 문 열어준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합니
다.
1. Firestarter를 실행해 'Policy' 탭을 엽니다.
2. Allow service창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Add Rule을 선택
3. Name에서 Bittorrent 선택
4. When the source is에서 IP, host or network를 선택해 내 컴퓨터 IP입력 후 '추가' 버튼 눌러 저장
만약 네트워크를 구성할 경우에는 네트워크로 연결할 모든 컴퓨터의 IP를 입력해 줘야 합니다.
1. Firestarter를 실행해 'Policy' 탭을 엽니다.
2. Allow connections from host 창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Add Rule을 선택
3. IP, host or network에 네트워크에 연결할 컴퓨터 IP를 입력하고 Comment에 컴퓨터 이름을 넣어
준 후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4. 2와 3의 과정을 반복해 내 컴퓨터를 포함해 네트워크에 연결할 모든 컴퓨터의 IP를 입력합니다.
Comment는 그 컴퓨터다라고 알아볼 수 있게끔 아무말이나 입력해도 됩니다. 예) 칠복이네 3호 컴퓨터
위의 과정을 통해 내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간에 연결할 수 있는 길이 열결됩니다. 여기에 아래처럼 서비
스 사용을 허용해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1. Allow service 창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Add Rule을 선택
2. Name에서 Samba (SMB)를 선택
3. When the source is 에서 IP, host or network 를 선택해 네트워크에 연결한 컴퓨터 IP 입력
4. Comment에 컴퓨터 이름 입력 후 '추가' 버튼을 눌러 저장
5. 2부터 4까지 과정을 반복해 내 컴퓨터를 포함한 네트워크에 연결할 모든 컴퓨터의 IP를 입력
주의! 만약 자기 컴퓨터 IP를 넣어주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를 열었을 때 네트워크 상에 자기 컴퓨터는 안보
이고 다른 컴퓨터만 보이는 기현상이 일어납니다.
다른 컴퓨터 IP를 안넣으면 자기 컴퓨터는 보이는데 네트워크상에 다른 컴퓨터는 안보이게 됩니다.
4) 아이콘 보이기
파이어 스타터를 처음 설치한 후에는 좌측 상단에 파이어스타터 아이콘이 보이지만 재부팅한 후에는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작동은 하고 있습니다.)
부팅할 때 마다 아이콘을 보이게 하려면 아래와 같이 수정하십시오. (이 부분은 꼭 따라하지 않으셔도 됩
니다.)
*주의! 잘못 수정할 경우 우분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복사해 붙이기 하셔도 됩니다)
export EDITOR=gedit && sudo visudo
편집창(gedit)에 아래 내용을...
# Defaults
Defaults !lecture,tty_tickets,!fqdn
아래와 같이 바꿔줍니다. (붉은 색부분이 바뀌는 부분.)
# Defaults
# Defaults !lecture,tty_tickets,!fqdn
Defaults !lecture,tty_tickets,!fqdn,env_reset,env_keep+="DISPLAY HOME"
그리고 맨 아래 아래 내용을 더해줍니다.
#firestrater 자동 로그인을 위해 더함
사용자명 ALL= NOPASSWD: /usr/sbin/firestarter
터미널을 보면 '사용자명@컴퓨터이름: ~$'로 사용자명을 알 수 있습니다.
@앞에 부분을 넣어주면 됩니다. 다 수정하셨으면 저장하고 닫아 주십시오.
이후 [시스템]-[기본 설정]-[세션] 으로 가셔서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추가'를 선택 하신 후 아래 그림처
럼 입력합니다.
이름은 '타오르는 불 막아라 파이어월' (이름은 아무거나 편하신 대로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명령은 sudo firestarter --start-hidden
처음 시작할 때 조용히(-hidden) firestarter를 시작하라는 명령입니다.
확인을 눌러 저장하시면 됩니다.
이후 컴퓨터를 재 부팅하면 firestarter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5.4 한글 환경 설정: 한글 표시/ 입력문제 해결
우분투 사용시 경험할 수 있는 한글 표시/입력 문제를 다루고 해결법을 제시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치과정에서 한국어와 한글 키보드를 제대로 선택해 주었을 경우 한글 입출력은 문제없이
제대로 작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터넷 접속문제, ▲키보드 설정 문제, ▲한글 표시 규칙의 차이, ▲한글입력기나 프로그램의
문제 등으로 인해 한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 반편이 한글 문제
우분투는 한글 패키지 일부를 인터넷을 통해 저장소에서 받아옵니다.
따라서 처음 설치할 때 한글을 택했어도 인터넷 접속문제로 저장소에 접속하지 못할 경우, 한글 꾸러미
일부분을 받지 못해서 한글 표시가 일부분만 되고 한글 입력은 불가능한 '반편이 한글문제'를 경험하게
됩니다.
우분투가 새롭게 판올림이 되면 저장소에 대한 접속 폭주로 이런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해결 방법은 폭주가 일어나지 않은 타지역 저장소를 잠시 이용하시면 됩니다.
접속이 원활한 저장소로 바꿔줍니다: [System] -> [Administration] -> [Software sources]
Internet 항목 밑에 'Download from'에서 'Server for Korea, Republic of' 로 돼 있는 것을 'Main
Server' 로 바꿔줍니다. 혹은 'Other...'를 선택해 다른 지역 서버나 다음서버 (ftp.daum.net)를 선택하
실 수 있습니다. 선택 후 닫기를 누르시면 새롭게 갱신을 해야 한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Reload 버튼을
눌러줍니다.
[System]-[Administration]-[Language Support]에서 'Korean'을 선택 하면 한글 꾸러미들을 내려받기 시작
합니다. 이후 재부팅하면 한글을 입출력하시는데 문제가 없으실 것입니다.
2) 한글 엉김 현상 해결
오픈오피스오그(Openoffice.org) 같은 프로그램에서 문자입력시 한글입력이 엉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기본 설정]-[SCIM 입력기 설정]을 실행한 후 좌측 IM엔진에서 '한글'을
선택, 우측 '설정'탭에서 '단어 단위로 입력'을 선택하면 엉김 현상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단어단위로 입력 메뉴는 한글입력기를 한국내 저장소를 통해 업데이트 한 후에 보입니다. 타국에 있는
유저들은 한국내 저장소를 추가한 후 업데이트를 해야 이 메뉴가 보일 것입니다.
3) 파일관리자(노틸러스)에서 한글 입력이 불가능해졌을 때
가끔 업데이트 후 또는 파일 이름을 바꾸려 할 때 노틸러스에서 글이 입력이 되지 않는 황당한 현상이 일
어납니다.
이때는 노틸러스에서 아무 파일이나 선택해 오른쪽 버튼을 누르신 후 [입력기]를 눌러 SCIM Input
Method를 선택하면 정상화 됩니다.
또는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터미널]을 이용해 입력기를 선택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im-switch -c
명령어 입력 후 나오는 사용 가능한 입력기 중에 4번을 눌러 scim-hangul 을 선택한 후 다시 로그인 하
면 문제가 사라집니다.
4) 한영전환, 한자변환 글쇠 정하기
처음에 한글이 제대로 설치되면 한/영전환은 ctrl+space 또는 shift+space 또는 우측 Alt키로 가능합
니다.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거나 하나의 키로 한/영 전환을 하도록 정하려면 아래 내용을 따라하세요.
먼저 [시스템]-[기본 설정]-[키보드]에서 '키배치' 탭을 선택해 기본값으로 'Korea, Republic of, 101/104
key compatible'을 선택 합니다.
만약 관련 값이 보이지 않으면 더하기 버튼을 눌러 해당 키보드 값을 선택해줄 수 있습니다.
영어자판(keyboard) 오른쪽 'alt' 또는 한글자판의 '한/영'글쇠를 한영전환글쇠로 정해주기:
[시스템]-[기본 설정]-[SCIM 입력기 설정]을 실행. -> 1. 왼쪽 'IM엔진' 하단에 '한글'을 선택 -> 2. 오른쪽
단축키 설정에서 한글키 옆에 '...'버튼을 눌러 'Hangul'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우기 버튼으로 삭제 ->
'Hangul' 선택 후 확인
영어자판 오른쪽 'Ctrl' 또는 한글자판의 '漢字'글쇠를 한자변환글쇠로 정해주기:
[SCIM 입력기 설정] -> 1. 왼쪽 'IM엔진' 하단에 '한글'을 선택-> 3. 오른쪽 단축기 설정에서 한글/한자
변환키 옆에 '...' 버튼 눌러 'Hangul_Hanja'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우기 버튼으로 삭제
->'Hangul_Hanja' 선택 후 확인.
위의 방법으로 글쇠를 지정해 주어도 한/영전환이나 한자변환이 안되는 경우에는 아래 방법을 사용하세
요.
아래에서는 '키보드 매핑(mapping)'작업을 하게 됩니다. 즉 특정 글쇠에 사용자가 기능을 부여해 그 글
쇠를 눌렀을 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먼저 한/영전환과 한자변환에 쓸 글쇠 값을 찾아 봅시다.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터미널] 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xev
xev는 키보드 입력을 추적해 글쇠값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보통 한글변환 글쇠로 사용하는 오른쪽 Alt
를 눌러봅시다. 아래처럼 글쇠값이 출력됩니다.
저의 경우 Alt의 글쇠값(keycode)은 113이었습니다. 다음에는 한자변환 글쇠로 많이들 사용하는 오른
쪽 Ctrl을 눌러 글쇠값 109를 얻었습니다.
글쇠값을 얻었으면 xev실행시 생기는 상자를 마우스로 눌러 닫아주면 터미널이 원상복귀 됩니다.
주의! 글쇠값은 키보드마다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xev로 찾아보세요.
글쇠값을 토대로 해당 글쇠를 눌렀을 때 한/영전환과 한자변환이 이뤄지도록 주문서를 작성하겠습니다.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편집기]로 편집기(gedit)를 실행한 후 아래 내용을 넣어줍니다.
keycode 113 = Hangul
keycode 109 = Hangul_Hanja
위에서 keycode다음 숫자 부분은 앞서 xev를 실행해 찾아낸 값을 넣어주어야 합니다.
입력을 했으면 저장 버튼을 눌러 .Xmodmap 이란 이름으로 홈 폴더(사용자명 폴더)에 저장해 줍니다.
*주의! 반드시 .Xmodmap 이름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앞에 점(.)빼면 안됩니다.
저장 후 컴퓨터를 다시 시작 하면 우분투는 .Xmodmap을 읽겠느냐고 묻습니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파일에서 .Xmodemap을 선택해 읽어들이기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5) 한글 글꼴에 부드럽게 하기(안티 앨리어싱)이 적용안되는 문제 해결
기본 글꼴이 아닌 다른 글꼴을 사용할 때 부드럽게 하기를 적용해도 몇몇 한글 글꼴이 전혀 부드러워지
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글꼴에서 일단 까칠한 느낌이 납니다. 우분투에서 그렇게 설정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터미널에서 편집기(gedit)로 한글설정 파일을 열어봅시다.
1. [위치]-[홈 폴더]를 열어 /usr/share/language-selector 로 이동합니다. 위 그림의 1앞에 문서 모양
을 누르면 위치에 문자로 경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fontconfig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열기'를 선택합니다.
*'관리자로 열기' 기능은 사용자가 추가해야 합니다. 기능 추가는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
하기 에서 2)노틸러스 기능 더하기를 참고하세요.
3. ko_KR 을 골라 왼쪽 버튼으로 눌러줍니다.
그리고 편집기에서 아래 부분을 찾아보세요.

이 밑부분에 있는 부터 까지 설정 때문에 부드럽게 하기가 적용이
안됐던 것이죠.
이 부분을 컴퓨터가 실행하지 못하도록 '주석처리'를 해주면 됩니다.
주석처리는 ''를 아래처럼 넣어주면 됩니다.

ko_KR에서 한 곳 더 주석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위 에서 처럼 이 부분 밑에 ''를 아래처럼 넣어주면 됩니다.

저장 후 컴퓨터를 껐다 켜면 부드럽게하기와 힌팅이 적용됩니다.
부드럽게 하기란 '안티 앨리어싱(Anti-aliasing)'을 의미합니다. 글꼴이 가시돋친 것 마냥 보이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입니다.
힌팅(hinting)이란 전문적인 글꼴만들기 기술용어인데 힌팅이 잘 적용된 글꼴은 크기를 극단적으로 변
화시켜도 퍼지거나 깨지거나 뭉게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6pt 크기에서도 글자체가 상당히 선명하게
나옵니다.
6) 압축 파일 속에 한글 이름이 깨지는 문제
7.04에서 문제된 것이 7.10에서도 계속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원인은 우분투와 MS윈도우가 서로 사용하는 한글 코드 방식이 달라 생기는 문제입니다. MS윈도우가 사
용하는 euc-kr방식 한글로 쓰여진 이름을 가진 파일을 우분투에서 UTF-8 방식 한글로 읽으려니 해석이
이상하게 되는 것입니다.
설치돼 있는 unzip을 제거하고 과거판 unzip을 설치한 후, unzip을 수정(update) 하지 못하도록 자동
판올림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으로 일단 해결했습니다.
1. http://kldp.org/node/82481 <-여기서 unzip 한글패치를 받아다가 일단 .deb 꾸러미를 풀어놓습니다.
2.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unzip을 찾아 '완전히 제거 표시'로 제거합니다.
file-roller도 함께 제거해야 합니다.
3. 받아놓은 .deb꾸러미를 두번 누르기(double click)로 실행해 새 버전이 있다는 경고는 무시하고 재
설치합니다.
4. 다시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file-roller를 검색해 '설치 표시'로 재설치 해줍니다.
과거판 unzip이 설치돼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있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이 안내는 무시하셔야 합니
다.
계속 나오는 안내를 피하려면 아래와 같이 처리를 해주면 됩니다.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다시 unzip을 찾아 선택(Highlight)한 후 [패키지]-[버전 강제]를 선택해 '최
신버젼:'에 5.52-9ubuntu3 (now) 를 선택해 '버젼' 버튼을 눌러 저장한 후 컴퓨터를 꼈다 켜면 업데이
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7) 플래시에서 한글을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
플래시 화면에서 한글이 안나오고 네모상자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플래시의 기본 폰트 설정인 산-세리프에 대응하는 한글 폰트가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 [위치]-[홈 폴더]를 열어 /home 폴더로 이동합니다.
2. 사용자명 폴더(홈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열기'를 선택합니다.
*'관리자로 열기' 기능은 사용자가 추가해야 합니다. 기능 추가는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
하기 에서 2)노틸러스 기능 더하기를 참고하세요.
3. 노틸러스(파일관리자) 화면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문서 만들기]-[빈 파일]을 선택하고 이름을
.fonts.conf로 합니다.
*!주의 파일 명 앞에 점(.)이 꼭 들어가야 합니다. '.fonts.conf'
4. .fonts.conf 파일을 열어 아래 내용을 넣어준 후 저장합니다.


sans-serif


UnDotum


위 명령은 sans 계통 영문 글꼴과 '은돋움'으로 강하게 묶어두겠다(binding) 는 선언을 한 것입니다.
(약하게 묶을 수도 있습니다. Strong대신 weak이라고 넣어서) 이렇게 해두면 sans 계통에서 적당한 글
꼴이 없을 경우 대신 은돋움이 sans계통 글꼴을 대신해 표시하게 됩니다. 물론 은돋움대신 다른 글꼴를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 명령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는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보면 됩니다.
fc-match Sans
여기서 결과가 UnDotum으로 나오면 됩니다. (다른 글꼴을 지정했다면 다른 글꼴명이 나옵니다.)
5.5 글꼴 설정: 글꼴 추가와 글꼴 사용하기
1) 글꼴 구하기
우분투를 설치하면 우리말 글꼴로 은글꼴, 은진글꼴과 백묵글꼴 등이 설치됩니다.
더 많은 글꼴이 필요한 분들은 무료배포되는 글꼴들을 내려받거나 자신이 사용중인 MS윈도우에서 글꼴
을 가져다 쓰실 수도 있습니다.
우분투에서 트루타입글꼴(.ttf)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MS윈도우 글꼴은 windows/fonts에 들어
있습니다.
무료배포 한글 글꼴들:
네이버 사전체:굴림체 유사 글꼴. 큰 특징은 없어 보이지만 한글고어까지 표기하는 대단한 면이 있네요.
아리따 2.0: 아모레 퍼시픽에서 배포하는 글꼴 입니다. 윈도우용을 받아서 쓰실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체: 명조체. 가늘고 하늘하늘한 맛. 붉은색 글씨로된 'Mac OS X용& PC사용자용 압축파일'을
받아서 풀면 ChosunM.ttf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결체:명조체. 좀 두툼하고 투박한 맛. 압축파일을 받아 풀면 한겨레결체.TTF가 나옵니다.
무료배포 영문글꼴들:
Dafont.com : 무료 영문폰트를 내려 받을 수 있는 웹사이트로 상당히 유명합니다.
The Dingbats Pages: 딩벳(그림 폰트)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웹사이트로 역사도 오래됐습니다.
Red Hat-Liberation: 또 다른 리눅스인 레드햇에서 무료 배포하는 폰트 묶음입니다.
[프로그램]-[추가/제거]에서 보여주기를 '이용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에 맞추고 Microsoft Core Fonts 를
찾아서 MS 윈도우용 영문 폰트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글꼴 저장하기
1. 내려받은 폰트 압축을 풀어 나온 폰트를 선택해 복사해 둡니다.
2. [위치]-[홈 폴더]로 노틸러스(파일관리자)를 실행합니다.
3. 경로를 문자입력하기 위해 1. 문서 모양 아이콘을 누르고 2. 위치에
/usr/share 를 입력하고 [엔터] 글쇠를 를 누릅니다.
4. 여러 폴더 중 fonts 폴더를 찾아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관리자로 열기'로 엽니다.
5. font 폴더 속에 추가할 글꼴들을 넣어줍니다. 추가한 글꼴은 재부팅 한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로 열기' 기능은 사용자가 추가해야 합니다. 기능 추가는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하기
에서 2)노틸러스 기능 더하기를 참고하세요.
*'관리자로 열기'를 하지 않고 fonts폴더를 열면 글꼴 복사해넣기나 옮겨넣기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이
유는 해당 폴더는 관리자(사용자) 권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분투는 중요 폴더에 옮겨 붙이기 또는 복사해 넣기를 할 때는 반드시 열쇠글(암호)를 입력해 관리자
(사용자)인지 확인하도록 돼 있습니다.
3) 글꼴 적용하기
화면에 다른 글꼴을 사용하고 싶다면 [시스템]-[기본설정]-[모양새]를 선택하신 후 '글꼴' 탭에서 원하는 글
꼴을 골라서 정해주실 수 있습니다.
1. 응용프로그램 글꼴: 메뉴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가장 많이 눈에 띄게 되는 글꼴입니다.
2. 문서글꼴: 문서를 다루는 프로그램의 기본 글꼴을 정합니다. 그러나 오픈 오피스 등 대부분 프로그램
에 영향을 못미칩니다. 미리 정해진 기본 글꼴이 없을 때나 문서글꼴이 적용되기 때문에 여기서 글꼴을
선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3. 바탕화면글꼴: 말 그대로 바탕화면에 놓인 아이콘 밑에 글꼴들 바뀝니다.
4. 창 제목글꼴: 창 제목에 사용되는 글꼴입니다.
5. 고정폭글꼴: 터미널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글꼴 입니다.
6. 글꼴그리기에서 LCD용을 선택할 경우, MS윈도우의 클리어타입 설정과 유사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7. 밑에 '자세히'를 선택하면 '부드럽게 하기'와 '힌팅'을 좀 더 자세히 선택할 수 있습니다.
5.6 모양새 꾸미기- '모양새'를 이용한 설정
1) 기본 테마 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조합 가능
화면을 이런 저런 모양으로 꾸미는 재미를 느끼는데 우분투 만큼 좋은 OS도 흔치는 않을 것입니다.
[시스템]-[기본설정]-[모양새] 를 열어보면 8가지 기본 테마가 있습니다.
단 여덟가지만 쓸 수 있는가 하면 그건 아닙니다.
1. 사용자 설정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를 통해 '컨트롤', '색상', '창 가장자리', '아이콘', '포인터'등
을 각각 정해줄 수 있기 때문에 기본 테마 요소만으로도 상당히 여러 종류의 조합이 가능합니다.
2. 기본 테마 요소만으로 만족을 못하는 분들은 추가로 인터넷에서 각종 테마를 가져다가 설치할 수 있
습니다.
주의! 테마설정시 가끔 불여우(firefox)를 열어놓을 경우 충돌로 인해 불여우가 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분투에서 테마를 다룰 때 반드시 알아야할 부분은 우분투는 각 부분별로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부분은 GTK로 불립니다. GTK는 그놈 툴 킷(Gnome Tool Kit)의 약자로 현재 2.0판
이 우분투에 설치돼 있습니다.
'창 가장자리' 부분은 메타시티(Metacity)라는 프로그램이 관할합니다. 창 가장자리를 바꾸고 싶다면 메
타시티용을 받아와야 합니다.
-단, 에머랄드(Emerald)라는 이름의 또 다른 '창 가장자리'부분을 관할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콘도 별도의 테마로 배포되고, 포인터도 마찬가지 입니다.
모든 요소가 따로 돼 있어 이 점을 응용하면 엄청나게 다양한 테마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2)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테마 더하기
추가로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아래 단어들로 검색하면 몇 가지 테마를 더할 수 있습
니다.
Blubuntu-look: 블루분투 테마, Gnome-theme-extras: 다크룩 테마와 몇 가지 아이콘 테마,
ubuntustudio-look: 우분투 스튜디오
industrialtango-theme: 인더스트리얼 탱고 테마, peace-look: 피스룩, resilience-theme: 리질런스
테마
Silicon-theme: 실리콘 테마
여기에 추가로 [시냅틱 관리자]를 통해 아이콘 테마를 gnome-icon-theme 으로 검색해, blankon,
dlg-neu, gartoon, gperfection2, nuovo, suede 등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과 창가장자리 테마를 gtk2-engines- 로 [시냅틱 관리자]에서 검색해, blueheart, cleanice,
geramik, magicchicken, mythbuntu, sapwood, thingeramik, wonderland 등을 설치 할 수 있습
니다.
커서를 바꾸러면 [시냅틱 관리자]에서 comixcursors, crystalcursors, chameleon-cursor-theme,
industrial-cursor-theme을 검색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바탕그림은 보통 불여우(FireFox)에서 웹서핑중 마음에 드는 그림을 발견하면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해 '배경으로 지정' 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기능은 아닙니다.
*모양새 탭에서는 간단히 메뉴 아이콘 출력 여부와 아이콘 설명의 위치를 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효과는 다음 장 컨피즈-퓨전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3) 인터넷에서 받아오기
우분투를 지원하는 여러가지 테마는 art.gnome.org 또는 gnome-look.org 에서 받아다 설치할 수 있습니
다.
해당 사이트에서 내려받은 압축 파일(.tar.gz)을 아무 폴더에나 넣어두시고, 압축을 풀지 않고 테마에서
'설치' 버튼을 눌러 해당 압축파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아무 폴더에나 테마파일을 넣어두어도 상관없지만 저는 /home에 /꾸미기 폴더를 만들어 테마가 담긴
압축파일을 모아두고 있습니다.
주의! 일부 테마는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테마를 바꿔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우분투 기본 테
마인 '휴먼'으로 복귀하시면 정상화 됩니다.
4) GDM과 자동로그인
모양새에 포함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GDM 테마'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GDM은 '그놈
데스크탑 메니저(Gnome Desktop Manager)'의 약자입니다.
GDM테마는 우분투 부팅 후 나오는 로그인 화면에 적용되는 테마로 [시스템]-[관리]-[로그인 창]의 '로컬'
탭에서 테마를 교체하거나 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동 로그인을 원할 경우 [로그인 창]의 '보안' 탭에서 '자동 로그인 사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GDM 테마는 정해봐야 보이지 않습니다.
*랩탑 사용자에게는 보안상 이유로 자동 로그인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4) 스플래쉬 화면
스플래쉬 화면(Splash screen)은 로그인 할 때 보여지는 그림입니다. 여러가지 설정을 도와주는 우분
투 트윅을 설치하면 스플래시 화면을 쉽게 바꾸고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우분투 트윅은 설치 후 [프로그램]-[시스템 도구]-[Ubuntu Tweak]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트윅의 [스타트업 설정]-[세션 컨트롤] 에서 '그놈 스플래시 화면을 보여줌'을 선택 아래 그림을
눌러 새 스플래시 화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다만 0.5초라도 빠르게 컴퓨터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스플래시 스크린은 또 다른 시간
낭비일 수 있습니다.
우분투의 모양새 구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분은 1.3 우분투는 어떻게 구성돼 있나 를 다
시 읽어보세요.
5.7 모양새와 효과넣기- 컴피즈 퓨전
컴피즈 퓨전은 우분투 화면에 특수 효과를 더해주며 동시에 기본적인 윈도우 움직임에도 관여하는 종합
적인 윈도우 관리자(composting window manager) 입니다.
참고: Compiz-fusion.org (영문)
많은 분들이 이 화려한 효과를 찾아 우분투에 입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구형 컴퓨터에서 빠른 컴퓨
터 사용을 원한다면 컴피즈 퓨전을 쓰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사용자처럼 '싱글코어' 구형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반응이 빠른 것을 좋아한다면 컴피즈 퓨전을 사용하지 않
을 것을 권합니다.
1) 기본 설정 방법
컴피즈-퓨전은 [시스템]-[기본설정]-[모양새]에서 '화면효과' 탭에 있는 메뉴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
다.
기본적으로 3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 없음: 컴피즈-퓨전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
• 보통: 컴피즈-퓨전의 기본 효과를 사용합니다. 컴피즈에 내장된 22가지 효과와 설정들이 더해집
니다.
• Extra: 컴피즈-퓨전의 추가 효과를 사용합니다. 'Compiz-extra' 꾸러미가 지원하는 23가지 효과와
설정 중 일부를 사용하게 됩니다.
컴피즈 퓨전의 설정을 자유자제로 바꾸려면 프로그램을 하나 더 설치해야 합니다.
[프로그램]-[추가/제거...]를 실행해 보여주기를 '이용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에 맞춘 상태에서 ccsm 으로
검색해 'Advanced Desktop Effects Setting'를 설치해 줍니다.
이후 [시스템]-[기본설정]-[모양새] 에서 '화면효과' 탭을 보면 가장 밑 '사용자 설정'이 생긴 것을 볼 수 있
습니다. 그 옆에 '기본 설정' 버튼을 누르면 컴피즈퓨전을 설정할 수 있는 창(CCSM)이 열립니다.
2) 사용자 설정 사용시 주의
사용자 설정으로 컴피즈-퓨전을 다룰 경우 주의할 점들이 있습니다.
일단 비디오 카드 성능에 따라 일부 설정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설정을 해도 반응이 없습니다.)
한편 아래 기능은 절대로 꺼서는 안됩니다: 우분투를 작동하는 데 아주 기본적인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Effects 항목중
Window Decoration: 테두리(border)와 제목막대(title bar)가 사라집니다.
Window Management 항목중
Move Window: 꺼놓으면 창을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Place Windows: 꺼놓으면 좌측 상단에서만 새 창이 열립니다. 제목막대가 패널에 가려져 불편합니다.
Uncategorized 항목중
Resize Window: 꺼놓으면 윈도우 크기를 바꿀 수 없게 됩니다.
둘째 컴피즈 퓨전의 일부 설정은 아래 처럼 그놈이 제공하는 기능과 충돌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놈이 어떤 놈인지 모르는 분은 1.2 우분투의 자매들과 친척들 과 1.3 우분투는 어떻게 구성돼 있나 부분
을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그놈이 기존에 관할하는 '작업공간 설정'이나 '키보드 바로 가기'에서 작업공간 숫자를 늘리거나 빨리가
기 글쇠를 입력해도 변경되거나 작동하지 않고 컴피즈의 사용자 설정(CCSM)에서 다시 설정해줘야 하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문제해결 방법
-작업공간이 2개로 제한되는 경우
사용자설정(CCSM)에서 general options 아이콘을 선택, desktip size 탭에서 Horizontal Virtual
Size에 작업공간 개수를 2개에서 4개로 늘려주면 됩니다.
-'키보드 바로가기' 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설정(CCSM)에서 general options 아이콘을 선택 Actions탭에서 목록을 펼쳐 다시 키를 문자로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lt+스페이스 글쇠는 'space' 또는 Ctrl+F2 글쇠는 'F2' 하는 식으로 입력
해야 합니다.
-'돌아온 삑소리' 다시 죽이기
[시스템]-[기본 설정]-[소리] '시스템 삑소리 쓰기' 탭에서 소리를 쓰지 않도록 해놨는데도 컴퓨터 스피커
에서 삑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자설정(CCSM)에서 general options 아이콘을 선택 general 탭에서 Audible bell에 표시를
해제해 주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창틀없는 창 문제(borderless window)가 생기는 경우
일부 ATI계열 비디오 카드는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방법은 'Xserver-XGL'이라는 새로운 그래픽카드 사용환경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컴피즈-퓨전 화면표시 문제는 해결할 수 있어도 한글관련 설정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
습니다. 또한 화면표시가 이전보다 느려질 수 있습니다.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xgl로 검색 xserver-xgl 꾸러미를 설치해 줍니다. 이후 재부
팅을 하면 컴피즈 퓨전 화면표시 문제는 대부분 해결됩니다.
-XGL설치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
-한영전환 불가: 키보드-키배치 설정 초기화가 원인입니다. [시스템]-[기본 설정]-[키보드]에서 '키배치'탭
에 한글 글쇠판을 다시 설정해 주면 한/영 전환이 가능해집니다 (참고: 5.4 한글 환경 설정: 한글 표시/ 입
력문제 해결)
- 한글작동 중단: 위의 한영전환 불가 문제를 수정했으나 부트후 한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
다. 이 경우 한글을 다시 활성화 해주면 됩니다. [시스템]-[기본 설정]-[SCIM 입력기 설정]을 실행해 왼쪽
프론트엔드 밑에 '전체설정'을 선택한 후 오른쪽에서 활성화 옆에 '...'버튼을 눌러 뜨는 창에 다른 것 입
력할 것 없이 '확인' 버튼 눌러준 후 SCIM 입력 모드 설정 창에서도 '확인' 버튼을 눌러 저장해주고 닫은
후 다시 부트하면 됩니다.
-창틀없는 창 문제(borderless window)가 생기는 경우2
또는 창틀없는 창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다른 창가장자리 꾸미기 프로그램인 에머럴드(Emerald)를
설치해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위에 XGL설치 후에도 창틀없는 창 문제가 해결 안될 경우에만 사용하십시오.
[시스템]-[관리]-[시냅틱 꾸러미 관리자]에서 emerald로 검색해 설치합니다. (libemeraldengine0 가 추
가 설치됩니다.)
gnome-look.org 에서 에머럴드용 테마를 받아다가 [시스템]-[기본 설정]-[Emerald]를 통해 설치 합니다.
이후 '프로그램 실행'(Alt + F2를 누르면 열림)에서 emerald --replace 라고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눌
러 줍니다. ('replace' 앞에 빼기 표시 두 개.)
만약 에머럴드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이전의 창가장자리를 관리해온 메타시티(Metacity)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에서 metacity --replace 라고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누르면됩니다.
4) 데스크탑 월과 큐브
컴피즈-퓨전에 기본적인 작업공간 이동 방법은 데스크탑월(Desktop Wall) 입니다. '미끄러지듯이' 작
업공간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데스트탑 월의 특징입니다.
반면에 주위에 많이 광고된 설정은 '큐브(Cube)' 정육면체 돌리기가 컨피즈-퓨전의 예시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컴피즈에서 작업공간을 이동하는 방법은 데스크탑월 또는 큐브중 하나와 엑스포(Expo)를 섞거나 섞지
않고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 월, 큐브, 엑스포는 모두 글쇠와 마우스 동작을 섞어 작동합니다. 때로는 슈퍼 글쇠(윈도우 글
쇠)와 다른 글쇠를 함께 눌러 기능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위 그림은 데스크탑월에 엑스포를 적용한 것입니다. 엑스포는 위 그림 처럼 작업공간 펼치기를 제공합니
다. 슈퍼 글쇠 + e 를 누르면 작동합니다.
위 의 큐브는 Desktop 항목 중에서 Desktop Cube(큐브모양으로 작업공간 배치하기), Rotate
Cube(큐브 돌리기) 를 선택하고 Effects 항목에서 Cube Reflection (큐브 반사하기), Utilities 항목에
서 Cube Caps(큐브 뚜껑씌우기)
를 적용하고 Ctrl + Alt 글쇠와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살짝 돌려준 모습니다. 빙빙 돌리기는
Ctrl+Alt+ 왼쪽 또는 오른쪽 화살표 글쇠를 누르고 있으면 돕니다.
Ctral+Alt+ 아래쪽 화살표 글쇠를 누르면 엑스포와 거의 같은 효과를 보여줍니다.
Desktop Cube와 Rotate Cube는 큐브를 구성하고 돌리는 데 필수 부분입니다. Cube Reflection은 위
그림처럼 아래쪽에 그림자를 드리우며 큐브가 회전할 공간을 넉넉하게 만들어 줍니다. Cube caps는 큐
브 위와 아래에 그림을 지정해주는 기능입니다.
큐브는 꼭 작업공간이 4열이 되지 않아도 기본 2열만으로도 가능합니다. 이른바 그런 큐브 사용법은 한국
우분투 사용자들 사이에 '김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창과 창 사이의 전환
컴피즈-퓨전은 여러 창을 열어놓았을 때 건너 뛰어가는 방법을 4가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Window Management 항목 에서 제공되는 창 전환기(switcher) 네 가지 중에서 마음에 드는 모양과
동작을 골라 하나 또는 모두 쓰실 수도 있습니다.
Application Switcher: 흔하게 볼 수 있는 화면 전환기로 Alt + tab 글쇠로 작동합니다.
Ring Switcher: 실행중이 어플리케이션이 둥글게 원을 형성해 그 중 하나를 고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
다. super (window키) + tab 글쇠로 작동합니다.
Scale: 여러 창을 한 화면 안에 배치해 놓고 그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습니다. shift + Alt + 위 화살표
글쇠로 작동합니다.
Shift Switcher: 한 장씩 책을 넘기듯 어플리케이션을 고를 수 있습니다. super + tab 글쇠로 작동합니
다.
6) 기타 기능들
Negative: 우분투 작동중 반응없는 창을 어둡게 만듭니다. (그러나 곧 다시 밝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Zoom desktop: 데스크탑 확대 기능입니다. super + 마우스 휠 돌리기로 작동합니다.
Widget Layer: 데스크탑 소품 (widget)을 늘어놓을 화면 층(Layer)을 더해 줍니다.
Animation: 창 움직이기, 크기 조정시에 각종 효과를 추가합니다.
Annotate: 화면에 낙서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낙서는 Alt + Super 글쇠로 입력, 지우기는 Alt +
Super + k 입니다.
Screen Shot: 화면찍기 기능입니다. 먼저 Screenshot 설정에서 기본 Directory가 Desktop으로 돼
있는 것을 /home/(사용자명)/바탕화면 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또한 Image Loading 항목 중에 Png
가 표시 돼 있어야 기능이 작동합니다. 이후 super+왼쪽 마우스를 누른 상태에서 영역을 선택해주면 바
탕화면에 .png 형식 그림으로 저장됩니다.
5.8 프린터/PDF프린터 설치와 활용
우분투 7.10은 대부분의 프린터를 자동으로 잡아줍니다.
바로 꽃아 쓰기(Plug and Play)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별도로 프린터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프린터가 연결되면 연결됐다는 안내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프린터를 사용할 준비가 됐습니다" 또는
"Printer is ready for printing" 이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이후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프린터를 연결해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내용을 파일로 만들어 저장해 두어야할 경우가 있습
니다.
예를 들어 불여우에서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후 거래화면을 .pdf 파일로 만들어 컴퓨터에 저장해 둘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PDF 프린터를 설치해 줘야 합니다.
.pdf는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로 어도비(Adobe)사가 개발한 문서 양식입니다. 북미주에서는 문
서 표준 양식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1) PDF 프린터 설치
[시스템]-[관리]-[프린트 하기]에서 '새 프린터' 버튼을 눌러 나온 장치목록에서 Print into
PDF file 을 선택하고 '앞으로' 버튼을 누릅니다.
(경우에 따라 [관리] 아래 [인쇄] 메뉴가 대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조회사중 Generic을 선택하고 앞으로, 마지막으로 PDF file Generator 를 선택합니다.
프린터명(영문), 설명을 입력한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PDF프린터가 설치 됩니다.
보통 프린터 이름만 입력해주면 됩니다. (띄어쓰기, 한글 안됩니다. 자동으로 주어진 이름 써도 상관 없
습니다.)
설명은 아무 말이나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띄어쓰기, 한글 됩니다.)
'적용'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로컬 프린터' 밑에 프린터 이름이 보입니다.
2) PDF 프린터 사용법
[파일]-[인쇄]에서 프린터를 CUPS/PDF로 선택해준 후 인쇄를 누르면 홈폴더(사용자 이름 폴더) 아래
/PDF 에 인쇄물이 저장됩니다.
다른 프린터나 CUPS/PDF에서 '파일로 저장' 을 선택할 경우에는 /PDF가 아닌 저장할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파일로 저장'을 택해 저장한 파일은 CUPS/PDF 인쇄로 만들어진 파일보다 크기가 훨씬 큽니
다.
3) 네트워크 프린터 사용하기
다른 컴퓨터에 물려 있는 프린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분투가 설치된 아빠 컴퓨터에서 윈도우XP가 설치된 엄마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불러
인쇄작업을 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우분투에서는 '삼바(Samba)'라는 이름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통해 우분투와 MS윈도우간에 네트워크
가 가능합니다.
집 안에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뒤에 ' 6.1 우리집 컴퓨터들로 네트워크 만들기! 삼바 설정'에
서 다루고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주의! 네트워크가 설치된 상태에서만 아래 네트워크 프린터 설정이 가능하므로 다음에 소개하는 '6.1 우리
집 컴퓨터들로 네트워크 만들기' 의 작업을 먼저 끝내실 것을 권합니다.
[시스템]-[관리]-[프린트 하기]에서 '새 프린터' 버튼을 눌러 나온 장치목록에서 1. Windows Printer via
Samba 를 선택하고 smb:// 옆에 2. brows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프린터를 찾습니다.
만약 해당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를 지금 설치중인 컴퓨터에서 사용자명과 열쇠글(암호)를 넣어 접속해
야 한다면 3. Authentication required 앞에 상자에 표시를 해주고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 접속을 위
한 사용자이름과 열쇠글(패스워드:) 를 입력해 줍니다.
1~3 또는 1,2 과정을 거친 후 4 확인 버튼을 눌러 연결이 되는지 확인 해봅니다. 연결이 된 상태이면 '앞
으로 ' 버튼을 누릅니다.
기초 설정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경우 대부분 XP에 접속된 프린터는 사용자 이름과 열쇠글을 묻지 않고
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3. 과정이 필요없습니다.
제조회사를 골라 앞으로, 프린터 드라이버(프린터 모델이름)를 선택해준 후 앞으로를 누릅니다. 또는
제조회사를 고르는 화면에서 리눅스용 프린터 드라이버인 .PPD 파일이 있으면 Provide PPD file을 선택
하고 .PPD를 찾아 선택해줍니다.
마지막에 프린터명(영문), 설명을 입력한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네트워크 프린터가 설치 됩니
다.
4) 프린터를 찾았지만 인쇄명령에 반응은 없는 경우
[시스템]-[관리]-[프린트 하기]에서 '새 프린터' 버튼을 누른 후 자동으로 프린터를 찾아줍니다.
다른 것을 입력하지 말고 계속 '앞으로'를 눌러 마지막에 1.프린터명(영문)과 2.설명을 입력 한 후 3. 적
용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됩니다.
5) 프린터를 자동으로 찾지 못하는 경우 또는 지원하지 않는 경우
프린터를 자동으로 지원하지 않는 경우 아래 우분투 위키에서 도움말을 읽어 보고 따라해 볼 것을 권합
니다. (영문)
https://wiki.ubuntu.com/HardwareSupportComponentsPrinters
5.9글쇠로 바로가기 설정과 활용
컴퓨터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쓰는 방법 중 하나는 글쇠(key) 하나, 두 개를 눌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처음에 익숙하지 않을 때는 불편하지만, 익숙해질 수록 편리함을 느끼는 것이 바
로 '키보드 바로가기' 혹은 '단축키' 입니다.
우분투는 이 기능을 '키보드 바로 가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키보드 바로가기'라는 명칭은 고심 끝에 나온 번역이겠지만 의미 전달에 있어 조금 부족한 느낌이라 '글
쇠로 바로가기'로 고쳐 부르겠습니다.
글쇠로 바로가기 기능은 컴피즈-퓨전 사용을 위해 Xserver-XGL을 설치한 경우, 충돌로 인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글쇠로 바로가기 설정은 5.7 모양새와 효과넣기- 컴피즈 퓨전 에서 3)문제해결 방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멀티미디어키보드'처럼 프로그램 적용글쇠(예 E-mail)가 있는 키보드를 사용한다면 [시스템]-[기본
설정]-[키보드 바로 가기]에서 바로가기 글쇠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기능 목록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원하는 글쇠를 눌러주면 됩니다.
예를 들면 F3를 누르면 터미널이 실행되도록 한다거나 F4를 누르면 불여우(FireFox)가 실행되도록 정
의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미리 정해진 글쇠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배려가 필요합니다.
컴피즈-퓨전에도 미리 정해진 바로가기 글쇠들이 있습니다.
위 처럼 컴피즈-퓨전의 각 기능 항목에서 Action 탭 아래 항목들을 펼쳐보면 바로가기 글쇠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설정한 내용과 '키보드 바로 가기'에서 설정한 글쇠가 겹칠 경우 해당 기능이 작동
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1) 미리 정해져있는 바로가기 글쇠들
만약 글판(keyboard)에 F lock이 있다면 F lock을 켜고 끔에 따라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그놈에서 작동하는 바로가기 글쇠들 (노틸러스와 공용)
Alt+F1: 패널 매뉴를 보여주기 ('프로그램'이 하이라이트 되면서 메뉴를 출력)
Alt+F2: 프로그램 실행 창을 열기
Alt+Home: '내 폴더'로 바로 이동 (노틸러스 열기)
Alt+Tab: 사용중인 프로그램 사이에 전환
Ctrl+a: 글상자나 웹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선택 (select all)
Ctrl+c: 선택한 내용을 복사 (copy)
Ctrl+v: 복사했거나 잘라 둔 내용을 글 상자등에 붙이기 (paste)
Ctrl+x: 선택한 내용을 자르기 (cut)
Del 또는 Ctrl+t: 선택한 파일을 휴지통으로 보내기 (trash)
Ctrl+r: 다시 읽기(Refrash)
Ctrl+Shift+n: 새 폴더 만들기
Ctrl+Alt+Backspace: 시스템 재가동 (reset) !주의
F1: 우분투 도움말 센터가 가동
F2: (파일에 맞춰져있는 경우(focusing)) 이름바꾸기
PrtScn: 전체 화면을 그림으로 잡기 (capture)
응용! Alt+F2같은 키들은 실행창을 열어주는데 MS윈도우에서 사용하는 'launchy'나 맥에서 사용한 '퀵실
버'와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창에서 firefox나 evolution 같이 자주 실행하는 프로그램 철자만 조금
쳐주고 enter를 누르면 실행이 가능합니다. Alt+F2 대신에 Ctrl+space 같은 글쇠조합으로 대처해도 편리합
니다.
노틸러스(파일 관리자)에서 작동하는 빠른 글쇠
Ctrl+h: 감춰진 폴더와 파일 보이기/감추기
Ctrl+n: 새 노틸러스 열기
Ctrl+1: 아이콘으로 보기
Ctrl+2: 목록으로 보기 (list)
Ctrl++: 확대, Ctrl+-: 축소, Ctrl+0 기본 크기로 돌아가기
Ctrl+d: 책갈피에 폴더/파일 추가 (노틸러스 좌측 칸에 표시됨)
Ctrl+b: 책갈피 편집 (순서를 바꾸거나 지울 수 있음)
Alt+위 화살표: 상위 폴더로 이동, 아래화살표는 하위 폴더로 이동
문자입력: 보고있는 창에서 찾고자 하는 파일이름을 입력하면 그 파일을 표시해 줌
불여우(Firefox, 웹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빠른 글쇠
Ctrl+f: 웹 내용중 찾기 (! 현재 7.10 파일찾기 빠른 글쇠와 겹쳐 있는 상태)
Ctrl+k: 검색창으로 이동
Ctrl+l: 주소창으로 이동 (소문자 l 도 O.K.)
Ctrl+t: 새 탭 열기
Ctrl+r: 갱신(reload)
Ctrl+w: 보고 있는 탭 닫기
Ctrl++: 글자 확대, Ctrl+-: 글자 축소, Ctrl+0 기본 글자 크기로 돌아가기
Ctrl+b: 책갈피(bookmark)창 열기/닫기
Ctrl+h: 최근 방문한 웹페이지 목록과 검색
Ctrl+P: 페이지 인쇄
Ctrl+PageUp: 왼쪽 탭으로 이동 (여러 탭이 열려있는 경우)
Ctrl+PageDown: 오른쪽 탭으로 이동 (여러 탭이 열려있는 경우)
Ctrl+u: 열려있는 웹페이지 소스(HTML)보기
Alt+Home: 홈 페이지로 이동
* 불여우에서 Ctrl+f 기능을 사용하려면 [키보드 바로가기]에서 '바탕화면' 아래 '찾기'에 지정된 글쇠를 바꿔
주어야 합니다. 저의 경우 Alt+Ctrl+f 로 지정했습니다.
*새 탭 열기(Ctrl+t)로 탭을 하나 열어준 후 검색창으로 이동(Ctrl+k)해 검색어를 넣으면 편리합니다.
*글자 확대와 축소기능은 글자가 작아서 안보이는 웹페이지에서 매우 편리합니다.
5.10 우분투 속도를 높이자
1) 그놈 애니메이션 끄기
그놈 애니메이션을 꺼주면 약간의 속도 상승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그놈 에니메이션은 컴피즈-퓨전과
별도로 기본으로 작동합니다.)
[시스템]-[기본 설정] -[주 메뉴](또는 [Main Menu]) 에서 좌측 '시스템 도구'를 선택 우측 항목에서 '설정
편집기'를 표시해 활성화 해줍니다.
다시 [프로그램]-[시스템 도구]-[설정 편집기]를 실행해 아래 주소를 찾아갑니다.
/desktop/gnome/interface/enable_animations 뒤에 상자에 표시를 해제 합니다.
위의 내용을 해제해도 속도증감 효과가 느껴지지 않을 경우 아래 키를 찾아 상자에서 표시를 해제합니
다.
/apps/panel/global/enable_animations
/apps/metacity/general/reduced_resources
설정 편집기에서 [편집]-[찾기]에서 '키이름으로 찾기를 선택해 위의 키들을 비교적 쉽게 찾을 수도 있습니
다.
2) 스왑핑 줄이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작동하면서 메모리(RAM) 공간을 차지합니다. 메모리 공간이 모자르면 우분투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공간을 임시로 사용해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데 이것을 스왑
핑(Swapping)이라고 합니다. ('Swapping'을 'Paging'이라고도 합니다.)
스왑핑은 사실 메모리값이 비싼 예전에 값싼 HDD를 활용해 메모리 공간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
로 개발된 방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1GB(기가바이트) 이상 메모리가 있는 컴퓨터를 일상적인 용도로
쓴다면 스왑핑은 거의 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메모리가 풍족해도 우분투는 가끔 스왑핑을 합니다. 이런 버릇을 고쳐주면 컴퓨터 속도가 약간
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메모리가 HDD보다는 읽고 쓰기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지요.
* 아래 방법을 따라 하려면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하기 에 1) 노틸러스 기능더하기 작업을 끝
내야 합니다.
[위치]-[홈 폴더]를 열어 좌측에 '파일 시스템'을 누른 후 /etc폴더를 찾아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열기'로 엽니다. (열쇠글을 입력해야 함)
/etc폴더 안에 sysctl.conf 를 선택해 두 번 누르면 편집기가 열립니다.
(많은 파일 중에 원하는 파일을 찾으려면 아무 파일이나 한번 클릭해준 후 찾은 파일 이름을 입력 하면
됩니다.)
아래 내용을 맨 밑에 더해줍니다.
#스왑핑 하는 경우를 줄여줌.
vm.swappiness=10
10은 스와핑에 대한 선호도(?)를 의미합니다. 기본값은 60입니다. 1GB정도 메모리가 있다면 이 정도
설정이 적합한 듯 싶습니다. 만약 스왑핑을 전혀 않하게 만들려면 값을 0으로 주면 됩니다.
3) 세션 만져주기
세션은 우분투가 시작될 때 마다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정리해 놓은 기능입니다.
부팅이 느리다는 불만이 있다면 [시스템]-[기본 설정]-[세션]에서 부팅때 마다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줄여
부팅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세션을 통해 컴퓨터를 켤 때마다 실행되는 내용은:.
Evolution Alarm Notifier: 에볼루션에 입력된 이메일로 새 편지가 도착하면 알려줍니다. 에볼루션을 켜
놓아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에볼루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꺼놓아야겠지요.
Network Manager: 화면 상단 오른쪽 귀퉁이에 인터넷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항상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컴퓨터라면 꺼놓아도 상관없습니다. 랩탑처럼 들고다니면서 무선인터넷을 잡아 쓰는 경우
라면 켜놓는 것이 편리합니다.
Tracker(트래커): 컴퓨터에 위치한 파일들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색인(Index)을 만드는 작업을 하는 기
능입니다. 색인을 만들기 위해 HDD를 읽기도 합니다. PC에 자료의 입출력이 많고 또 자료들이 어디있
는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 검색을 자주 빨리하기 위해 색인이 필요하다면 켜 놓으십시오. 아니라면
꺼놓으시는 것이 속도 증가에 도움이 됩니다.
Update Notifier: 우분투 프로그램이 올림(upgrade)되면 알려주고 받을 것을 권하는 기능입니다. 우분
투도 MS윈도우처럼 자동적으로 '새 업데이트를 받으세요'라는 친절한 안내를 해주는데 이 기능을 켜고
끄는 것을 여기서 결정하게 됩니다. 초보자는 켜놓으십시오. 꺼놓겠다면 종종 터미널에서 sudo apt-get
upgrade 를 실행해 판올림하시기 바랍니다.
User Folder Update: 홈폴더(ID명으로 된 폴더)에 새로 도입된 '사진'이니 '음악' 같은 기능성 폴더를 사
용하지 않을 경우 꺼놓으시면 됩니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음악
파일들을 'home/음악' 폴더에서 찾도록 기본 폴더 설정을 관리해주는 기능입니다.
보조시각기술: 그놈에 시작효과를 더해줍니다. 컴퓨터를 빠르게 사용하길 원하시는 분은 꺼놓으시면 됩
니다.
볼륨조절기: 이동형 음악기기의 소리크기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켜거나 끄실 수 있습니다.
블루투스관리자: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한다면 켜놓으십시오. 블루투스가 뭐야? 먹는 건가 하는 분이나
블루투스 기기가 없어 21세기 기술 대열 진입에서 낙오해도 인생 즐겁게 사는데 문제없어. 난 괜찮아 하
는 저 같은 분은 꺼놓으시면 됩니다.
인쇄대기상태 어플랫: 프린터에 인쇄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화면에 아이콘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입니다.
자주 인쇄한다면 켜놓으면 편리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켜놓지 않아도 되는 기능입니다.
전원관리자: 컴퓨터의 전원을 관리합니다. 켜놓으시기 바랍니다.
제한된 드라이버 관리자: 앞서 설명한 제한된 드라이버중 새 드라이버가 있으면 내려받겠느냐고 물어보
는 기능입니다. 초보자들은 켜놓을 것을 권합니다. 꺼놓을 경우 터미널에서 종종 sudo apt-get
upgrade 명령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4) 서비스 만져주기
세션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서비스' 들중에 사용하지 않는 것들을 [시스템]-[관리]-[서비
스]를 통해 서비스 설정을 실행해 꺼놓을 수 있습니다.
CPU속도관리자(Powernowd): CPU속도와 관련 전압을 제어합니다. 켜두는 것을 권장.
그래픽 로그인 관리자(gdm): 이것을 끄면 검정화면에 하얀글씨가 보이는 명령어입력방식(CLI)으로 시작
합니다. 초보자는 가만히 두세요.
단축키관리(hotkey-setup): 단축키를 쓴 다면 켜놓아야 합니다. 켜놓을 것을 권합니다.
멀티캐스트 DNS 서비스 감시기: [?] 켜두었습니다.
브라유장치관리(brltty): 장애우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사용하지 않으면 꺼놓으셔도 상관없습니다.
블루투스 장치관리(bluetooth): 블루투스 지원 장치를 연결해 사용하지 않는다면 켜둘 이유가 없습니다.
* 시계 동기화서비스(ntp): 컴퓨터의 시계를 자동으로 인터넷상의 표준시 제공 서버에 맞춰줍니다.
시스템통신버스: [?] 켜두었습니다.
예약작업(anacron), 예약 작업(atd): 특정시간에 자동 실행해야할 것이 없으면 꺼놓아도 됩니다.
오디오 설정관리(alsa-utils): 소리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합니다. 켜놓을 것을 권합니다.
자동 비정상종료보고지원(apport): 비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문제점을 보고합니다. 꺼놓아도
됩니다.
전원관리(acpid. apmd): APM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면, 혹은 데스크탑이라면 꺼놓아도 됩니다. 랩탑
이라면 켜놓을 것을 권합니다.
컴퓨터활동기록(klogd, sysklogd): 프로그램 실행내역이나 오류발생 내역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이런 기
록이 필요없다면 꺼놓아도 됩니다.
터미널 다중송신기(screen): [?]
폴더공유서비스(samba):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라면 반드시 켜놓아야 합니다.
프린터서버(Cupsys): 프린터 또는 PDF프린터를 사용한다면 켜놓아야 합니다.
하드디스크 최적화(HDPARM): 사용을 권합니다.
5) 인터넷 속도 개선을 위한 IPv6 프로토콜 끄기
웹 용 통신규약(Protocol)으로 IPv6라는 형식이 있습니다. (풀어 쓰면 Internet Protocol Version 6가
IPv6입니다. )
IPv6는 차세대 통신규약으로 아직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만 만약을 대비해 우분투는 이를 사용
상태로 해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인터넷 접속에 현재 사용되는 규약은 IPv4이며 IPv6로 전환은 한국의 경우 2010년에 이
뤄질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IPv6를 끄면 인터넷상에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 하려면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하기 에 1) 노틸러스 기능더하기 작업을 끝내
야 합니다.
[위치]-[홈 폴더]를 열어 좌측에 '파일 시스템'을 누른 후 /etc/modprobe.d/ 폴더를 찾아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열기'로 엽니다. (열쇠글을 입력해야 함)
/etc/modprobe.d/ 폴더 안에서 aliases 를 찾아 두 번 누르면 편집기가 열립니다.
편집기에서 아래 줄을 찾아서
alias net-pf-10 ipv6
아래와 같이 바꿔주면 됩니다.
alias net-pf-10 off #ipv6
6) 호스트 이름 지정으로 프로그램 실행속도 높이기
우분투는 서버성격이 있어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호스트이름을 호출하고는 합니다.
이 때 호출명을 조금 손보아주면 프로그램 처음 실행 속도가 좀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 하려면 4.2 파일관리자 노틸러스 110% 활용하기 에 1) 노틸러스 기능더하기 작업을 끝내
야 합니다.
[위치]-[홈 폴더]를 열어 좌측에 '파일 시스템'을 누른 후 /etc 폴더를 찾아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로
열기'로 엽니다. (열쇠글을 입력해야 함)
/etc 폴더 안에서 hosts를 찾아 두 번 누르면 편집기가 열립니다. (hosts 입니다. host.conf가 아닙니
다.)
아래와 같은 내용을
127.0.0.1 localhost
127.0.1.1 (내 호스트이름)
아래처럼 바꿔주면 됩니다.
127.0.0.1 localhost (내 호스트이름)
127.0.1.1 (내 호스트이름)
7) AutoFSCK 사용하기
FSCK는 File System Consistency checK의 약자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에 결점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프로그램으로 안전한 사용
을 위해서는 꺼놓아서는 안됩니다. 그러나 매 30회 (35회?) 부팅 때마다 실행되는 FSCK는 랩탑처럼
자주 켜고 끄는 사용자에게 귀찮은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3분후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랩탑을 켰는데
FSCK가 실행된다면 난감하겠지요.
autofsck는 FSCK의 실행시기와 시점을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FSCK를
컴퓨터를 끌 때 실행시킬 수 있으며 실행시기도 매 40회 부팅 후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검사를 하기는
하지만 좀 더 여유있는 시점으로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설치방법: https://wiki.ubuntu.com/AutoFsck/Doc 에서 꾸러미(.deb)를 받아 실행하면 됩니다.
꾸러미를 설치한 후 [시스템]-[관리]에 [Periodic Disk Checking] 메뉴가 생깁니다. 이를 실행하면
AutoFSCK
첫 째줄은 FSCK검사시기가 임박했음을 소리로 알릴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입니다. 그냥 놓아두
면 됩니다.
둘 째줄 Set Frequency of Checks는 실행시기를 정해주는 메뉴입니다. 저의 경우 40으로 바꿔놓았습
니다. 즉 40번 부팅 후 Fsck가 작동하게 됩니다.
셋 째줄 Check on shutdown or on Reboot? 은 실행시점을 정해주는 메뉴입니다. 저는 shotdown에
맞춰놓았습니다. (선택시 나오는 질문을 잘 읽고 대답하시기 바랍니다.)
넷 째줄 Arrange Checks Now 는 컴퓨터를 지금 끄거나 켤 때 FSCK를 작동하도록 하는 메뉴입니다.
8) SCIM 입력기 몸매 줄이기
암하라어나 아랍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입력 모듈 서비스들을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기본 설정]-[SCIM 입력기 설정]으로 실행 후 'IM엔진' 밑에 [전체 설정]을 선택해 [모두 비활성]버
튼을 눌러 줍니다. 이후 위에 목록에서 [한글] 앞에 화살표를 눌러 목록을 펼친다음 두벌식을 선택한 후
'적용'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도구막대(도구바)를 없애고자 할 경우 '패널' 밑에 GTK를 선택해서 '보이기:'옆에 '전혀안함'을 택해주면
됩니다. 상단의 패널에 '한'아이콘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이 메뉴에서 트레이 아이콘 보이기를 해제해 주
면 됩니다.
9) 스플레쉬 화면 꺼놓기
부트 후 등장하는 스플레쉬 화면을 꺼놓으면 부트 속도가 단 1초라도 향상된 기분이 듭니다.
스플레쉬 화면 끄기는 우분투 트윅!(Ubuntu Tweak!) 을 설치한 후 간단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치 후 [프로그램]-[시스템 도구]-[Ubuntu Tweak]을 통해 실행 후 [스타트업 설정]-[세션 컨트롤]에서 '그놈
스플래시 화면을 보여줌' 을 해제 하면 됩니다.
10) 아이콘과 소리 끄기
크게 시간을 줄이는 것은 아니지만 노틸러스(파일 관리자) 등의 아이콘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해 아주 미
세한 시간을 아낄 수도 있습니다.
[시스템]-[기본설정]-[모양새]에서 '모양새' 탭을 선택한 후 '도구 모음 단추 레이블'에서 '글자만'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명령줄에 아이콘이 사라집니다.
아예 메뉴에 아이콘을 모두 제거하고 싶다면 상단에 있는 '메뉴에 아이콘 보이기'에서 선택표시를 풀어주
면 됩니다.
아이콘보고 마우스로 눌러서 명령을 실행하는 분들은 이렇게 하면 불편할 수 있지만 빠른글쇠('키보드
바로 가기')를 주로 사용하는 분들은 이렇게 해도 별 불편이 없을 것입니다.
*이 설명서에서는 키보드 바로가기를 빠른 글쇠라고 부릅니다.
소리는 [시스템]-[기본 설정]-[소리]를 실행해 '소리' 탭에서 시스템 소리 항목에 있는 것들을 '소리 없음'으
로 선택해주고 '시스템 삑소리' 탭에서 시스템 삑소리 쓰기 앞에 표시를 해제해주면 조금 더 빠르게 조용
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두 개있는 패널 하나로 합치기; 패널의 사용 비중을 줄이자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위 아래에 2개 패널을 설치합니다. 1개로 줄여도 사용에 별 불편은 없습니다.
주의! 지워진 패널은 복구가 어렵습니다. 새로 만들어서 구성해야 합니다.
패널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이 패널 지우기'를 선택하면 지워집니다.
패널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패널에 더하기' 기능을 통해 패널을 재구성 할 수 있습니다.
패널에 있는 항목들을 이동할 경우 그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패널에 잠그기'를 해제해 주어야 합
니다.
처음 패널을 구성할 때 모든 요소의 페널에 잠그기를 해제한 후 움직이는 것이 편리합니다.
패널에 잠그기를 해제한 다음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옮기기'를 선택하면 요소들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창목록이나 알림영역을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앞부분 (구분선)을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후 잠그기 해제
와 옮기기를 해주면 됩니다.
한편 빠른 글쇠에 익숙해지면 패널 위에 올려놓는 메뉴 가짓수를 대폭 축소할 수도 있습니다.
패널에서 메뉴를 눌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보다 Alt+F2를 눌러 '프로그램 실행'을 불러와 각종 프로
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 빠른 편입니다.
'프로그램 실행'에서 무엇을 실행시킬지 모르겠다면 '알려진 프로그램 목록 표시'를 선택하면 설치된 프
로그램 목록을 보여줍니다.
랩탑 사용자라면 패널보다 빠른 글쇠로 '프로그램 실행'을 불러와 사용하는 방식을 권합니다.
12) 작업공간(가상 데스크탑) 숫자를 적정선으로 맞추자
프로그램을 여러 개 열고 사용하는 분들은 작업공간을 여러 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한 번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갯수가 많지 않다면 굳이 여러 개의 작업공간을 유지할 이유가 없습
니다.
작업공간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기본설정'을 선택하면 작업공간 개수(열)를 바꿀 수 있습니다.
오로지 화면을 빙빙 돌리는 '큐브 돌리기'를 위해 가상 데스크탑을 4쪽 만들어 놓았다면 그것도 자원의
낭비입니다. 2쪽 가지고도 큐브 돌리기- 이 경우에는 페이지 돌리기가 가능합니다.
컴퓨터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면 작업공간을 하나로 하고 패널에서 작업공간 표시 기능을 지우는 것도 속
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No comments: